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후면

Search Result 790,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LFC 태양전지에서 접촉 면적 가변을 통한 전지 효율 변화 분석

  • Lee, Won-Baek;Lee, Yong-U;Jeong, Seong-Uk;Jang, Gyeong-Su;Park, Hyeong-Sik;Lee, Jun-S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0.02a
    • /
    • pp.300-300
    • /
    • 2010
  • 후면 패시베이션, back contact의 가변, 후면 접촉면적의 가변 등으로 Laser Fired Contact 태양전지의 효율을 증가 시킬 수 있다. 이 중 spacing의 가변으로 후면 접촉 면적을 가변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LFC 태양 전지의 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본 연구에서는 후면 접촉 면적을 가변하였으며 이에 따른 효과를 확인하였다. series resistance가 작고, open circuit voltage 가 높은 최적의 조건을 찾는 것에 그 목적을 두었다. 실험 순서는 texturing 후, 후면에 SiNx를 10nm 증착하였으며, drive-in 방법으로 $POCl_3$을 도핑하였다. ARC후, spacing 조건 가변으로 접촉 면적을 가변시키면서 소자의 특성 변화를 비교하였다. 접촉 면적 및 spacing 조건은 5개의 set에 대하여 reference, 50%의 접촉 면적을 가지는 $150{\mu}m$ line, 10%의 접촉 면적을 가지는 $700{\mu}m$ line, 1%의 접촉 면적을 가지는 $700{\mu}m$ dot, 그리고 0.2%의 접촉 면적을 가지는 $1500{\mu}m$ dot으로 하였다. 각각의 경우에 대한 short circuit current density, fill factor, seris resistance, sheet resistance, open circuit voltage를 측정하였으며, 특히 series resistance는 각각의 경우에 대하여 $6.1m{\Omega}$, $5.1m{\Omega}$, $7.8m{\Omega}$, $10.1m{\Omega}$, 그리고 $15.7m{\Omega}$으로 측정되었다. wafer의 외각 테두리를 접촉 면적이 증가함에 따라서 sheet resistance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Analysis of the Relation Between Micro-Speaker with the Back Holes and the Ducted Speaker-System (후면기공을 갖는 마이크로스피커와 덕트형 스피커시스템사이의 연관성 해석)

  • Rhee, Esther;Oh, Sei-Jin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6 no.3
    • /
    • pp.115-122
    • /
    • 2007
  • In this study, the property and the structure of micro-speaker had been firstly shown to be treated as a ducted speaker-system, which was consisted of the unit and the ducted enclosure. With the decrease of total hole area. the resonance frequency of micro-speaker was decreased due to increasing the stiffness or reducing the compliance. The behavior of resonance frequency relative to the total hole area was exactly agreed with that of the square root of compliance. With decreasing the total hole area. the effective chamber volume was increased, but the reference sound pressure level was exponentially reduced in the low and middle frequency range.

A Study on the Resonant Characteristics of a Tonpilz Transducer with a Fixed Tail Mass (후면추 고정형 Tonpilz 트랜스듀서의 공진 특성 연구)

  • Kim, Jin-Wook;Kim, Won-Ho;Joh, Chee-Young;Roh, Yong-Rae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9 no.7
    • /
    • pp.439-447
    • /
    • 2010
  • In this paper, the resonant characteristic of a Tonpilz transducer with a fixed tail mass has been researched and the feasibility to utilize the transducer in that resonant frequency has been analyzed. The additional resonance is occurred by adhering an elastic tube to the tail mass of a conventional Tonpilz transducer and fixing the other end of the tube. The characteristic of this low resonant mode is analyzed by means of the finite element method, then it is shown that this mode is affected by the variation of the stiffness of the tube as well as the mass of the head mass and tail mas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Tonpilz transducer is designed to meet specific performance conditions.

PC-1D doping profile due to the effects on the BSF back P-type silicon solar cells, research on high efficiency (PC-1D 도핑프로파일에서 BSF 후면전계효과에 따른 P타입 결정질 실리콘 고효율 태양전지에 관한 연구)

  • Park, Yongho;Kim, Bonggi;Lee, Junsi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11a
    • /
    • pp.59.1-59.1
    • /
    • 2011
  • BSF 후면전계효과는 태양전지의 개방전압 증가를 결정하며 효율에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본 연구에서는 p-type에서의 후면전계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PC1D 시뮬레이션(Simulation)을 통해 p+ 영역의 표면농도와 깊이에 따른 전기적 특성을 분석 하였다. 최적효율을 찾기위해 면저항을 $30{\Omega}/{\square}$으로 고정하고 깊이와 표면 농도값을 가변하였다. 최적화 결과 표면농도값이 작아지고 깊이가 커질수록 효율이 좋아지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Peak doping=$5{\times}10^{18}cm^{-3}$, Juction depth=12.52um에서 최고효율 19.14%를 얻을 수 있었다. 본 시뮬레이션을 바탕으로 실제 태양전지 제작 과정에 적용 가능하다. p-type 태양전지 제작에서 후면의 p+ 영역의 깊이를 증가시키고, 표면 농도를 낮추는 공정을 통해 효율향상을 기대 할 수 있다.

