• Title/Summary/Keyword: 휴지 예측

Search Result 22,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The Modeling of Pause Duration For Text-To-Speech Synthesis System (TTS 시스템을 위한 휴지기간 모델링)

  • Chung Jihye;Lee Yanhee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83-86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비정형 단위를 사용한 음성 합성 시스템의 합성음에 대한 자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휴지 구간 추출 및 휴지 지속시간 예측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된 휴지 지속시간 예측 모델은 트리 기반 모델링 기법 중 하나인 CART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s)방법을 이용하였다. 이를 위해 남성 단일 화자가 발성한 6,220개의 어절경계 포함하는 총 400문장의 문 음성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고, 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V-fold Cross-Validation 방법에 의해 최적의 트리를 결정하였다. 이 모델을 평가한 결과, 휴지 구간 추출 정확율은 $81\%$로 휴지 구간 존재 추출 정확율은 $83\%, 휴지 구간 비존재 추출 정확율은 $80\%이었고, 실 휴지지속시간과 예측 휴지지속시간과의 다중상관 계수는 0.84로, 오차 범위 20ms 이내에서 의 정 확율은 $88\%$ 이었다. 또한, 휴지지속시간을 예측하여 적용한 합성음을 청취 실험한 결과 자연 음성과 대체적으로 유사하게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Korean Pause Prediction based Large Language Model (대규모 언어 모델 기반 한국어 휴지 예측 연구)

  • Jeongho Na;Joung Lee;Seung-Hoon Na;Jeongbeom Jeong;Maengsik Choi;Chunghee Lee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3.10a
    • /
    • pp.14-18
    • /
    • 2023
  • 본 연구는 한국어 음성-텍스트 데이터에서 보편적으로 나타난 휴지의 실현 양상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데이터셋을 선별해 보편적이고 규격화된 한국어 휴지 예측을 위한 모델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전문적인 발성 훈련을 받은 성우 등의 발화가 녹음된 음성-텍스트 데이터셋을 수집하고 MFA와 같은 음소 정렬기를 사용해 휴지를 라벨링하는 등의 전처리를 하고, 다양한 화자의 발화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휴지를 선별해 학습데이터셋을 구축하였다. 구축된 데이터셋을 바탕으로 LLM 중 하나인 KULLM 모델을 미세 조정하고 제안한 모델의 휴지 예측 성능을 평가하였다.

  • PDF

Korean Pause Prediction Model based on Dialogue Context (대화 맥락에 기반한 한국어 휴지 예측 모델)

  • Joung Lee;Jeongho Na;Jeongbeom Jeong;Maengsik Choi;Chunghee Lee;Seung-Hoon Na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3.10a
    • /
    • pp.404-408
    • /
    • 2023
  • 음성 사용자 인터페이스(Voice User Interface)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음성 합성(Speech Synthesis) 시스템에서 자연스러운 음성 발화를 모방하기 위해 적절한 위치에 휴지를 삽입하는 것이 주된 과업으로 자리잡았다. 대화의 연속성을 고려했을 때, 자연스러운 음성 기반 인터페이스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대화의 맥락을 이해하고 적절한 위치에 휴지를 삽입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대화 맥락에 기반하여 적절한 위치에 휴지를 삽입하는 Long-Input Transformer 기반 휴지 예측 모델을 제안하고 한국어 대화 데이터셋에서 검증한 결과를 보인다.

  • PDF

A Modelling of segmental Duration based on Regression Tree of the Normalized Duration (정규화 지속시간 회귀트리를 기반으로 한 음운지속시가 모델화)

  • 정지혜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6e
    • /
    • pp.278-281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자연음성으로부터 통계적인 방법으로 일반적인 음성합성 규칙을 생성하기 위해, 남녀 각각 1명이 200문장에 대해 발성한 문음성 데이터를 음운 세그먼트, 음운 라벨링, 음운별 품사 태깅, 문법 정보 태깅하여 음성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이 음성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휴지지속시간을 분석하여 긴 휴지와 짧은 휴지로 분류하였고, 이러한 휴지가 어느 경우에 나타나는가를 조사하였다. 음운지속시간을 보다 정교하게 예측하기 위하여, 각 음운의 고유 지속시간의 영향을 배제시킨 정규화 지속시간에 대해 2가지 class(장, 단)의 휴지시간을 고려한 회귀트리로 음운지속시간을 모델화하였다. 제안된 모델의 평가 결과 예측치와 관측치 간의 다중 상관 계수는 남성은 0.82, 여성은 0.84 정도로 평가되었다.

  • PDF

The Modelling of Prosodic Phrasing and Pause Duration using CART (CART를 이용한 운율구 추출 및 휴지기간 모델링)

  • 이상호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8a
    • /
    • pp.81-86
    • /
    • 1998
  • 트리 기반 모델링 기법 중 하나인 CART 방법을 이용하여, 운율구 추출과 운율구 사이의 휴지 기간을 모델링 하고자 한다. 모델링을 위한 특징 변수들의 유효성을 실험에 앞서 알아본 후, 생성된 트리들을 해석함으로써 제안하는 특징 변수들이 효과적임을 보인다. 음성 정보를 제외한 문서 정보만을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운율구 경계 결정 오류율은 14.46% 이었고, 휴지 기간 예측 RMSE 가 132.61 msec 이었다.

