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휘발 물질

Search Result 939,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Biofilter를 이용한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

  • 윤인길;박창호;권오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0.05a
    • /
    • pp.239-240
    • /
    • 2000
  • 열건조식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에서 발생하는 VOC의 분해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생물여과기를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현장 생물여과기에서 배출되는 휘발성 물질은 총 50여 가지 물질이 검출되었다. 주요 악취 유발물질은 isoprene, dimethyl sulfide (DMS), dimethyl disulfide (DMDS), limonene 등으로 파악되었다. 칼럼 반응기를 이용한 휘발성 물질 분해는 20일 정도의 적응기 후 제거되었으며, 제거 효율은 90% 이상으로 나타났다.

  • PDF

Effect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exposed at Working Environment on the Micronucleus Frequencies in Tradescantia Pollen Mother Cells (실내 작업환경 중 휘발성 유기화학물질이 자주달개비 미세핵생성률에 미치는 영향)

  • 신해식;김진규;이진홍;이재환;이정주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11a
    • /
    • pp.207-208
    • /
    • 2002
  • 휘발성 유기화학물질 (VOCs)이 인체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까지도 명확하게 밝혀지진 않았지만 대부분의 물질이 재실자에게 자극과 불쾌감을 유발하며, 여러 종류의 발암성 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휘발성 유기화학물질 중에서 80% 정도가 인체의 호흡기관을 자극하고 눈의 통증이나 자극을 유발하며, 이중에서 25% 정도는 발암성 물질로 파악되고 있다. (중략)

  • PDF

Aromatic Agriculture: Volatile Compound-Based Plant Disease Diagnosis and Crop Protection (향기농업: 휘발성 물질을 이용한 식물병 진단과 방제)

  • Riu, Myoungjoo;Son, Jin-Soo;Oh, Sang-Keun;Ryu, Choong-Min
    • Research in Plant Disease
    • /
    • v.28 no.1
    • /
    • pp.1-18
    • /
    • 2022
  • Volatiles exist ubiquitously in nature. Volatile compounds produced by plants and microorganisms confer inter-kingdom and intra-kingdom communications. Autoinducer signaling molecules from contact-based chemical communication, such as bacterial quorum sensing, are relayed through short distances. By contrast, biogenic volatiles derived from plant-microbe interactions generate long-distance (>20 cm) alarm signals for sensing harmful microorganisms. In this review, we discuss prior work on volatile compound-mediated diagnosis of plant diseases, and the use of volatile packaging and dispensing approaches for the biological control of fungi, bacteria, and viruses. In this regard, recent developments on technologies to analyze and detect microbial volatile compounds are introduced. Furthermore, we survey the chemical encapsulation, slow-release, and bio-nano techniques for volatile formulation and delivery that are expected to overcome limitations in the application of biogenic volatiles to modern agriculture. Collectively, technological advances in volatile compound detection, packaging, and delivery provide great potential for the implementation of ecologically-sound plant disease management strategies. We hope that this review will help farmers and young scientists understand the nature of microbial volatile compounds, and shift paradigms on disease diagnosis and management to aromatic (volatile-based) agriculture.

Removal of Volitile Organic Compounds Using UV and Non-thermal Plasma Technique(1) (저온플라즈마와 UV를 이용한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연구(1))

  • 이병규;정혁용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9.10a
    • /
    • pp.255-257
    • /
    • 1999
  •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은 오존 및 광화학 스모그의 전구물질 내지는 원인물질로써, NOx나 햇빛 등과 반응하여 2차 오염물들을 생성한다. 특히, Benzene이나 Chloroform과 같은 VOCs 물질들을 강력한 발암성 물질로 규제되고 있다. 이러한 VOCs는 차량운행, 인쇄, 도장산업, 각종 석유정제과정 및 취급과 정등에서 많이 발생하며, 우리 시민들에게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거나 시계를 흐리게 한다. 따라서 휘발성 유기화합물에 의한 악영향과 교통 및 각종 산업시설에서의 발생원 확인 및 제거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다.(중략)