  • PDF

PV모듈 전.후면 재료별 PID에 의한 출력 변화

  • Kim, Han-Byeol;Jeong, Tae-Hui;Gang, Gi-Hwan;Jang, Hyo-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8a
    • /
    • pp.312.1-312.1
    • /
    • 2013
  • PID (Potential Induced Degradation)는 높은 시스템 전압을 갖는 PV모듈에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PV모듈의 출력을 급격하게 감소시키는 현상을 말한다. PV시스템의 높은 전압은 태양전지와 PV모듈의 프레임 사이에 전위차를 발생시키고 이로 인하여 누설전류가 흐르게 된다. 누설전류는 태양전지 표면에 전하를 축적 시켜 발전 효율을 감소시키게 된다. 이러한 누설전류는 온도와 습도가 높을수록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PV모듈을 구성하는 재료가 PID에 의한 출력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PID가 쉽게 발생하는 태양전지를 이용하여 일반적으로 PV모듈을 제작 할 때 사용되는 전 후면 재료를 이용하여 각각의 출력변화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PV모듈의 전 후면 재료를 각각 다르게 하여 이에 따른 PID 발생 정도를 출력 변화로 확인하였으며 PID의 원인이 되는 누설전류에 어떠한 변화를 주는지 분석하였다. PV모듈의 후면 재료는 PV모듈 내부로의 수분 침투와 관련하여 PID 발생에 영향을 주고 전면재료인 저철분 강화유리는 PV모듈 내부에 전하를 공급하여 누설전류가 발생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ONO 삼중막 패시베이션 구조의 열적 안정성에 관한 연구

  • Choe, Pyeong-Ho;Kim, Sang-Seop;Choe, Byeong-D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2a
    • /
    • pp.308-308
    • /
    • 2012
  • 현재 결정질 태양전지 제작에 있어 공정 단가 및 재료비 절감을 위해 실리콘 웨이퍼의 두께가 점점 얇아지는 추세이며, 이에 따른 장파장 영역 흡수 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후면 패시베이션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후면 패시베이션층으로는 SiO2, SiNx, a-Si:H, SiOxNy 등의 물질이 사용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SiO2/SiNx/SiO2 (ONO)의 삼중막 구조를 패시베이션층으로 하여 SiNx 단일막 구조와의 열처리 온도에 따른 소수캐리어 수명(${\tau}eff$), 후면 재결합속도(Seff), 확산거리(LD) 등의 파라미터 변화를 비교하였다. 증착 직후와 $350^{\circ}C$에서의 Forming Gas Annealing (FGA), 그리고 $800^{\circ}C$의 고온에서의 fast firing 후의 각각의 파라미터 변화를 관찰하였다. 증착 직후 SiNx 단일막과 ONO 삼중막의 소수캐리어 수명은 각각 $108{\mu}s$$145{\mu}s$를 보였다. 후면 재결합속도는 65 cm/s와 44 cm/s를 보였으며, 확산거리는 각각 $560{\mu}m$$640{\mu}m$를 나타내었다. FGA와 firing 열처리 후 세 파마미터는 모두 향상된 값을 보였으며 최종 firing 처리 후 단일막과 삼중막의 소수캐리어 수명은 각각 $196{\mu}s$$212{\mu}s$를 보였다. 또한 후면 재결합속도는 28 cm/s와 24 cm/s를 보였으며, 확산거리는 각각 $750{\mu}m$$780{\mu}m$를 보여 ONO 삼중막 구조의 경우에서 보다 우수한 특성을 보였다. 본 실험을 통해 SiNx 단일막보다 ONO 패시베이션 구조에서의 열적안정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ONO 패시베이션 구조는 열적 안정성뿐 아니라 n-type 도핑을 위한 Back To Back (BTB) 도핑 공정 시 후면으로 의 도펀트 침투를 막는 차단 층으로서의 역할도 기대할 수 있다.

  • PDF

Structural Safety Analysis Of Rear Door in ACP Hotcell Facility for Spent Fuel Treatment (사용후핵연료 차세대관리 종합공정 실증시설내 후면 차폐문의 구조적 안전성 평가)

  • Kwon, Kie-Chan;Ku, Jeong-Hoe;Lee, Eun-Pyo;Choung, Won-Myung;You, Gil-Sung;Lee, Won-Kyung;Kuk, Dong-Hak;Cho, Il-Je
    •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JNFCWT)
    • /
    • v.4 no.1
    • /
    • pp.77-85
    • /
    • 2006
  • A demonstration facility for an advanced spent fuel conditioning process (ACP) is under construction at KAERI. In this hotcell facility, the rear door is frequently used since all process equipment and materials are taken in and out only through the rear door. Therefore , both the structural safety and stability of the door are essentially required for the safety of ACP facility. In this paper, the finite element analysis has been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safety under the impact condition between the rear door and the door frame. Also the possibility of the rear door being tumbled over by the impact force or the inertia force under a sudden stop conditon has been evaluated. The analysis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structural safety and stability of the rear door are sufficiently assured for both the impact and the accidential stop conditions.

