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inical Study on Laryngeal Cancer

후두암의 임상적 연구

  • 문교갑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
  • 최종일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
  • 박철원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
  • 이형석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
  • 안경성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 Published : 1993.05.01

Abstract

Laryngeal cancer is the commonest of all head and neck malignancies and, in Korea, constitutes approximately 2.3% of all malignancies among males. Survival rate is rather higher than any other head and neck malignancies. Treatment results of 121 laryngeal cancer patients were analyzed. 1. Glottic region 44%, supraglottic 41%, subglottic 8%, transglottic 7%. 2. Rate of cervical metastasis according to T stage was 19% in T2 stage, 47% in T3 stage, 69% in T4 stage. 3. Overall 3-year NED survival rate was 65% and showed stage I 93%, stage II 76%, stage III 63%, stage IV 53%. 4. Glottic cancer showed much better prognosis(3-year NED 82%) than supraglottic cancer(3-year NED 58 %). 5. According to treatment modality, complication rates in surgery with postoperative radiation was higher than in surgery along and disproportionally higher in salvage surgery after failed curative radiation.

후두암은 두경부의 악성종양중 가장 흔한 것으로 특히 남자에 많아 한국남자의 악성 종양중 2.3%를 차지하고 있고, 두경부의 다른 악성종양에 비해 생존율이 매우 높다. 저자들은 후두암으로 진단받고 치료받은 환자 121명을 대상으로 치료성적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성문암 44%, 성문상부암 41%, 성문하부암 8%, 경성문부암 7% 순이었다. 2. 경부임파절 전이는 T2 stage 19%, T3 stage 47%, T4 stage 69%를 보였다. 전체적인 3년 NED 생존율은 65% 으며 stage I93%, stage II 76%, stage III 63%, stage IV 53%를 보였다. 4. 3년 NED생존율은 성문암이 82%로 성문상부암 58% 보다 더 좋았다. 5. 치료방법에 따른 합병증은 수술단독일경우 보다 수술후 방사선 치료군에서 높고, 방사선 치료실패로 구제수술을 행한 경우는 더욱 높게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