  • PDF

Regression Tree based Modeling of Segmental Durations For Text-to-Speech Conversion System (Text-to-Speech 변환 시스템을 위한 회귀 트리 기반의 음소 지속 시간 모델링)

  • Pyo, Kyung-Ran;Kim, Hyung-Soo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9.10e
    • /
    • pp.191-195
    • /
    • 1999
  • 자연스럽고 명료한 한국어 Text-to-Speech 변환 시스템을 위해서 음소의 지속 시간을 제어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음소의 지속 시간은 여러 가지 문맥 정보에 의해서 변화하므로 제어 규칙에 의존하기 보다 방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통계적인 기법으로 음소의 지속 시간에 변화를 주는 요인을 찾아내려고 하는 것이 지금의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도 트리기반 모델링 방법중의 하나인 CART(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 방법을 사용하여 회귀 트리를 생성하고, 생성된 트리에 기반하여 음소의 지속 시간 예측 모델과, 자연스러운 끊어 읽기를 위한 휴지 기간 예측 모델을 제안하고 있다. 실험에 사용한 음성코퍼스는 550개의 문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428개 문장으로 회귀 트리를 학습시켰고, 나머지 122개의 문장으로 실험하였다. 모델의 평가를 위해서 실제값과 예측값과의 상관관계를 구하였더니 음소의 지속 시간을 예측하는 회귀 트리에서는 상관계수가 0.84로 계산되었고, 끊어 읽는 경계에서의 휴지 기간을 예측하는 회귀 트리에서는 상관계수가 0.63으로 나타났다.

  • PDF

The Modelling of Prosodic Phrasing and Segmental Duration using CART (CART를 이용한 운율구 추출 및 음소 지속 시간 모델링)

  • 이상호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6c
    • /
    • pp.135-138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트리 기반 모델링 기법 중 하나인 CART(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s) 방법을 이용하여, 운율구 추출, 운율구 사이의 휴지 기간, 음소 지속 시간을 모델링 하고자 한다. 총 400문장(약 33분)의 코퍼스를 수집한 후, 그 중 240문장(약 20분)을 이용하여 결정 트리와 회귀 트리를 학습시키고 160문장(약 13분)에 대해 실험하였다. 운율구 경계를 결정하는 결정 트리의 오류율은 14.6%이었고, 운율구 사이의 휴지 기간과 음소 지속 시간을 예측하는 회귀 트리들의 평균 제곱 오류근(RMSE)이 각각 132.61msec, 21.97msec이었다.

Tree-based Modeling of Prosodic Phrasing and Segmental Duration (운율구 추출 및 음소 지속 시간의 트리 기반 모델링)

  • 이상호;오영환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7 no.6
    • /
    • pp.43-53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TTS시스템을 위한 운율구 추출, 운율구 사이의 휴지 기간, 음소의 지속 시간 모델링 방법을 설명한다. 실험을 위해 여러 장르로 구성된 400문장을 선 정하고, 이를 전문 여성 아나운서가 발성하였다. 녹음된 음성 신호에 대해 음소 및 운율구 경계를 결정하고, 문장에 대해서는 형태소 분석, 발음표기 변환, 구문 분석을 수행하였다. 400문장(약33분) 중 240문장(약20분)을 이용하여 결정 트리 및 회귀 트리를 학습시킨 후, 160분장(약13분)에 대해 실험하였다. 운율 모델링을 위한 특징들이 제안되었고, 학습된 트리 들을 해석함으로써 특징들의 유효성이 평가되었다. 실험 문장에 대해 운율구 경계의 유무를 결정하는 결정 트리의 오류율은 14.46%이었고, 운율구 사이의 휴지 기간과 음소 지속 시간 을 예측하기 위한 회귀 트리들의 평균 제곱 오류근(RMSE)이 각각 132msec, 22msec이었다. 수집된 모든 자료(400문장)로 학습한 결과, 운율구 경계 결정 오류율, 휴지 기간 및 지속시 간 RMSE의 10-fold cross-validation 추정치가 각각 13.77%, 127.91msec, 21.54msec이었다.

  • PDF

A Study on Implementation of Emotional Speech Synthesis System using Variable Prosody Model (가변 운율 모델링을 이용한 고음질 감정 음성합성기 구현에 관한 연구)

  • Min, So-Yeon;Na, Deok-Su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4 no.8
    • /
    • pp.3992-3998
    • /
    • 2013
  • This paper is related to the method of adding a emotional speech corpus to a high-quality large corpus based speech synthesizer, and generating various synthesized speech. We made the emotional speech corpus as a form which can be used in waveform concatenated speech synthesizer, and have implemented the speech synthesizer that can be generated various synthesized speech through the same synthetic unit selection process of normal speech synthesizer. We used a markup language for emotional input text. Emotional speech is generated when the input text is matched as much as the length of intonation phrase in emotional speech corpus, but in the other case normal speech is generated. The BIs(Break Index) of emotional speech is more irregular than normal speech. Therefore, it becomes difficult to use the BIs generated in a synthesizer as it i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e applied the Variable Break[3] modeling. We used the Japanese speech synthesizer for experiment. As a result we obtained the natural emotional synthesized speech using the break prediction module for normal speech synthesize.

Prosodic Phrase Noundary Estimation for Continuous Speech Recognition (운율구 단위의 음성인식을 이한 운율구 개수 추정)

  • 강지영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8a
    • /
    • pp.218-221
    • /
    • 1998
  • 한국어 음성 인식기의 향상을 위한 방법으로서 운율구 단위의 음성인식을 제안하고 운율구 경계를 예측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실험을 위해서 서울 말씨를 쓰는 남자가 보통속도로 읽은 100개의 문장과 학교 방송국 여자 아나운서가 읽은 100개의 문장에 대해서 운율구 청취테스트한 데이터를 기주능로 사용했다. 피치 정보와 휴지기 경계정보를 이용해서 강한 운율경계강도가 나타나는 지점을 운율구의 경계로 예측했을 때 평균 70% 정도의 예측율을 보여주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