  • PDF

Correlation between Anterior and Posterior Corneal Astigmatism in Total Corneal Astigmatism (전체 각막난시에서 전면과 후면 각막난시의 상관성)

  • Kim, Hyojin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 /
    • v.19 no.3
    • /
    • pp.377-382
    • /
    • 2014
  • Purpos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nterior, posterior corneal astigmatism and total corneal astigmatism on posterior corneal astigmatism by analyzing correlation. Methods: Participants were 31 patients (31 eyes) without corneal disease at the age range of 22 to 28 who had visited hospital to receive corneal refractive surgery. The total corneal astigmatism and anterior and posterior corneal astigmatism were measured using a rotating scheimpflug camera before surgery. The magnitude of astigmatism was calculated with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ridian of the steep refractive power and the flat, and With-The-Rule and inverse astigmatism were divid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meridian that was the steepest. Results: The averages of total corneal astigmatism and anterior and posterior astigmatism were found to be $1.13{\pm}0.76D$, $1.51{\pm}0.84D$, and $-0.59{\pm}0.17D$. The magnitude of posterior corneal astigmatism was distributed between -1.0 D and -0.25 D in all the subjects, and when the magnitude of total corneal astigmatism was set as 100, the magnitude of anterior corneal astigmatism was $142.9{\pm}29.9%$. Total corneal astigmatism indicate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the magnitude of anterior astigmatism (y = 0.871x-0.184, $R^2=0.982$) and high negative correlation with posterior astigmatism (y = -2.974x-0.184, $R^2=0.698$). All the subjects' anterior and posterior corneal astigmatism was classified into With-The-Rule. Conclusions: Anterior and posterior corneal astigmatism in the subjects in their 20's showed the magnitude of -3.8 D in 0.2 D and -0.25 D in -1.0 D separately, and both anterior and posterior astigmatism indicated a high percentage of With-The-Rule.

A Study on the Performance Test and Verification of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in Automobile Rear Window Heater (자동차 후면 유리 열선의 열전달특성에 따른 성애제거 성능평가 및 성능검증 방법에 관한 연구)

  • Juen, H.Y.;Lee, C.K.;Bae, H.J.;Lee, S.J.
    • Journal of Power System Engineering
    • /
    • v.9 no.2
    • /
    • pp.73-80
    • /
    • 2005
  • Both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investigations were conducted to analyze defrosting behavior of a window heater operating in the low outdoor temperature($-20^{\circ}C$). To achieve this purpose, first a warm-chamber experiment($23^{\circ}C$) was performed to measure inner and outer surface temperature of the rear window(heated by the electric heater supplying 195 W) as functions of both time and position. Secondly, a cold chamber experiment was made to continuously record defrosting process of the frosted window. From the comparisons of the two experimental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milarity between the spatial distributions of both temperature and remaining frost. Thus, the temperature data from the warm-chamber experiments can be utilized to predict an expected zone covered with remaining frosts, and this approach can also be adopted in the inspection process in order to economically guarantee optimized performance of the window heater. Finally, an analytical model based on one-dimensional, steady-state heat transfer theories was proposed and successfully predicted the outer surface temperature of the rear window surrounded by cold air($-20^{\circ}C$) for the given operating conditions(heater power, inside and outside heat transfer coefficients, and surrounding air temperature, etc.).

  • PDF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crystalline solar cell on local back contact according to passivation (결정질 태양전지 국부적 후면 접촉 Passivation에 따른 특성 연구)

  • Kim, Hyunyup;Choi, Jaewoo;Yi, Junsi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5a
    • /
    • pp.122.2-122.2
    • /
    • 2011
  • 결정질 태양전지 제작에서, passavtion은 표면의 반사도를 줄여주는 반사 방지막의 역할과 표면의 dangling bond를 감소시켜, 표면 재결합 속도를 줄이고 minority carrier lifetime을 증가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친다. 그렇기 때문에 저가형 고효율 태양전지 제작에서 우수한 특성을 가지는 passivation막은 매우 중요한 이슈이다. 본 연구에서는 LBC(local back contact) 구조를 가지는 단결정 태양전지 후면에, 기존의 Full Al-BSF의 passivation 막을 SiNx와 ONO passivation 막으로 각각 대체하여, LBC 구조에서 더 적합한 passivation 막을 찾고자 하였다. SiNx와 ONO passivation 막은 단결정 LBC 구조 태양전지 후면에 각각 형성되었고 $800^{\circ}C$, 20 sec 조건으로 소성되었다. 실험결과는 minority carrier lifetime과 surface recombination velocity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SiNx passivation 막의 표면 재결합 속도는 29.7cm/s이고, ONO passivation 막의 표면 재결합 속도는 24.5cm/s로, Full Al-BSF 표면 재결합 속도 750cm/s에 비해 더 적합한 passivation 막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SiNx,ONO passivation 막이 Full Al-BSF보다 전극에 수집되는 캐리어의 양이 많아짐에 따라 효율향상을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