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효율평가

Search Result 12,878, Processing Time 0.048 seconds

Development of roadheader performance prediction model and review of machine specification (로드헤더 장비사양 검토 및 굴착효율 예측 모델 개발)

  • Jae Hoon Jung;Ju Hyi Yim;Jae Won Lee;Han Byul Kang;Do Hoon Kim;Young Jin Shin
    •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
    • v.25 no.3
    • /
    • pp.221-243
    • /
    • 2023
  • The use of roadheaders has been increasing to mitigate the problems of noise and vibration during tunneling operations in urban area. Since lack of experience of roadheader for hard rock, the selection of appropriate machines and the evaluation of cutting rates have been challenging. Currently, empirical models developed overseas are commonly used to evaluate cutting rates, but their effectiveness has not been verified for domestic rocks. In this paper,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assess the rock cutting force, cutterhead capacity, and cutting rate to select the appropriate machine and evaluate its performance. The cutterhead capacity was reviewed based on the literature results for the site. Furthermore, a new empirical model and simplified method for predicting cutting rates were proposed through data analysis in relation to operation time and rock strength, and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ventional model from the manufacturer. The results show good agreement for high strength range upper 80 MPa of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An Efficient Incremental Evaluation Technique Using an Extended Dependency Chart (확장된 종속차트를 사용한 효율적인 점진 평가 방법)

  • Hun, Jung-Lan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10 no.2
    • /
    • pp.75-84
    • /
    • 2009
  • There have been numerous researches in minimizing the total cost of program development in order to improve productivity of the programs. The incremental evaluation is the evaluation method of reevaluating only affected parts instead of reevaluating overall program when the program has been changed. Since the incremental evaluation method carries its advantage, the method itself is very important when considering the execution efficiency of the program developing environment. This paper extends the dependency chart for an imperative language and presents the extended version of dependency chart which can be applied to the Object Oriented Programming Languages such 'Java'. This paper also presents the incremental evaluation algorithm for Object Oriented Programming Languages and proves its correctness, analyzing the efficiency of incremental evaluation by the simulation.

  • PDF

A study on efficiency and stability of induction motor using inverter system (인버터 적용에 따른 유도전동기 효율성 및 안정성 평가에 관한 연구)

  • An, Jae-Hu;Kim, Ji-Chan;Ha, Sung-Jo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1127-1128
    • /
    • 2011
  • 실제 운용중인 수도사업장을 대상으로 펌프모터로 가장 많이 쓰이는 유도전동기의 유량제어를 위해 기존의 방법인 밸브개도에 의한 유량제어 방법과 최근기술인 인버터를 이용한 유량제어 방법을 비교분석하여 효율성을 평가 하였고, 최근 전력전자 기술의 발전에 따라 문제시되고 있는 인버터 사용에 따른 고조파를 분석하여 인버터 시스템 도입에 따른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평가한 펌프모터의 속도 제어를 위한 기존의 방법인 밸브개도에 의한 유량제어 방법과 인버터를 이용한 유량제어 방법에 대한 효율성 및 안정성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인버터시스템을 산업현장에 적극 도입함으로서 에너지 절감에 따른 생산원가 절감 및 수용가의 용수공급 예측을 통한 관망운영의 안정성을 기대할 수 있다.

  • PDF

Remote Monitoring System to Analyse the Performance of the Embedded System (내장형 소프트웨어의 성능 분석을 위한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 Shin, Kyoung-Ho;Cho, Yong-Yoon;Yoo, Chea-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617-620
    • /
    • 2004
  • 내장형 시스템 개발의 효율성 향상을 위해 개발자들은 내장형 시스템 성능 평가 도구를 사용한다. 성능 평가 도구는 내장형 소프트웨어가 메모리나 프로세서 자원들을 가능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 단계중 적절한 성능평가를 수행한다. 본 논문은 내장형 소프트웨어의 효율적인 개발을 위한 성능 평가 도구를 기존의 하드웨어적인 도구를 통하지 않고 순수 소프트웨어적인 방법으로 제공하는 내장형 소프트웨어의 성능 분석을 위한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안한다. 시스템은 내장형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 성능과 함수 별 측정 및 메모리 관련 성능 평가를 수행하기 위한 모듈과 결과 로그를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GUI 형태로 제공하는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시스템을 이용한 개발자는 추가 비용과 학습 없이 빠르고 정확하게 신뢰성 있는 내장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수 있다.