  • PDF

The Antifungal Activity of Chemical Substances from Artemisia annua (개똥쑥의 천연화학물질에 의한 항균효과와 성분확인)

  • Kim, Hyeon-Cheol;Gil, Bong-Seop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v.24 no.3
    • /
    • pp.137-140
    • /
    • 2001
  • The antifungal activity of chemical substances from Artemisia annua were examined. Antifungal activity of aqueous extracts from A. annua was higher than that of essential oils in Fusarium oxysporum, whereas that of essential oil was higher than that of aqueous extracts in Aspergillus nidulans. The GC/MS methods were employed for the analysis and identification of phytotoxic substances from A. annua. Essential oil of some components were identified including thujone, terpineol, β-pinene, cienole, 2,4-hexndienal, camphor, citronellal, (-)-menthone, (1R)-(-)myrtenol, (S)-(-)-perilla aldehyde, perilla alcohol, 4-tert-buthylaniline, eugenol, isosafrole, isoeugenol and α-humulen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hemical substances from A. annua such as terphenoids seem to be responsible for the allelopathic effect.

  • PDF

Volatile Organic Compound Levels inside Vehicles using Commercial Air Cleaning Devices (상업용 공기정화기 사용 차량 내 휘발성 유기물질 수준)

  • Wan-Kuen Jo;Kun-Ho Park
    •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
    • v.6 no.6
    • /
    • pp.659-670
    • /
    • 1997
  • Vehicle occupant exposure to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has been a subject of concern In recent years because of higher levels of VOCs Inside vehicles as compared to the surrounding ambient atmosphere and because of the toxicity of VOCs. The effectiveness of two commercial ACDs for the removal of selected VOCs in the interior of automobiles was evaluated on 115 commutes throegh urban (Taegu) commutes by two cars and 9 idles. The idling and commuting studios conducted under four different driving conditions showed that the ho commercial ACDs were not effective for the removal of VOCs in the interior of vehicles. The concentrations of all target VOCs except benzene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in the interior of older car than of newer cu. The mean levels of benzene and toluene measured in thins study were well excess of earlier other studios In the United States, besides Los Angeles with which was comparable. It was reported that the in-vehicle exposure to benzene and corresponding upper-bound cancel risk were about 8 times higher than those for outdoor environment, while they were about half of those from Indoor environment.

  • PDF

Design of Advanced Cyclonic Recuperative Thermal Oxidation System for Recovering Energy from VOCs (휘발성 유기물질의 에너지화를 위한 고효율 cyclonic recuperative thermal oxidation system의 설계)

  • 이시훈;현주수;임영준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2000.11a
    • /
    • pp.211-214
    • /
    • 2000
  • 휘발성 유기물질은 ground level ozone의 전구체로써 미래 대기오염의 주원인이 될것으로 판단되는 물질이며 구미각국에서는 1990년 초반부터 그리고 국내에서는 최근에 와서 규제가 확정된 물질이다. 대표적인 휘발성 유기물질의 종류와 배출원을 Table 1과 Table 2에 나타내었다.(중략)

  • PDF

Development of 1D River Storage Model for Tracing of Hazardous Chemicals in the Water Environment (수환경 유출 유해화학물질 추적을 위한 1차원 저장대모형 개발)

