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효모배양

검색결과 564건 처리시간 0.023초

효모의 미토콘드리아와 M-DNA (On the Mitochmria of Yeast and M-DNA)

  • 홍순우
    • 미생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9-45
    • /
    • 1971
  • saccharomyces cerevisiae J170, mutant를 사용하여 YEP 배지에서 20시간 진탕 배양하여 생장이 왕성한 영양시기의 효모세포를 얻었다. 이 세포를 sporulation medium에 접종하여 3$0^{\circ}C$에서 20시간 진탕 배양하면 약 80%의 ascospore를 형성함을 볼 수 있었다. 포자형성시기와 생장시기를 택하여 D-C-glucose 운반에 관하여 비교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haploid인 포자형성시나 diploid인 생장시기의 포도당 흡수는 PH6.0에서 최대이었다. 이 두 시기는 포도당 운반은 2,4-dinitrophenol에 의하여 저해되었으므로 포자형성기의 포도당운반도 역시 energy를 요구하는 능동수송과 연관이 있음을 알게 되었아. 생장시기의 포도당 흡수정도는 포자형성기 보다 높았으며 이때에 fructose나 galactose와 포도당흡수의 관계는 서로 경쟁적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효모세포의 당 성분은 ribose, mannose, $\alpha$,$eta$-glucose로 되어 있으며 특히 포자형성기의 mannose 함량은 영양세포 때보다 현저히 적었다.

  • PDF

청주 제조 중 Ethyl Caproate 생성에 미치는 청주효모 Esterases의 영향 (Effect of Esterases from Rice Wine Yeast on the Ethyl Caproate Production during Rice Wine Brewing.)

  • 이종훈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50-54
    • /
    • 1998
  • 청주가 가지고 있는 향기는 청주의 품질을 결정하는 요인 중의 하나이다. 청주의 향기는 발효과정 중 주로 효모에 의해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고, ethyl caproate는 향기성분 중의 하나로 esterase가 생성에 관여하고 있는 효소의 하나로 보고되었다. 반면 청주 제조에 사용되는 청주효모와 코지균은 ethyl caproate의 생성과 분해 활성을 가진 esterase를 생산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청주 제조 중 발생하는 ethyl Caproate의 생성에 미치는 청주효모와 코지균이 가지고 있는 esterase들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코지균과 청주효모의 생장 중 발생하는 ethyl caproate 합성과 분해에 관련하고 있는 esterase들의 활성 변화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청주효모가 가지고 있는 ethyl caproate 합성 esterase는 caproate에 의해서 유포되고, 분해 esterase는 ethyl caproate에 의해서 유도되지만 caproate에 의해서 저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지균의 ethyl caproate합성과 분해 esterase활성은 균체의 성장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나 ethyl caproate 생성의 기질이 되는 caproate와 ethanol이 활성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코지균의 배양액에서 ethyl caproate 합성 esterase의 활성이 측정됨에도 불구하고 0.01 ppm까지 ethyl caproate를 검출할 수 있는 분석조건 하에서 배지 중의 ethyl caproate는 검출되지 않았다. 본 실험의 결과를 고려한다면 청주의 제조과정 중 생성되는 ethyl caproate는 코지균의 esterase에 의해서는 거의 생성되지 않고 당화과정 후 첨가되는 청주효모가 주로 생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청주효모의 증식과정 중에는 효모의 생장과 더불어 ethanol이 생성되어 코지균의 생장을 억제한다. 따라서 청주제조 중 생성되는 ethyl caproate는 청주효모의 esterase에 의해 생산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탁주효모(濁酒酵母)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1보(第一報)) -탁주효모(濁酒酵母)의 분리(分離) 및 동정(同定)에 대(對)하여- (Studies on Takjoo Yeasts (Part I)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Takjoo Yeasts-)

