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휴대 단말장치

Search Result 53,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Control Method of BIFS Contents on Mobile Device with Restricted Input Key (제한적 키 입력을 갖는 휴대 단말에서의 BIFS 콘텐츠 제어방법)

  • Kim, Jong-Youn;Moon, Nam-Mee;Park, Joo-K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9.11a
    • /
    • pp.313-316
    • /
    • 2009
  • 지상파 DMB에서는 양방�� 데이터 서비스를 위하여 MPEG-4 BIFS 규격을 사용하고 있다. BIFS는 콘텐츠의 장면을 구성하는 AV, 이미지, 그래픽, 텍스트 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객체를 장면상에 표현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아 표현된 객체를 조작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BIFS가 다양한 형태의 입력장치를 갖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 부합되도록 설계되었지만, 오늘날과 같이 제한적 입력장치를 갖는 휴대 단말에 대한 고려가 결여되어 있다. 문제는 DMB 단말들이 제한적 입력을 가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양방향 데이터 콘텐츠를 조작하는 방법이 일관적이지 못하다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콘텐츠 제공자와 사용자간의 통일되고 효율적인 콘텐츠 조작을 위해 현재의 BIFS 규격에 KeyNavigator 노드를 추가로 정의하였다. KeyNavigator 노드는 BIFS 콘텐츠에서 휴대 단말의 방향키를 이용하여 BIFS 객체간의 이동이나 BIFS 객체를 선택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KeyNavigator노드를 사용함으로써 BIFS 콘텐츠 제공자가 의도하는 바에 따라 콘텐츠를 저작할 수 있고 휴대 단말 사용자에게도 통일되고 효율적인 BIFS 콘텐츠 제어 방법을 제시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 PDF

The Current Status of S/W Platform for Advanced Embedded Systems (차세대 임베디드 시스템을 위한 소프트웨어 플랫폼 현황 및 동향)

  • Kim, J.M.;Park, T.J.;Yang, M.S.;Kwon, K.K.;LIm, D.S.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1 no.1 s.97
    • /
    • pp.57-67
    • /
    • 2006
  • 차세대 임베디드 시스템은 언제 어디에서나 통신, 방송 등의 통신 인프라를 통해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으며, 다양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편리하고 안전하게 제공할 수 있는 휴대 가능한 IT 장치를 말하며, 이러한 장치상에 탑재되어 서비스 제공자, 콘텐츠제공자, 인프라 운영자, 서비스 개발자, 단말 개발자 등의 단말 사용자에게 개방형 서비스를 가능케 하는 프레임워크가 차세대 임베디드 시스템을 위한 소프트웨어 플랫폼이다. 대표적으로 차량을 기반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텔레매틱스 단말, 개인의 휴대성을 지향하는 스마트폰, 멀티미디어 정보를 개인화하는 PMP 및 홈네트워크연동을 통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정용 지능형 로봇 등이 있다. 본 고에서는 상기 단말에 대한 소개를 통해 개념을 살펴보고, 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플랫폼의 제공 요소에 대해 언급하고, 소프트웨어플랫폼의 현황과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관련 단말의 시장 현황을 살펴봄으로써 차세대임베디드 소프트웨어 플랫폼 기술이 나야가야 할 방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Control Method of BIFS Contents for Mobile Devices with Restricted Input Key (제한적 키 입력을 갖는 휴대 단말에서의 BIFS 콘텐츠 제어방법)

  • Kim, Jong-Youn;Moon, Nam-Mee;Park, Joo-Kyung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15 no.3
    • /
    • pp.346-354
    • /
    • 2010
  • T-DMB is using MPEG-4 BIFS standard format for broadcasting interactive data service. BIFS enables us to represent contents as a scene which consists of various objects such as AV, image, graphic, and text. It also enables us to control objects by using user interaction. BIFS was designed to be adapted to multimedia systems with various input devices. Today, however, we are in lack of considering about mobile device with restricted input unit. The problem is that a consistent user control of interactive data contents is not possible due to the limitations of input units in T-DMB terminals. To solve the problem, we defined KeyNavigator node that provides a means to select or navigate objects (like menu) in BIFS contents by arrow keys and enter key of mobile terminal. By using KeyNavigater node, not only BIFS contents providers can make BIFS contents as they want, but also users can get a way to control BIFS contents consistently and easily.

