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휘발분

Search Result 407,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Changes of Volatile Components of Cooked Rice during Storage at $70^{\circ}C$ (쌀의 취반 후 휘발성 성분 발생량 변화)

  • Lee, B.Y.;Son, J.R.;Ushio, Matuskura;Keiji, Kainuma;Akio, Maekawa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23 no.5
    • /
    • pp.610-613
    • /
    • 1991
  • The changes of volatile components of cooked rice during storage at $70^{\circ}C$ for 5 hr were investigated. Among more than 100 volatile components of fresh cooked rice, the predominant one was hexanal followed by nonanal, acetone, pentanal, butanal, heptanal, octanal and toluene. These eight components comprised about 55% of the total volatile, which was decreased by half after one hour storage. The amount of major volatile components in Tongil type rice was higher than Japonica rice, but the decrease of volatiles during storage was faster in the former.

  • PDF

Gases from Devolatilization of Swedge Sludge in a Small Fluidized Bed Reactor (소형 유동층반응기에서 하수슬러지의 열분해 생성가스)

  • 송병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2003.05a
    • /
    • pp.567-572
    • /
    • 2003
  • 하수슬러지로부터 재활용 가스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 슬러지 가스화의 공정 개발을 위해서는 초기에 휘발분이 방출되는 열분해 단계의 거동이 매우 중요하다. 열분해 생성물(가스, 타르, 촤 등)의 수율은 열분해 조건(가열속도, 체류시간, 온도, 압력, 가스분위기)뿐만 아니라 연료입자의 물리적 구조에 따라 좌우된다. 석탄의 경우에는 열분해과정에서 휘발분의 수율에 대한 상관식들이 많이 제시되었다.(중략)

  • PDF

Observation of Ignition Characteristics of Coals with Different Moisture Content in Laminar Flow Reactor (층류 반응기를 이용한 수분함량에 따른 석탄 휘발분의 점화 특성에 관한 연구)

  • Kim, Jae-Dong;Jung, Sung-Jae;Kim, Gyu-Bo;Chang, Young-June;Song, Ju-Hun;Jeon, Chung-Hwa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35 no.5
    • /
    • pp.451-457
    • /
    • 2011
  •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ariation in the ignition characteristics of coals as a function of moisture content in a laminar flow reactor (LFR) equipped with a fuel moisture micro-supplier designed by the Pusan Clean Coal Center. The volatile ignition position and time were observed experimentally when a pulverized coal with moisture was fed into the LFR under burning conditions similar to those at the exit of the pulverizer and real boiler. The reaction-zone temperature along the centerline of the reactor was measured with a $70-{\mu}m$, R-type thermocouple. For different moisture contents, the volatile ignition position was determined based on an average of 15 to 20 images captured by a CCD camera using a proprietary image-processing technique. The reaction zone decreased proportionally as a function of the moisture content. As the moisture content increased, the volatile ignition positions were 2.92, 3.36, 3.96, and 4.65 mm corresponding to ignition times of 1.46, 1.68, 2.00, and 2.33 ms,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ignition position and time increased exponentially. We also calculated the ignition-delay time derived from the adiabatic thermal explosion. It showed a trend that was similar to that of the experimental data.

Adsorption and Volatilization of 2,4-D, Dicamba and MCPP in Soils (토양중 2,4-D, Dicamba 및 MCPP의 흡착과 휘발에 관한 연구)

