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휴식 공간

Search Result 271,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A Study on Museum's Rest Area in Korea and Japan (한·일 뮤지엄 휴식공간에 관한 연구)

  • Jo, Seul-A;Ko, Jeong-Mi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6 no.6
    • /
    • pp.248-259
    • /
    • 2016
  • This study covers museum rest areas among the methods that reduce museum fatigu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eoul branch of the representativ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and National Museum of Korea. These museums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National Art Center of Tokyo and Tokyo National Museum. The first research step was the analysis of museums' floor plan, and the second step was the tracing survey of visitors' move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The National Art Center of Tokyo and Tokyo National Museum had the rest space within the visitors' route along with good viewing areas. National Museum of Korea had poor viewing area even though there was the rest space withing the visitors' route. Lastly, Seoul branch of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had the rest space out of visitors' route along with poor viewing area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guidelines for museum space plan with visitors' route considered, so that their museum fatigue can be relieved along with the guideline that can be applied to space elements of rest space.

The Case Study for the Designing of the Resting Places in the Urban and the Street Furniture (도심의 휴식공간 및 시설물 디자인 사례연구)

  • 호수진;이정현;임은정;최선미;박영순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4 no.3
    • /
    • pp.87-96
    • /
    • 2001
  • If we look at Korea's urbanization since 1960, only the urban communities like buildings have developed, yet the resting places for human itself have been ignored. Many people continuously felt alienated especially after the mechanization and started to demand for better living space. For that reason, it is essential for us to develop the resting places for human among the buildings in urban areas and these resting places could form the basis of new community. We have researched on street furniture and citizen's behavior pattern in resting places through references and internet surfing to propose a design concept for a new resting place and street furniture, Therefore, we would like to design a resting place in urban area considering human, community and environment. As a result, we have designed a resting place where citizens could interact with surrounding environment and let office workers enjoy the nature among the buildings in this resting place. People could always stop by and take some rose by enjoying the surrounding nature. The resting place consists of 5 zones- public square, environmental zone, communication zone, technology zone, and entertainment zone. Each zone has its own design motif to lead systematic street furniture and site planning. The resting place is formed in a specific region which is a prototype of a resting environment in urban areas in the future and it could be reassigned according to its regional condition.

  • PDF

Evaluation of Lighting Environments in Residential Area and Task Area (주거/사무공간의 조명환경 평가에 관한 연구)

  • 이선영;김상진;고한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2.05a
    • /
    • pp.310-313
    • /
    • 2002
  • 본 연구는 공간특성이 서로 다른 두 공간, 주거/사무공간의 조명환경에 대한 평가구조를 비교 검토하고 각 공간의 행위에 적합한 조명환경을 제시하고자 슬라이드 사진을 이용한 평가실험을 실시하였다. 평가대상 슬라이드수는 주거공간이 28장, 사무공간이 26장이다 실험은 각 공간별로 분위기항목과 행위항목에 대해 각각 실시하였다. 평가항목은 분위기항목이 21가지, 행위항목이 14가지이다. 각 공간의 평정치를 이용하여 인자분석을 실시한 결과, 주거공간과 사무공간 모두 <활동성>,<안정감),<고급감)의 3인자축이 추출되었다. 그러나, 주거공간의 경우는 <활동성>인자축이 평가축을 이루었으며, 사무공간의 경우는 <고급감>인자축이 평가축을 이루었다. 행위항목의 인자분석 결과는 주거공간의 경우, <작업행위>,<휴식행위>,<단란행위>의 3인자축이, 사무공간의 경우 <작업행위),<휴식행위>의 2인자축이 추출되어 주거공간의 경우, 활동성 평가가 높은 조명환경은 작업행위에 적합하며 반대로 활동성평가가 낮은 조명환경일수록 휴식행위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무공간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작업행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분위기 인자는 활동성으로 나타나 활동성평가 높을수록 작업행위에 적합하며, 후식행위는 평가성 평가가 높은 조명환경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e Effects of Confined Rates Side Wall of Pen for Evacuation Behaviors of Pigs (돈방 측벽마감율이 돼지의 배분 특성에 미치는 영향)

