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후방연관효과

Search Result 39,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A Study on the Induce Effects of Energy Consumption among Industries (산업별 에너지 소비의 유발효과에 관한 연구)

  • Cho, Sang-Sup;Kim, Dong-Yeub;Kang, Shin-Won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18 no.4
    • /
    • pp.637-652
    • /
    • 2009
  • We measure and compare inducements of energy consumption in different industry sectors using inter-industry input and output tables of 1995, 2000 and 2005. We also compute the multiplier effects that relate to the directions of future economic effects.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e observe continues decreasing linkage effects in all industries over period of 1995 to 2007. Second, backward multiplier of energy consumption were highest in the material related industry and chemical industry. As for inter-industry inducements, the indirect backward multipliers were high in the other industry. Third, the forward multiplier effect of energy consumption were as same as the backward multiplier effect's sectors. The indirect forward multipliers, however, were highest in the material related industry and chemical industry. The above findings show that since implementing pro-environmental policy in 2000s, the industries structure for reducing energy consumption has been transformed.

  • PDF

Dynamic Interindustry Linkages Analysis of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 the field of Information Technology (정보통신분야 인력양성에 대한 동태적 산업연관분석)

  • Cho, Sang-Sup;Lee, Jung-Man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11b
    • /
    • pp.801-806
    • /
    • 2010
  • 본 연구는 공공부분에서 수행한 정보통신분야 인력양성사업을 평가하기 위하여 산업연관분석방법론에 최근 내생적 성장이론의 이론적 배경을 결합하여 정보통신산업관련 인적자본을 9개 산업으로 분류한 뒤에 정보통신분야에서 인적자본의 후방승수와 전방승수라는 두 가지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예산의 투입에 따라 인적자본형성이 매년 증가함에 따라, 정보통신분야 인력양성사업은 경제적 외부성이 존재하고 있음을 뒷받침하고 있다. 둘째, 정부의 IT인력양성사업 중에서 전략적인 부분으로 후방연관효과가 큰 분야는 연구(R&D)분야로 나타나 인력양성(HRD)은 연구분야(R&D)와 연계해야 효과가 높은 것을 반증해 주고 있다. 또한 다른 산업에 유발효과가 높은 분야는 정보통신 서비스 부분(IT응용기술 교육)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력양성사업으로 인한 부정적인 효과인 가격상승효과도 존재하는데, 사업규모도 적고 일회성 사업 등에 대한 정책적 고려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인력양성사업이 유발하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자체 부분의 직접효과와 다른 부분에 미친 간접효과를 합하여 계산할 경우, 전체적으로 정보통신분야 인력양성사업의 경제성은 매우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원자력산업의 산업연관 분석

  • 문기환;김승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8.05b
    • /
    • pp.981-987
    • /
    • 1998
  • 원자력 발전 산업의 산업연관분석 결과에 의하면, 원자력 발전의 운영을 통하여 1993년에 국내총산출액 및 국내총생산의 0.5%를 생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자력 발전 산업의 생산물인 전력은 다른 산업의 생산활동을 위한 중간재로서 활발히 이용되고 있는 바, 이에 대한 지표인 중간수요비 즉 전방연관효과가 전체 산업평균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원자력 발전 산업 자체의 생산활동에서 필요로 하는 중간재에 대한 수요 즉, 후방연관효과는 전체 산업평균 보다 상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원자력 발전 산업의 부가가치율은 다른 발전 산업 중에서 가장 높아서 경쟁관계에 있는 화력 발전산업에 비해 2배 이상의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원자력 건설 산업의 경제활동이 국민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살펴보면 생산유발계수가 정부투자와 민간투자에 비해 높아 생산파급효과가 상대적으로 더 큰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수입유발계수는 정부투자와 민간투자에 비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e Propagation Effects on the National Economy induced by u-City Construction: I-O Analysis (u-City 구축에 따른 생산 파급효과 추정)

  • Kim, Pang-R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7.06a
    • /
    • pp.139-142
    • /
    • 2007
  • 본 연구는 RAS 계수법과 동태적 산업연관 모형을 동시에 적용하여 u-City 구축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통상적인 산업연관분석과 차별성을 지닌다. 한국은행이 가장 최근 발표한 산업연관표는 2000년도 자료이다. 본 연구는 RAS 계수법으로 알려져 있는 예측기법을 이용하여 2000년 산업연관표를 2010년 표로 연장시켜 u-City 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한다. 한편 산업연관분석에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모형은 정태적 분석모형인 기본 산업연관 모형이지만, 본 연구에서는 동태적 산업연관 모형을 적용하여 u-City 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동태적으로 분석하였다. u-City 구축에 따른 총 생산파급효과는 약 3.3배로 추정되었으며, u-City 산업은 전방연쇄효과는 매우 높지만 후방연쇄효과는 그다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e Economic Impacts of Water Supply Constraints During a Drought Using Intra-Regional Input Output Analysis (가뭄의 경제적 파급효과: 지역산업연관표을 이용하여)