  • PDF

A Plan of Effective the Performance Assessment in elementary ICT Education (초등 정보통신기술교육에 대한 효율적인 수행평가 방안)

  • Park, Jong-Seung;Kim, Young-Gi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8a
    • /
    • pp.111-118
    • /
    • 2004
  •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세계화 정보화, 다양화를 지향하는 교육체제의 변화이다. 이와 같은 변화에 맞추어 2001학년도부터 재량활동을 통해 ICT 교육을 1,2학년에 한하여 실시하고 2002학년도에는 3,4학년으로 2003년에는 5,6학년까지 그 범위를 확대하여 실시되고 있다. 정보통신기술교육은 지식평가나 능력위주의 평가대신에 실습위주로 이루어지며 컴퓨터를 바르게 이해하고 활용하도록 도와준다. 타 교과에서는 수행평가를 영역별로 실시하지만 정보통신기술교육에서는 영역별 수행평가를 실시하지 않고 전반적인 평가를 하고 있다. 컴퓨터교과도 수행평가를 실시하여야 바람직한 평가가 될 것으로 생각되어 현재 일선학교에서의 컴퓨터 평가실태를 분석하고 그 문제점을 제시해 본다. 정규교과로 되기 위해서는 컴퓨터영역별로 세분화 된 평가준거 및 문항 등이 평가의 밑바탕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교육현장에서의 초등 정보통신기술교육에 대한 효율적인 수행평가방안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 PDF

A Modeling of an efficiency analysis based on DEA_AR and AHP for the improvement of usefulness of the Accreditation of Hospitals (의료기관평가의 유용성 증대를 위한 AHP와 DEA_AR 기반의 효율성 분석 모델 구축)

  • O, Dong-Il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1 no.7
    • /
    • pp.2406-2419
    • /
    • 2010
  • This study aims to elevate the usefulness of the current annual Accreditation of Hospitals. To achieve this purpose, A modeling of an efficiency analysis based on DEA and AHP to the Accreditation of Hospitals Data from 2004 to 2008. By applying to AHP and DEA_AR to the scores derived from the various domains in data, An adequate prediction model about conversion factor in fee contract is made. By summarizing information derived from DEA, factor analysis and Generalized Linear Model, The linear functions combining conversion factor and efficiency index is successfully established. The factor analysis with AHP was used to merge diverse scores from the domains of evaluation. Not only the input and output initially introduced, AHP scores, dummy variables of hospital classification, geographical location are effective variables to forecast a conversion factor. If a predicted conversion factors from efficiency is used, It will be a great contributions to the annul doctor's fee contract.

Applicability Estimation of LID Techniques (LID 요소기술의 적용성 평가)

  • Yeon, Jong Sang;Kim, Eung Seok;Shin, Hyun Suk;Jang, Young s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44-444
    • /
    • 2015
  • 현제 도시유역의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해 유역 내 불투수면적의 증가는 직접 유출량 증가, 지하수자원 고갈, 침투량 감소, 증발산량의 감소 등의 물 순환 체계의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도시 유역 내 물 순환 체계 변화를 개선하기 위해 여러 국가에서 저영향개발(Low Impact Development, LID)의 개발 및 도입이 진행되고 있다. LID는 분산형 빗물관리 시설로써 유역 내 소규모의 LID 요소기술을 대상유역에 적용하여 강우유출수를 저류, 체류, 방지 및 처리하는 시설을 의미한다. LID는 궁극적 목표로 계획단계에서 개발이전의 수문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보전, 영향최소화, 유출이동시간 유지, 추가유출량 감소, 오염발지에 초점을 맞추어 계획된다. 현제 LID의 성능 및 적용성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해되어지고 있으나, LID 요소기술별 시공 비용, 유지관리 비용, 강우유출수 저감효율, 비점오염원 저감효율, 적용위치 등의 다양한 인자를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LID요소기술별 적용성 평가를 수행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LID 요소기술 중 나무화분 여과장치, 옥상녹화, 빗무정원, 투수성포장, 침투트렌치, 빗물통, 식생수로 등의 총 7가지 LID 요소기술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LID 요소기술의 적용성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시공비용, 유지관리비용, 강우유출수 저감효율, 비점오염원 저감효율, 적용위치 등의 촐 5가지 평가인자를 Entropy 방법을 이용하여 평가인자별 가중치를 산정하였다. 이후 다기준의사결정 방법 중 PROMETHEE 방법을 이용하여 LID 요소기술의 우선순위를 산정하였다. 현제 PROMETHEE 방법을 이용하여 LID 요소기술별 우선순위를 산정한 결과 옥상녹화가 첫번째 우선순위로 분석되었으며, 침투트렌치, 나무화분여과장치, 투수성포장, 식생수로, 빗물통, 빗물정원 순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국내에 LID를 적용할 경우 옥상녹화, 침투트렌치, 나무화분 여과 장치 등의 LID 요소기술의 적용성 및 기대효과가 클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국내의 모든 지역을 대상으로 적용하기에는 문제가 있으며, 국내 LID 요소기술 적용 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대상지역별 신뢰도 높은 LID 요소기술 적용성 평가를 위해서는 대상유역 내 시공된 LID 요소기술을 계측하여 비점오염원 및 우수유출수 저감효율, 시공 비용, 연간 유지관리 비용을 분석하여 평가를 수행되어 한다고 판단된다.