  • 송준익;최홍림
    • Journal of Animal Environmental Science
    • /
    • v.7 no.3
    • /
    • pp.147-154
    • /
    • 2001
  •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xamine environmental influences upon the behavioral pattern of pigs. The resting areas of an enclosed growing-finishing pig house were checked in two seasonal ventilation systems, and the excretion habit of pigs influenced by the different closing rates (50, 75 and 100%) of side walls of pens was surveyed. 1. The excretion habit of pigs was not influenced by temperature, humidity and the flow speed of running air as they excreted in a fixed area of the side walls. However, the lighting effects on the excretion habit was observed because pigs excreted in the darkest area of the pig pen. 2. The accumulated height and width of feces showed 10 and 30 cm; 5 and 25cm; and 3 and 20cm for 50, 75 and 100% of closing rates of side walls, respectively. It indicates that pigs excrete all over the floor in the pen with 100% closed side walls. 3. Ammonia concentrations of the resting areas on the pen floor were determined to 4.2, 5.1 and $5.8mg/{\ell}$ for 50, 75 and 100% of closing rates of side walls, respectively. It indicates that the ammonia concentration was highest in the pen with 100% closed side walls. Thus, the high ammonia concentration of the resting areas could be reduced by illuminating the darker areas with relation to the excretion habit. 4. The flow speed of running air was likely the biggest factor influencing the resting areas of pigs; pigs took a rest at the place of 0.04 m/s air flow speed point during midwinter, and at the place of 0.24 m/s air flow speed point during midsummer.

  • PDF

Analysis of User′s Satisfaction to the Small Urban Spaces by Environmental Design Pattern Language (환경디자인 패턴언어를 통해 본 도심소공간의 이용만족도 분석에 관한 연구)

  • 김광래;노재현;장동주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16 no.3
    • /
    • pp.21-37
    • /
    • 1989
  • Environmental design pattern of the nine Small Urban Spaces at C.B.D. in City of Seoul are surveyed and analyzed for user's satisfaction and behavior under the environmental design evaluation by using Christopher Alexander's Pattern Language. Small Urban Spaces as a part of streetscape are formed by physical factors as well as visual environment and interacting user's behavior. Therefore, user's satisfaction and behavior at the nine Urban Small Spaces were investigated under the further search for some possibilities of application of those Pattern Languages. A pattern language has a structure of a network. It is used in sequence, going through the patterns, moving always from large patterns to smaller, always from the ones which create comes simply from the observation that most of the wonderful places of the city were not blade by architects but by the people. It defines the limited number of arrangements of spaces that make sense in any given culture. And it actually gives us the power to generate these coherent arrangement of space. As a results, 'Plaza', 'Seats'and 'Aecessibility' related design Patterns are highly evaluated by Pattern Frequency, Pattern Interaction and their Composition ranks, thus reconfirm Whyte's Praise of urban Small Spaces in our inner city design environments. According to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user's evaluation, the environmental functions related to the satisfaction were 'Plaza', 'Accessibility' and 'Paving'. According to the free response, user's prefer such visually pleasing environmental design object as 'Waterscape' and 'Setting'. In addition to, the basic needs in Urban Small Spaces are amenity facilities as bench, drinking water and shade for rest.

  • PDF

Development of waterfront space to improve hydrophilic function (친수기능 향상을 위한 수변공간 개발방향)

  • Park, Chang Bum;Ahn, Seung 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55-455
    • /
    • 2022
  • 경제적 발달과 사회적 성장으로 인한 도심지 하천과 호소와 같은 수변공간의 개발에 대한 시민의 요구는 다양화되고 높은 수준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도심의 수변공간은 도시내 다양한 사회생활과 사람간의 교류가 이루어지는 활동적인 공간이자. 정적이기도 한 다양한 기능을 가진 공간이다. 이러한 도시내 수변공간은 공간은 도시를 관류하는 하천을 중심으로 시민들의 일상적인 휴식과 산책, 여가 생활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전국 주요 도시의 하천들이 수변개발을 통해 동일한 시설과 콘텐츠를 적용함으로써 하천의 다양성이 부족하였다. 수변공간의 개발은 1990년대 이후 도심하천중심의 조경하천으로 개발이 진행되었으며 수변공간 주변에 주거지역이나 상업지역이 들어서면서 기존의 도심 공간에 수변공간이 개발되어 시민의 접근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그러나 개발된 수변공간은 최근의 수변공간 개발은 시민들이 즐겁고 편안하게 즐길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지역의 특성을 살리는 방향으로 추진되고 있다. 현재까지 개발된 수변공간은 접근성과 공공성의 결여 주변여건과의 부조화 등이 문제점으로 제시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수변공간에서 관광, 축제, 일상휴식, 레저 등 다양한 목적과 기능으로 시민들이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수변공간 개발을 위해 선행연구를 조사하여 문제점과 수변개발의 특성, 유형 등을 분류한 후 수변공간 개발 시 고려사항과 평가사항을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ourist to the Water Recreation Space on Sightseeing Agricultural Park in China (중국 농촌지역 수변놀이공원의 방문객 특성 분석)