  • ;Atalay, Asmare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 /
    • v.23 no.3
    • /
    • pp.72-79
    • /
    • 1997
  • 본 실험은 제초제인 2,4-D, dicamba, 및 MCPP의 토양에서의 이동을 확인하고 평가하기 위하여 토양종류에 따른 이들 제초제의 흡착과 휘발을 일정시간 동안 조사하였다. 제초제의 토양중 흡착은 batch isotherm으로 조사하였는데, MCPP와 2,4-D는 Freundlich식에서 직선으로 나타났으며, dicamba는 곡선으로 나타났다. Silty clay 토양에서 MCPP의 K$_d$ 및 K$_{fr}$값이 가장 높았으며, loamy sand 토양에서는 dicamba의 K$_d$, K$_{fr}$값이 가장 낮았다. 전반적으로 silty clay 토양에서 K$_d$, K$_{fr}$값이 높았고 N값은 낮았다. 토양에 살포된 제초제의 약 40%가 처리 25일 경과시 휘발되거나 분해되었으며, 이들 제초제중 2,4-D가 dicamba와 MCPP에 비하여 분해 및 휘발속도가 빨랐다. 모든 토양에서 이들 제초제의 분해 및 휘발속도는 공기에 노출된 초기에 현저하게 빠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연환경중에서 이들 제초제의 이동 및 잔류 현황을 예견하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ffect of Volatile Matter and Oxygen Concentration on Tar and Soot Yield Depending on Coal Type in a Laminar Flow Reactor (LFR에서 탄종에 따른 휘발분과 산소농도가 타르와 수트의 발생률에 미치는 영향)

  • Jeong, Tae Yong;Kim, Yong Gyun;Kim, Jin Ho;Lee, Byoung Hwa;Song, Ju Hun;Jeon, Chung Hwan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50 no.6
    • /
    • pp.1034-1042
    • /
    • 2012
  • This study was performed by using an LFR (laminar flow reactor), which can be used to carry out different types of research on coal. In this study, an LFR was used to analyze coal flames, tar and soot yields, and structures of chars for two coals depending on their volatile content. The results show that the volatile content and oxygen concentration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ength and width of the soot cloud and that the length and width of the cloud under combustion conditions are less than those under a pyrolysis atmosphere. At sampling heights until 50 mm, the tar and soot yields of Berau (sub-bituminous) coal, which contains a large amount of volatile matter, are less than those of Glencore A.P. (bituminous) coal because tar is oxidized by the intrinsic oxygen component of coal and by radicals such as OH-. On the other hand, at sampling heights above 50 mm, the tar and soot yields of Berau coal are higher than those of Glencore A.P. coal by reacted residual volatile matter, tar and light gas in char and flame. With above results, it is confirmed that the volatile matter content and the intrinsic oxygen component in a coal are significant parameters for length and width of the soot cloud and yields of the soot. In addition, the B.E.T. results and the images of samples (SEM) obtained from the particle separation system of the sampling probe support the above results pertaining to the yields; the results also confirm the pore development on the char surface caused by devolatilization.

Comparis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 and Volatile Fatty Acid Concentration in Feces and Urine of Finishing Pigs (초지환원용 비육돈의 분과 뇨에 있어서 휘발성유기물과 휘발성지방산 농도 비교)

  • Cho, Sung Back;Hwang, Ok Hwa;Yang, Seung Hak;Kwag, Jeong Hoon;Choi, Dong Yun;Yang, Sung Bong;Kim, Doo Hwan;Park, Sung Kw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 /
    • v.34 no.2
    • /
    • pp.120-124
    • /
    • 2014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level of odorous compounds in feces and urine of finishing pigs. Feces and urine from 16 finishing pigs were separately collected for 28-d. Concentration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 (VOC; phenols and indoles) and volatile fatty acid (VFA; SCFA and BCFA) were measured in feces and urine. Amount of phenols and p-cresol was higher (P<0.05) in urine than in feces. Urinal levels of phenols and p-cresol were 257.8 ppm and 250.9 ppm, and those of fecal phenols and p-cresol were 0.50 ppm and 0.05 ppm, respectively. There was no difference in concentration of indoles from feces (1.0 ppm) and urine (1.8 ppm). Short chain fatty acid (SCFA) level in urine was higher (P<0.05) than in feces showing 4,547 ppm and 863 ppm, respectively. Proportion of acetic acid to total SCFA was higher in urine (94%) than in feces (66%). However, level of branched fatty acid (BCFA) was greater in feces (118 ppm) compare to that of urine (87 ppm). Odorous compounds analyzed in the current study, phenols and SCFA, were contained more in urine than in feces. Greater amount of VFA is typically found in feces than in urine since it is generated in the large intestine. However, urine contained more VFA than feces in the current study. Therefore, it will be necessary to exploit odor reducing techniques especially for pig urine as grassland fertilizer.