  • Park, Doo-Ho;Choi, Han-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481-486
    • /
    • 2007
  • 물 공급 지장의 경제적 파급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한국은행이 2007년 발간한 2003년 지역산업연관모형을 이용하였다. 특히 가뭄의 발생은 지역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지역에 따라 피해도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우선적으로 배분해야할 각 산업의 순위도 지역별로 달라지게 될 것이다. 따라서 전국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물 공급의 지장비용을 분석하였을 때보다 구체적으로 효율적인 물 배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것이다. 특히 기존에는 지역별 물 공급 지장 비용을 계측하기 위하여 주로 전국산업연관표 이용하여 각 지역별 산업연관표를 간접 추계하여 사용하였다. 이 방식은 방법론에 따른 오차 존재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신뢰도가 결여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한국은행의 2003년 실측(survey-based method) 지역산업연관표를 이용하였기 때문에 기존 연구보다 신뢰성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추정결과, 우리나라 수도산업의 특징은 지역내 파급 효과가 지역간 파급 효과보다 큰 자급자족형 산업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후방연쇄효과도 거의 모든 지역에서 1이상으로 나타났고 후방연쇄효과가 가장 큰 지역은 경남지역으로 나타났다. 서울권과 경남권에서 만 원어치만큼 물 공급되지 않을 경우 해당 지역의 산업에 각각 130만 원과 57만 원의 피해 비용이 발생한다.

  • PDF

Economic Effects of Welfare Policy: An Analysis of 2003 Korean Social Accounting Matrix (정부의 복지지출이 경제부문별 소득분배에 미치는 효과 분석)

  • Noh, Yong-hwan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 /
    • v.40 no.1
    • /
    • pp.261-296
    • /
    • 2009
  • I constructed the 2003 Korean 'social accounting matrix'(SAM) to analyze the multipliers of total demand for each economic activity. I find that the relative magnitude of the influence of the welfare policy to the national economy measured by input-output production multipliers tends to be underestimated compared to SAM multipliers. This is because the total demand multipliers of SAM include the private sector effects, which is not considered in the input-output model. The result also support that income inflows in public service areas including education, health and social work, generate gains in the relative income of households.

Dynamic Interindustry Linkages Analysis of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 the field of Information Technology (정보통신분야 인력양성에 대한 동태적 산업연관분석)

  • Lee, Jung-Mann;Cho, Sang-Sup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2 no.4
    • /
    • pp.1621-1627
    • /
    • 2011
  • This study investigates both backward and forward multipliers of human capital in the field of information technology in order to evaluate human resources programs which were executed in the public sectors. Dynamic interindustry linkages analysis was employed as a methodology after classifying human capitals related to information technology into 9 industries. First, empirical findings showed that there are economic externalities in the IT HRD programs when the formation of human capital increases with more investment in them. Second, another finding was that the effect of HRD programs could be powerful when HRD programs were closely connected with R&D programs, showing that R&D programs among IT HRD programs have huge backward linkage effect. In addition, IT service sector has its own spill-over effect to other industries. Third, however, small budget and one off HRD programs should be considered as a negative price synergy effect. Finally, overall economic feasibility of IT HRD programs turned out to be excellent with consideration of their own economic direct and indirect effect.

A study on the International I/O Table Analysis among Korea, Japan, and China Logistics Industries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 물류산업의 상호 파급효과 비교분석)

  • Ban, Yeong-Gil;Sin, Seung-Sik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24 no.4
    • /
    • pp.173-197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spill-out effects of logistics industries among Korea, Japan and China. For this purpose, we used an International I/O table made by Asian Economic Institute of Japan, which is made up for 11 countries. At first, we transformed the I/O table for 11 countries into that for 3 countries, and then we applied the Inter-Regional Input Ouput model to find out the spill-out effects of one country's logistics investment to another country's logistics or other industries.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hat this paper has suggested a method how to evaluate a logistics interrelation among 3 countries by way of I/O analysis for the first time.

  • PDF

The Propagation Effects on the Regional Economy Induced by U-City Construction in Wha-sung and Dong-tan City (U-City 구축에 따른 지역경제 파급효과 - 화성.동탄지역을 중심으로 -)

  • Kim, Pang-Ryong;Cho, Byung-Sun;Jeong, Woo-Soo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1 no.12B
    • /
    • pp.1087-1098
    • /
    • 2006
  • This study is unlike common Input-Output Analysis in the point that both RAS and methods are applied to the dynamic Input-Output Model simultaneously. We have analyzed the propagation effects on the regional economy from the investment generated by u-City construction in Wha-sung and Dong-tan City.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total induced effect on production according to u-City construction in Wha-sung and Dong-tan City is estimated about 2.9 times. On the other hand, u-City industry is appreciated as a industry which a forward linkage effect is very high while a backward linkage effect is not that high.

A Competitive Study on the Linkage Effects of Primary Industry among Korea, China and Japan (한국, 중국, 일본의 1차 산업의 생산유발효과 비교 연구)

  • Im, Ji-Won;Lee, Sang-Gun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23 no.5
    • /
    • pp.103-118
    • /
    • 2018
  • This study compared the production inducement effects of primary industries between Korea, China, and Japan for the period from 2000 to 2014, by examining the forward and backward linkage effects using the World Input-Output Tables. Although research on the industrial effect of primary industries has been conducted actively, this study is contributive since it compares the differences in industrial linkage effects between Korea, China, and Japan. According to Fisher(1939)'s and Clark(1957)'s classifications of primary industries, this study classified agriculture, forestry, fishing, and mining industries as primary industries. The analysis methodology of this study is to use the World Input-Output Tables to create the industry linkage model between Korea, China, and Japan, and then conduct a comparative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rward and backward linkage effects of agriculture industry between Korea, China, and Japa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while the forward and backward linkage effects of forestry and fishing industries between Korea, China, and Japan are partially different. By comparing the changes in industrial dependencies of primary industries due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etween the three countries, this study suggested the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of primary indust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