  • 박윤중;이석건;오만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6권2호
    • /
    • pp.78-84
    • /
    • 1973
  • 배양효모(培養酵母)를 사용(使用)하지 않고있는 12개(個) 주조장(酒造場)의 탁주료에서 297주(株)의 효모(酵母)를 분리(分離)하여 각균주별(各菌株別)로 주모(酒母)를 만들어 담금 시험(試驗)을 하였으며 그중(中)에서 양호(良好)한 발효성적(醱酵成績)을 나타낸 7주(株)를 우수균주(優秀菌株)로 선정(選定)하여 이들을 동정(同定)한 결과(結果)는 아래와 같다. (1) 양조장별(釀造場別)로 분리(分離)한 효모(酵母)를 사용(使用)하여 담금 시험(試驗)한 결과(結果), 발효료의 주도평균(酒度平均)이 $13.20{\sim}15.20$로서 주조장별(酒造場別)로 상당(相當)한 차이(差異)가 있었다. (2) 일반료에서 분리(分離)한 효모(酵母)와 이단요에서 분리(分離)한 효모(酵母)는 발효시험(醱酵試驗)의 평균치(平均値)에 있어서 차이(別差)를 나타내지 않았다. (3) 분리효모(分離酵母)의 발효성적(醱酵成績)은 TTC 염색성별(染色性別)로 별차(別差)를 나타내지 않았다. (4) 선정균주(選定菌株) 7주중(株中) strain $D_m-1,\;D_m-2,\;Y-1$ 및 T-1은 TTC pink 효모(酵母)로, strain C-1, C-2 및 $G_s-1$은 TTC red 효모(酵母)로 나타났다. (5) 우수균주(優秀菌株) 7주(株)를 동정(同定)한 결과(結果) strain $D_m-1$, Y-1, C-1, C-2, 및 T-1은 Saccharomyces-cerevisiae로, strain $G_s-1$은 Saccharomyces pretoriencis로, strain $D_m-2$는 Saccharomyces rouxii로 동정(同定)되었다.

  • PDF

고함량 RNA 효모 변이주의 선별 및 고농도세포 유가배양 (Selection of Yeast Mutant Strain with High RNA Content and Its High Cell-Density Fed-Batch Culture.)

  • 김재범;권미정;남희섭;김재훈;남수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68-72
    • /
    • 2002
  • RNA 함량이 증가되고, 증식속도가 더 빠른 효모 변이주를 선별하기 위해, 모균주 Saccharomyces cerevisiae MTY62 세포에 화학적 돌연변이제인 ethylmethane sulfonate를 처리하여, YPD 배지에서는 잘 자라고 KCl 함유 배지에서는 자라지 않는 변이주들을 선별하였다. 이 변이주들 중 시험관 및 플라스크 배양을 통해 균체농도와 RNA 함량이 모균주 MTY62에 비해 각각 1.5배, 1.3배 증가한 M40-10 변이주를 최종적으로 선별하였다. 변이주 M40-l0을 발효조 회분배양한 결과, 최대비증식속도는 $0.38 h^{-1}$ , RNA 농도는 3210 mg-RNA/1, RNA 함량은 183mg-RNA/g-DCW 값을 보여, 모균주에 비해 각각 23%, 15%, 12%씩 증가하였다. M40-10 변이주를 간헐적 유가배양한 결과, 최대 균체농도는 35.6 g-DCW/1을, 최대 RNA 농도는 5677mg-RNA/l을, RNA함량은 160 mg-RNA/g-DCW을 나타내어 모균주보다 우수하였다. 일정속도의 유가배양에서도 M40-10 변이주의 최대 균체농도는 46.4g-DCW/1, RNA 농도는 6270mg-RNA/1, RNA 함량은 135mg-RNA/g-DCW을 보였다. 이들 유가배양에서 배양 중반기인 20시간 전후에서는 모균주에 비해 변이주의 세포농도는 30%, RNA 농도는 10% 정도 증가되었다. 또한 유가배양 말기까지도 RNA 분해는 거의 일어나지 않아, M40-10 변이주는 산성 RNase 활성이 크게 감소한 변이주임을 알 수 있었다.