  • Yun, Se Hun;Seo, Il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89-89
    • /
    • 2019
  • 수환경으로 유출되는 유해화학물질은 독성을 가지고 직접 유출되거나 다양한 매체와 반응하여 화재 및 폭발 등의 사고가 발생한다. 실제로 낙동강 유역에서는 1991년 페놀 유출사고를 시작으로 2009년 구미공단 '1,4-다이옥산' 유출사고, 2014년 11월 경북 봉화군의 황산유출사고 등 크고 작은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작년 6월에는 대구와 부산의 수돗물에서 과불화화합물이 검출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대규모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신속한 오염물의 거동 예측이 가능한 추적모델이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는 수환경으로 유출된 유해화학물질의 추적을 위한 1차원 저장대 모형을 개발하였다. 일반적으로 저장대 모형은 복잡한 하천 구조를 하천의 주 흐름이 존재하는 본류대와 하천 흐름이 정체되는 저장대, 그리고 하상구조로 단순화 하여 나타낸다. 본류대에서는 하천흐름에 의한 이송 및 횡방향 유속차로 발생하는 전단류에 의한 확산이 일어나며, 저장대와의 물질교환으로 발생하는 저장효과와, 하상구조와의 흡착 및 탈착, 그리고 생물화학적 반응 및 휘발이 발생한다고 가정한다. 본류대와 저장대간의 질량교환은 난류유속변동과 농도차에 의해서만 발생한다고 가정하고 오염물질의 이송과 분산과정을 해석한다. 저장대에서는 이송 및 전단류에 의한 확산은 일어나지 않으며, 본류대와의 물질교환으로 발생하는 저장효과와 하상구조로의 흡착, 그리고 생물화학적 반응 및 휘발이 발생한다고 가정하며, 하상구조에서는 본류대 및 저장대와의 흡착 및 탈착만 발생한다고 가정한다. 저장대 모형의 해석을 위해서는 리치(Reach) 별로 본류대 분산계수($K_F$), 본류대 면적($A_F$), 저장대 면적($A_S$), 그리고 저장대 교환계수(${\alpha}$)의 네 가지 저장대 매개변수가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 개발된 저장대 모형은 흡탈착, 생물화학적 반응 및 휘발 과정을 모두 고려하여 유해화학물질의 확산 거동을 모의한다. 최적의 리치길이, 흡탈착, 반응 및 휘발 계수를 산정하여 모형의 정확도를 향상시켰으며, 신속하고 정확하게 오염물의 거동을 예측할 수 있었다.

  • PDF

Volatile Organic Compounds Production from Aerobic Biotreatment of Dairy Wastewater by a Sequencing Batch Reactor (연속회분식반응기(SBR)에 의한 낙농폐수의 호기성처리에서 휘발성유기물질 발생)

  • Hong, Ji-Hyung
    • Journal of Animal Environmental Science
    • /
    • v.11 no.1
    • /
    • pp.17-24
    • /
    • 2005
  • Aerobic sequencing batch reactor (SBR) was used to treat screened dairy wastewaters. The study examined the produc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and volatile fatty acids (VFAs) in the aerobic SBR and raw manure effluent storage over 35 days. The reduction of total VFAs in the aerobic SBR was over $59\%$ removal than that of the raw manure. Acetic acid production in the aerobic SBR and the raw manure effluent storage were kept 138 and 286 mg/L. The propionic acid in the aerobic SBR was 1.9 mg/L, while the raw manure effluent storage was 68 mg/L, respectively. The concentrations of VOCs in the aerobic SBR reactor and effluent fill down remarkably than the raw manure storage. The results confirmed that the aerobic biological treatment is an essential requirement for minimizing odor problems.

  • PDF

Concentration Characteristic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Jinju (진주시 대기 중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의 농도 특성)

  • 김병용;정재우;조인철;박정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11a
    • /
    • pp.330-331
    • /
    • 2002
  • 급격한 도시화와 산업화는 필연적으로 화석연료의 사용량 증가를 초래하였고 적절한 제어 대책이 마련되지 않는 한 결과적으로 인구가 집중된 도시 지역에서는 각종 대기 오염물질과 함께 환경 대기중의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의 농도도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VOC는 스모그 형성의 주요 원인물질인 오존의 전구물질일 뿐만 아니라 현재개선이 되지 않고 있는 시정 장애와 관련이 있는 물질이고 최근 수치상의 대기질 개선에도 불구하고 실제 피부로 느껴지게 하는 주요 원인물질이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