An Implementation of the Session Migration between Multiple Devices on Mobile Application Server (모바일 응용 서버에서의 다중 단말 장치간 세션 전이 구현)

  • 장철수;김성훈;노명찬;김중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d
    • /
    • pp.623-625
    • /
    • 2003
  • 유무선 통합의 인터넷 환경을 지원하는 모바일 응용 서버는 휴대폰, PDA, PC 등 다양한 단말 종류를 타겟으로 한번 저작된 동일한 컨텐츠를 단말기 종류에 상관없이 지원할 수 있다. 모바일 응용 서버로 구축된 비즈니스 업무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무선 인터넷의 간헐적 단절성, 업무의 긴급성, 표현 장치 및 입력 장치의 적절성, 업무의 이동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단말 장치를 임의로 선택하여 비즈니스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비즈니스 업무들은 단말기 종류가 변하더라도 이전의 단말기에서 처리하였던 내용을 계속 이어 받아 업무를 진행시켜야 한다. 단일 단말기를 이용할 때에 페이지 간의 작업 내용을 저장하는 방식으로 세션 객체를 이용하는 방식이 널리 사용된다. 그러나 세션 객체는 유선 인터넷상의 단일 단말기만을 대상으로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에 단말기를 변경하는 경우에는 세션을 이용할 수 없는 단점을 갖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중 단발기간에 세션 전이를 가능하게 하여 세션 객체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다중 단말기간에 공유하는 방법에 대한 설계 내용 및 구현 상황에 대해 논하겠다.

  • PDF

The Trend of Smart Card Based Mobile Equipment Security (스마트카드 기반 휴대단말 보안기술 동향)

  • Kim, S.H.;Chung, B.H.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7 no.3 s.75
    • /
    • pp.15-22
    • /
    • 2002
  • 본 고에서는 현재 개인용 보안장치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휴대단말기의 보안기술 동향에 대한 분석으로써, WAP 포럼에서의 WIM과 3GPP에서 논의되고 있는 USIM에 대한 기술과 향후 전망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The Smart User Interface Platform for Mobile Devices (휴대단말을 위한 지능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플랫폼)

  • Park, Kyung Min;Choi, Hoon;Lee, Ghang-Gun;Whang, In-Tae;Lee, Chil-Woo
    • Smart Media Journal
    • /
    • v.1 no.4
    • /
    • pp.44-51
    • /
    • 2012
  • A software platform for the next-generation, smart user-interface of mobile devices is described as in this paper. The proposed platform is developed to adapt new devices that may appear in the future through extending the Android platform. Dynamic loading function of software module is developed in order to download and install new software modules for the new devices. Also, platform technology for utilizing external devices to improve quality of service and dynamic switching of wireless interface to reduce power consumption of platform are developed.

  • PDF

Implementation of the SNMP M 18 Management System for Handhold Devices with Mobile Agents (이동에이전트에 의한 개인 휴대 단말기용 SNMP MIB 관리 시스템 구현)