  • Yoon, Jun-Sang;Lee, Kyung-Jin;Piao, Yong-Ji;Bae, Sung-Eui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16 no.1
    • /
    • pp.181-200
    • /
    • 2009
  • 중국에서는 관광, 휴식, 체험교육의 목적으로 농촌지역의 놀이농원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농촌지역 수변공간의 놀이공원에 대한 이용의 증가는 수변공간에 대한 경관 및 단지 설계가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산동성 등주시의 수변놀이농원의 이용자 1194명을 대상으로 설문지와 관찰 등의 연구방법을 통하여 이용 행태와 요구를 분석하였다. 이용자들은 연령대에 따라 다른 이용행태 및 요구를 보이고 있다. 먼저 이용행태에서 20대 이하는 흥미와 동적인 놀이의 이용행태를 선호하며, 연령대가 증가함에 따라 덜 동적인 이용행태를 선호하였다. 또한 모든 이용자들은 새롭고, 흥미롭고, 편안한 이용시설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경관요소에 대한 평가에서 20대와 41살 이상의 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20~40살 집단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20대의 이용자들은 시설이용에서 안전성과 레크리에이션기능에 대한 요구가 높았고, 41살 이상의 이용자들은 휴식시설과 공간의 확대를 요구하였다. 또한 이용자들의 대부분이 휴식시설에 대한 요구에서 그늘, 편안함, 양적인 차원에서 시설확대 및 보완의 요구가 높았다. 따라서 농촌관광에서 여가공간의 이용하는데 있어서 방문객의 태도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들은 인본주의에 바탕을 둔 편의시설의 확대와 질적 개선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최근에 증가하고 있는 중국인의 한국관광 및 방문에 대비하여 중국인의 관광시설선호와 이용만족 증가를 위한 실증적인 자료수집과 대안모색이 필요하다.

  • PDF

Development indices for the Waterfront Creation (수변공간조성을 위한 지표 개발)

  • Park, Ki Bum;Ahn, Seung Seop;Moon, Sang Chul;Park, So 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06-506
    • /
    • 2016
  • 수변공간을 개발하는 방향에 있어서 홍수에 안전하고 수자원의 이용기술이 발달하면서 수자원 안전성이 크게 향상되어 수변공간개발은 이용성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대표적인 수변공간 개발인 청계천은 이제 많은 사람들이 방문하고 여가를 즐기고 휴식을 취하는 공간으로 전국적으로 유명한 관광명소가 되었다. 청계천과 같이 유명한 수변공간이 아니더라도 지역의 주거지와 가까운 곳에 하천과 수변공간들이 이미 많은 사람들이 운동, 산책, 휴식, 여가활동을 즐기는 공간으로 인간에게 다가오고 있다. 이러한 수변공간을 개발하는 데 있어 지금까지 개발의 방향을 결정하는 주체는 지자체의 담당공무원과 기술자들에 의해 개발의 방향이 결정되어 왔다. 최근들어 이수와 치수에 있어 안정성이 과거보다 크게 상향되면서 하천은 인간에게 친숙한 공간이 되고 있다. 시대의 흐름이 수변공간의 활용이 높아지고 과거와 달리 홍수방어나 수자원을 공급하는 자연 시설이 아닌 인간이 다양한 목적으로 이용이 가능한 공간으로 변해가고 있다. 이러한 공간을 개발하는데 있어 지형적, 사회문화적 특성을 반영시키고 이용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이용자들의 성향을 파악하고 객관적인 지표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구에 위치한 대표적인 수변공간인 수성못과 신천 그리고 팔거천을 대상으로 이용자들의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이용하여 수변공간을 개발하는 데 있어 정량적인 지표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남양주 평내동 금호어울림

  • U, Eun-Ok
    • 주택과사람들
    • /
    • s.195
    • /
    • pp.82-85
    • /
    • 2006
  • 전원형 아파트 남양주 평내동 금호어울림의 우은옥 씨는 새로 입주한 아파트 생활에 너무나 만족하고 있다. 단지내 입주민들을 위한 휴식 공간과 아이들의 정서 함양에 좋은 시설물들이 갖춰져 있어 어울림 단지 내에 있으면 마음까지 편안해지는 '휴식'을 취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고 한다. 우은옥 씨가 남양주 평내동의 금호어울림에 살아서 행복한 이유를 들어보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