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후두암

Search Result 191,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후두암

  • Seong, Myeong-Hun
    • 건강소식
    • /
    • v.20 no.10 s.215
    • /
    • pp.16-18
    • /
    • 1996
  • PDF

LECTIN BINDING PATTERNS IN LARYNGEAL KERATOSIS WITH ATYPIA (후두각화증에서 이형성 유무에 따른 렉틴 반응)

  • 김광문;김기령;윤주헌;장미숙;조정일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1991.06a
    • /
    • pp.16-16
    • /
    • 1991
  • 렉틴(Lectins)은 세포막의 당단백질의 과당류 말단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비면역성의 당단백질 혹은 단백질을 말하는데 정상세포와 변형된 세포에서 렉틴반응의 차이가 남으로써 요즘에는 렉틴을 병리학적 진단에 이용 가능하게 되었다. “Loss of contact inhibition”은 세포 악성화의 중요한 특징으로 세포의 악성화는 세포막의 구조의 변화와 관계가 있을 것으로 알려져 왔으며 1989년 후두암에서 PNA의 반응이 양성 반응을 나타낸다고 보고되어 저자들은 7가지의 렉틴을 이용하여 후두암전구증의 하나인 후두각화증에서 이형성(Atypia)의 존재유무에 따른 렉틴 반응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이형성이 없는 단순 후두각화증에서는 Con A와 WGA만이 기저세포에 반응이 있었으며, 후두각화증의 가장 중요한 부위인 극세포층에서는 WGA, RCA-I, PNA, SBA, UEA-I, DBA가 세포질에는 반응이 없이 세포간교에만 염색이 되는것을 관찰할 수 있었고 Con A는 반대로 극세포층의 세포질에 반응을 하였으나 세포간교에는 반응이 없었다. 2. 이형성을 동반한 후두각화증에서, 기저세포에서는 반응의 차이가 없었고 극세포층에서는 UEA-I, RCA-I. WGA, PNA, SBA는 세포간교에서 반응이 나타나지 않았고 세포질에서 양성 반응을 관찰 할 수 있었으며 DBA, Con-A에서는 반응의 차이를 관찰 할 수 없었다. 따라서 후두각화증의 극세포층 세포막에서 UEA-I, RCA-I, WGA, PNA, SBA 반응의 소실은 후두암으로의 진행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이형성의 존재를 암시한다하겠다.

  • PDF

Clinical Study on Laryngeal Cancer (후두암의 임상적 연구)

  • 문교갑;최종일;박철원;이형석;안경성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1993.05a
    • /
    • pp.105-105
    • /
    • 1993
  • Laryngeal cancer is the commonest of all head and neck malignancies and, in Korea, constitutes approximately 2.3% of all malignancies among males. Survival rate is rather higher than any other head and neck malignancies. Treatment results of 121 laryngeal cancer patients were analyzed. 1. Glottic region 44%, supraglottic 41%, subglottic 8%, transglottic 7%. 2. Rate of cervical metastasis according to T stage was 19% in T2 stage, 47% in T3 stage, 69% in T4 stage. 3. Overall 3-year NED survival rate was 65% and showed stage I 93%, stage II 76%, stage III 63%, stage IV 53%. 4. Glottic cancer showed much better prognosis(3-year NED 82%) than supraglottic cancer(3-year NED 58 %). 5. According to treatment modality, complication rates in surgery with postoperative radiation was higher than in surgery along and disproportionally higher in salvage surgery after failed curative radiation.

  • PDF

Phonosurgery after Transoral LASER cordectomy in Laryngeal Cancer Patients (후두암 환자에서 경구강 레이저 성문절제술 후 음성 복원 수술)

  • Cho, Jae Keun;Son, Young-I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aryngology, Phoniatrics and Logopedics
    • /
    • v.24 no.2
    • /
    • pp.102-106
    • /
    • 2013
  • The cure rates for early stage laryngeal cancer are similar between laser cordectomy and radiation therapy. As well as the survival outcome, one of the main measures of success in treatment of early laryngeal cancer is voice outcome. Many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laser cordectomy and radiation therapy to be equivalent with regard to vocal outcome, whereas others favor radiation. Although such as somewhat disadvantages of voice outcome, laser cordectomy still remains a valid option. Since the patients who treated with laser may benefit from additional phonosurgery to improve postoperative vocal outcome. In this article, we reviewed the techniques of phonosurgery which can be used for laryngeal reconstruction after laser cordectomy. The indications for using each technique are discussed, with particular attention paid to functional outcomes following these reconstructive efforts.

  • PDF

노인성 음성

  • 김영호
    • Proceedings of the KSLP Conference
    • /
    • 2003.11a
    • /
    • pp.205-207
    • /
    • 2003
  • 노년이 되면 후두암이나 신경장애와 같은 질환의 빈도가 증가하는 것이 사실이지만 가장 흔한 음성변화의 원인은 후두의 노화현상에 따른 것이다. 연령과 무관하게 발생하는 성대결절과 같은 질환도 노화의 영향에 따라 그 심각성이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노인의 음성문제를 다루려면 노화과정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필수적이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