  • 전병국;김영수;김영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c
    • /
    • pp.325-327
    • /
    • 2001
  • 이동에이전트(mobile agents)는 네트워크 관리를 위해 관리 장비에 정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관리자를 대신하여 이동하고 자율적인 실행을 통해 네트워크 장애를 진단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선행 개발된 자바 기반 이동에이전트 시스템인 JAMAS털 적용하여 유/덕선 네트워크에서 통신망 환경을 구성하고 감시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용 SNMP MIB 관리 시스템을 구현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SNMP 에이전트의 관리 정보인 MIB(Management Information Base)를 접근하여 네트워크 맵 뷰어(map viewer), MIB 갱신 등을 관리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제안된 시스템은 이동에이전트를 이용하기 때문에 SNMP기반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을 위해 보다 더 효율적이면서 확장성이 있는 포인트 솔루션(point solutions)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관리자는 개인 휴대 단말기(PDA) 등을 이용하여 유/두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원격지 관리 장치들의 SNMP 에이전트와 상호 작업하여 관리 효율을 높인다. 가까운 장래에 IMT 2000 프로젝트의 원격 시스템 제어 및 성능 감시와 무선 인터넷 사용자의 증가에 따른 효율적인 시스템 및 컨텐츠 관리 등으로 확장할 수 있다.

  • PDF

Design of Monitoring System for Managing Officer's Operation with Supporting of Nautical Safety (선박 안전운항 지원을 위한 승무원 운용상황 감시 시스템의 설계)

  • Kim, Ok-Soo;Lee, Myung-Wo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6 no.7
    • /
    • pp.1335-1343
    • /
    • 2012
  • Although navigation systems and automatic identification technologies are in use for nautical safety of ocean vessels, ship collisions are increasing due to the growing number of overseas transportations. Since these accidents are mostly caused by the watch officers and crews' human mistakes, it is essential to develop a new set of systems to prevent such misfortunes. Therefore, we suggest a control and management system which monitors crews in order to conduct secure on-board navigation and nautical safety. We also materialized a mobile terminal system and portable device for the crews to check the status of the ship, and we designed a platform for an integrated surveillance system to assure a harmless voyage. Lastly, we attested the mutual connections of integrated safety-related data.

Recent Trends of Secondary Battery Technology and Market Share (2차전지 최신기술 및 시장동향)

  • Lee, Y.C.;Lee, J.H.;Lim, Y.Y.;Jo, S.S.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4 no.6 s.60
    • /
    • pp.99-114
    • /
    • 1999
  • 노트북 PC, 휴대폰, 이동단말 등 첨단 정보통신 기기의 소형화, 경량화, 휴대형화에 기여한 핵심기술로 반도체, LCD 기술과 더불어 전지기술을 빼놓을 수 없다. 아직도 많은 부분에서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전지기술은 특히 국내의 경우, 반도체나 LCD 기술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구개발이나 투자가 미흡한 상태로서 고부가가치 장치산업이라는 점과 대량생산이 가능하다는 특성에 비추어 볼 때 향후 전략적으로 중점 육성해야 할 분야라 할 수 있다. 본 고에서는 개인 휴대형 통신기기로부터 자동차 연료전지에 이르기까지 전기.전자 및 정보통신 분야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고성능 2차전지에 대하여 기본적인 기술개요와 특성 및 구성요소, 2차전지의 종류와 최근의 개발동향을 살펴보고 유망 장치산업으로서의 세계시장 현황과 각국의 제조동향에 대하여 조사.정리하였다.

The Implementation & design of a WAP based Remote Medical System (WAP기반의 모바일 원격진료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구제영;김경주;오근탁;이윤배;이성태;이영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d
    • /
    • pp.238-240
    • /
    • 2003
  • 기존의 원격진료시스템은 직접 PC를 통해 Server에 접속하여 환자의 신상명세 및 치료 처방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무선 인터넷이 보급됨에 따라 PC가 아닌 휴대용 단말 장치만으로도 Server에 접속할 수 있게 되었다. 실제 임상에서 무선 인터넷의 PDA나 휴대폰을 이용하여 환자에 대한 처방이나 치료를 의사가 즉각적으로 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PDA나 휴대폰의 경우 처리 속도 및 화면 크기에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이런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을 이용하여 빠르고 정확한 최적의 원격진료시스템을 제안하고 구현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