  • PDF

우리나라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사의 경영효율성 평가에 관한 연구

  • Gang, Hyeon-Gu;Ryu, Dong-Geun;Son, Bo-Ra;Seo, Yeo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422-424
    • /
    • 2011
  • 오늘날과 같이 급속히 변화하는 기업경영 환경에서 조직이 생존하고 번영하기 위해 기업의 경영 성과를 향상시켜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생산성 또는 효율성을 꾸준히 평가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평가대상의 상대적 효율성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방법론을 이용하여 국내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사의 경영 효율성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2007년부터 2009년까지의 터미널 운영사의 효율성 수준을 파악해 보았다. 연구결과 2007년부터 2009년까지 점차적으로 영업이익률이 줄어드는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것은 산출변수에는 큰 변화가 없는 반면 투입변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동 기간 사이에 컨테이너터미널 업체수는 증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물동량의 증가가 미미하여, 물동량 확보를 위한 터미널 업체들간의 경쟁이 치열해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경쟁은 하역요율의 단가하락 문제를 발생시켰으며, 이로 인해 업체들의 경영악화가 가속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 결과는 물동량 변화에 따른 투입변수의 최적화를 통해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사의 경영효율성을 제고하는데 기여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sign and Development of a Teaching Assessment System for Improving Teaching Skill in u-Campus (u-Campus 환경에서 교수능력(teaching skill) 향상을 위한 교수평가 시스템 설계 및 개발)

  • Moon, Chang-Bae;Park, Jung-Hwa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05a
    • /
    • pp.174-177
    • /
    • 2009
  • 본 연구는 u-Campus 환경에서 교수능력(teaching skill)을 향상시키기 위한 평가시스템을 설계하고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업효율성과 교수평가에 관한 이론을 고찰하고, 선행 프로그램들을 분석하여 시스템에 포함되어야 할 효율적인 수업행동 평가요소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평가요소를 바탕으로 u-Campus 환경에서 교수능력(teaching skill)을 향상을 위한 요소 즉, 교수-학습활동, 교수-학습활동 평가, 포트폴리오 활용 및 공유, 유비쿼터스 기술, 데이터베이스 영역을 반영하여 시스템을 설계하고 프로토타입(proto type)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프로토타입(proto type)의 개발은 기존의 평가 방법과 달리 교수 자신의 평가에서 시작하여 본인의 의지에 따라 영역을 넓히면서 평가에 대한 부담을 덜며 교수능력(teaching skill)을 향상시킬 수 있고, u-Campus 환경에서 평가가 어떠한 과정과 방법으로 이루어져야 하는지에 대한 안내를 제공할 것이다. 본 연구가 제시한 u-Campus 환경의 교수능력(teaching skill) 향상을 위한 평가시스템은 교수자의 발전은 물론 대학교육의 질적인 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Desig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Vertically-Parteitioned Parallel Signature File Method) (수직 분할 병렬 요약화일 기법의 설계 및 성능평가)

  • Kim, Jeong-Gi;Yu, Gyeong-Min;Jang, Jae-U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26 no.1
    • /
    • pp.66-79
    • /
    • 1999
  • 요약화일 기법은 대규모 데이터베이스 응용에서 효율적인 색인 기법으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는 보다 빠른 검색을 위해 병렬 요약화일 기법이 제안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으로 병렬 처리를 할 수 있는 수직 분할 병렬 요약화일(Vertically-partitioned Parallel Signature File, VPSF) 기법을 제안한다. 본 VPSF는 동적인 환경에 잘 적응하도록 신장해싱을 이용하며, 검색의 효율성을 위해 프레임 슬라이스 기법을 사용한다. 실행의 편중을 없애기 위해 요약을 수직으로 분할하여 레코드를 프로세싱노드에 저장함으로써 병렬처리를 수행한다. 뿐만 아니라, 본 논문에서는 VPSF의 효율성을 보이기 위해 성능평가 모델을 제시하고, 실제의 레코드 집합을 가지고 실험을 실시하여 검색시간, 부가저장공간, 삽입시간에 대해 성능을 평가한다. 또한 레코드 집합의 분포에 다른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표준편차를 반으로 줄인 반 정규분포와 두 배로 크게 한 정규분포에 대한 성능평가를 실시한다. VPSF기법은 기존의 병렬 요약화일 기법들과 비교할 때, 실제 레코드 집합의 정규분포에서 기존의 Hamming filter 보다 평균 40% 정도 검색성능이 개선된다. 반 정규분포에서는 Hamming filter 보다 약 50% , HPSF보다 약 20% 정도 개선된 검색 성능을 보인다. 뿐만 아니라, 부가 저장공간 및 삽입시간에도 기존의 방법들보다 좋은 성능을 보인다. 일반적으로 VPSF는 데이터베이스의 레코드 크기가 서로 비슷할 때 그리고 데이터베이스의 크기가 클수록 우수한 검색 성능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