The Literature Review of Inhalant Abuse (휘발성류 흡입제 남용에 관한 문헌적 연구)

  • 장진경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13 no.1
    • /
    • pp.168-178
    • /
    • 1995
  • 본 논문의 목적은 휘발성류 흡입제 남용에 대한 문헌들을 고찰하고, 이러한 고찰을 통하여 휘발성류 흡입제 남용에 관한 실태와 연구분야의 취약점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휘발성류 흡입제 남용에 관한 문헌들을 세부분으로 나누어 고찰하고자 한다. 첫번째는 휘발성류 흡입제 남용에 대한 의학적 접근으로써 흡입제 남용으로 인한 다양한 증상들에 대해 고찰하고자한다. 두번째 영역은 휘발성류 흡입제 남용에 관한 행동학적 접근으로써 흡입제 남용이 미래의 다른 약물중독을유발시키는지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며, 또한 휘발성류 흡입제 사용이 청소년들에게 반 사회적 행동을 유발시키는지를 판명하고자 한다. 세번째 영역은 휘발성류 흡입제 남용이 가족학적 접근으로써 흡입제중독을 유발시키는가 족환경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들을 통하여 본 연구자는 휘발성류 흡입제 남용자에 관한 연구에 있어서의 취약점을 지적해 보고 휘발성류 흡입제 남용자에 대한 미래의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휘발성류 흡입제 및 약물남용에 대한 예방 및 사후 대책을 제안함으로써 결론을 짓고자 한다.

  • PDF

Pyrolysis Behavior of Pulverized Coal Particles at High Heating Rate (미분탄 입자의 고속가열 열분해거동 해석)

  • JANG, JIHOON;HAN, KARAM;YU, GEUN SIL;LIM, HYEON SOO;LEE, WOOK RYUN;PARK, HO YOUNG
    • Journal of Hydrogen and New Energy
    • /
    • v.30 no.3
    • /
    • pp.260-268
    • /
    • 2019
  • The pyrolysis characteristics of pulverized coal particle was numerically analyzed with the drop tube furnace. Based on the simulated gas flow field in the drop tube furnace, the particle velocity, temperature and volatile evolution were calculated with the fourth order Runge-Kutta method. The effects of changes in reactor wall temperature and particle diameter on the pyrolysis behavior of coal particle were investigated. The particle heating rate was very sensitive to the reactor wall temperature and particle size, that is, the higher wall temperature and the smaller particle size resulted in the higher heating rate and the consequent quicker volatile evolution.

Volatile Compounds Isolated from Edible Korean Fatsia Shoots (Aralia elata Seem.) (두릅의 휘발성 향기성분에 관한 연구)

  • Kim, So-Mi;Chung, Tae-Young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v.39 no.5
    • /
    • pp.389-397
    • /
    • 1996
  • The volatile concentrate obtained from the edible Korean dureup plant (Aralia elata Seem.) by a distillation-extraction system was separated into hydrocarbon and oxygen-containing fractions, and the latter was further separated into nine subfractions by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Gas chromatography (GC) and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were utilized to identify 167 volatile compounds in the fractions. The volatile compounds included 72 hydrocarbons, 31 alcohols, 23 aldehydes, 16 esters, 10 acids, 6 ketons, 3 furans, 2 phenols, 1 indole, 1 oxide, 1 sulfide, and 1 lactone. ${\beta}-Caryopyllene$, a sesquiterpene hydrocarbon, was the most abundant volatile compound identified in Korean dureup (19.53%). Dureup oil was found to possess a woody or herbaceous aroma following sensory evaluation of each fraction and individual volatile component using a GC-sniff apparatus.

  • PDF

A Study on the Separation of Food-Waste Leachate into 3 Phases (음식물쓰레기 탈리액의 삼상분리)

  • Kim, Sangguk;Jeong, Minji;Kwon, Hyolee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11a
    • /
    • pp.197-197
    • /
    • 2010
  • 음식물쓰레기의 삼성분은 수분, 휘발분, 회분이며 이들이 차지하는 비율은 계절, 지역별로 다소 상이하지만 수분 약 80%, 회분3%, 휘발분 17%이다. 음식물쓰레기 전처리과정으로 이물질제거, 탈수공정이 있으며 탈수공정에서 다량의 탈리액이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탈리액을 데칸타를 이용하여 1차로 원심분리하여 고.액 분리한 액을 실험대상으로 하였다. 실험대상 탈리액의 물성은 BOD 78,800[mg/l], COD 41,000[mg/l], 부유물질 25,900[mg/l], 총질소 928[mg/l]이었다. 탈리액에는 기름성분(육류, 식용유등), 입자상물질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들은 난분해성 유기물질로, 이를 제거하는데 기존의 처리방법으로 많은 어려움이 있어 주요한 수질오염 발생원이 되고 있다. 예를들면 하수처리장 폭기조 수면에 유막을 형성하여 산소공급을 방해함으로 미생물번식을 방해하는 요인이 된다. 본 연구는 음식물쓰레기 탈리액의 수분, 고형분, 유분으로의 삼상분리에 관한 것이다. 유분은 에멀젼형태로 안정되게 수층에 분산되어 존재한다. 미세기포를 이용한 부상법의 경우 미세기포 표면과 유분의 화학적친화력이 낮아 기포표면에 유분이 잘 부착되지 않으며, 원심분리 방법만으로는 유분 분리효율이 낮고, 추출에 의한 분리시 추출액이 다량 소요되고 처리시간이 길며 추출액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탈리액을 유분, 슬러지, 수분으로 분리하면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주요성분을 신재생에너지 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유분의 주성분이 동식물성 유지이므로 전처리시 산촉매를 이용 수분과 유리지방산을 제거하고 염기성촉매를 이용하여 전이에스테르화 반응을 거치면 바이오디젤인 FAME과 글리세롤으로 변환하므로 글리세롤을 분리하면 바이오디젤을 얻을 수 있다. 슬러지는 입자상 물질로 착화가 잘 되고 건조하면 발열량이 높으며 중금속등에 오염되지 않아 청정연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실험실에서의 탈리액 삼상분리방법은 다음과 같다. 탈리액 30ml당 추출액으로 노말헥산을 1ml를 가한 다음 플라스크에서 $80^{\circ}C$로 가열 후 방냉한다. 가열중 노말헥산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증발가스를 콘덴서에서 응축하여 플라스크로 재순환한다. 탈리액을 플라스크에서 꺼내어 원심분리기 rack에 300-400g씩 병에 각각 넣고 4,000rpm으로 30분간 운전한다. 탈리액은 상부로부터 유분층, 미세입자층, 수층, 슬러지층으로 분리된다. 각 층의 계면에서 2종의 성분이 약간 섞일 수 있다. 유분을 분리한 후 유분층 잔존물과 미세입자층, 수층 상층부의 혼합물을 취하여 50g씩 병에 넣고 3,500rpm으로 10분간 운전한 후 유분을 분리한다. 마지막으로 미세입자층만을 3,500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한 후 유분을 따로 분리한다. 얻어진 유분은 rotary evaporator에서 $120^{\circ}C$로 가열하여 유분과 노말헥산을 분리하며 분리효율을 제고하기 위하여 감압하에서 운전한다. 분리된 유분의 고위발열량이 9,450[Kcal/kg]이었으며 원소분석 결과 탄소 74.7%, 수소 12.55%, 질소 0.08%, 유황분 0.0003%이었다. 분리된 유분의 양은 계절별로 시료별로 다르며 가을철에는 1.6-1.9%, 여름철은 1.0-1.3%이었다. 분리된 슬러지로부터 Hg, As, Cr, Cd, Pb 중금속 성분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수분 2.8%, 휘발분 76.85%, 회분 7.52%, 고정탄소 12.83%이었고 원소분석결과 탄소 45.25%, 수소 7.46%, 질소 5.05%, 산소 34.39%, 유황분 0.33%이었으며 저위발열량은 4,480[Kcal/kg]이었다. 분리된 슬러지 양은 11-19% 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