고밀도 배양에 있어서 영양강화 방법 및 종류에 따른 rotifer의 지방산 조성의 변화 (Change of fatty acid compositions of rotifer according to enrichment diets and methods in the high density culture)

  • 박흠기;이균우;이상민;김성구;김형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748-752
    • /
    • 1999
  • 본 연구는 고밀도 배양시 rotifer의 영양강화 방법 및 영앙강화제에 따른 rotifer의 개체밀도와 지방산 조성을 조사하였다. 첫째 방법은 담수산 Chlorella로 rotifer를 고밀도로 배양한 후 영양강화제인 유지효모, Algamac, Super Selco, 해수산 Chlorella로 2차 영양강화 하였다. 두 번째 방법은 rotifer 반 연속 고밀도 배양중 18시간 동안 담수산 Chlorella를 공급한 후 6시간동안 영양강화제를 공급하였고 대조구로 담수산 Chlorella을 공급하지 않고 24시간 동안 해수산 Chlorella를 공급하였다. 배양수조는 5$\ell$를 이용하여 수온 $28^{\circ}C$를 유지하였고 산소가스를 공급하였다. 반 연속 고밀도 배양 방법에서 24시간 동안 해수산 Chlorella를 공급하였을 때 rotifer 밀도와 용존산소는 안정적으로 유지되었고 rotifer의 n-3 HUFA의 함량이 다른 실험구보다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2차 영양강화 방법과 반 연속 고밀도 배양 방법에서 유지효모, Algamac 및 Super Selco로 영양강화하였을 때 rotifer의 밀도와 용존산소는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이들 영양강화제 가운데 Super Selco가 비교적 높은 n-3 HUFA의 함량i글 보였다. 따라서 본 실험을 통해서 rotifer 고밀도 배양시 안정적인 rotifer 성장과 rotifer의 질적 개선을 위해서는 24시간 해수산 Chlorella를 공급하는 것이 효율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

Mucor sp. KCTC 8405P에 의한 ${\gamma}-Linolenic$ Acid 함유 곰팡이 유지의 생산 (Production of the Fungal Lipid Containing ${\gamma}-Linolenic$ Acid from Mucor sp. KCTC 8405P)

  • 박종현;신현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26-329
    • /
    • 1992
  • ${\gamma}-linolenic$ acid를 함유한 유지를 생산하기 위해 포도당을 주기적으로 첨가하면서 Mucor sp. KCTC 8405P를 유가배양하였다. 배양 시작 후 2일까지 효모 모양으로 배양한 후 배지의 pH를 높여 균사체 모양으로 유도하여 배양하면, 지방질은 포도당이 고갈되는 배양 7일째까지 축적되었다. 본 배양조건에 의하여 건조 균체량 99.3 g/l, 총지방질 38.0 g/l와 3.5 g/l의 ${\gamma}-linolenic$ acid를 얻을 수가 있었다.

  • PDF

복분자 와인 제조를 위한 바이오제닉 아민 비생성 효모의 선별 및 통계학적 기법을 이용한 배양조건 최적화 (Screening of Biogenic Amine Non-Producing Yeast and Optimization of Culture Conditions Using Statistical Method for Manufacturing Black Raspberry Wine)

  • 양희종;정수지;정성엽;허주희;정도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592-601
    • /
    • 2015
  • 복분자 와인의 제조를 위하여 복분자 과실 및 엑기스로부터 야생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 BA29를 분리 및 동정하였으며, 생화학적 특성 및 biogenic amine 생성 여부, 배양학적 특성 및 알코올 발효능과 알코올, 당, 아황산 저항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S. cerevisiae BA29의 산업적 공정 적용을 위한 균체량 증가를 위하여 통계학적 방법인 반응표면분석법을 사용하여 배양 배지 조성의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실험계획법은 중심합성계획을 사용하여 모델을 설정하였고, 산업적 공정 적용 시 비용 대비 효율성이 높은 molasses를 대체 탄소원으로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최대 균체 성장을 위한 배지 조성으로는 molasses 200 g/L, peptone 30 g/L, yeast extract 40 g/L로 예측되었으며, 이때의 최대 균체량은 20.6565 g/L로 예측되었다. 모델의 검증실험 결과 기본 배양 배지와 비교하였을 때 6.39 g/L에서 $20.9167{\pm}0.7925g/L$로 약 3.27배 증가하였다. 최종적으로 S. cerevisiae BA29를 사용하여 복분자 와인을 제조한 결과 20.33%의 알코올 생성능을 나타냈다. 이로써 복분자 과실로부터 분리한 효모 S. cerevisiae BA29를 이용한 우수한 복분자 와인 제조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한국의 야생화에서 분리한 효모의 종 다양성과 생리기능성 (Yeasts Diversity of Wild Flowers in Mountains of Korea and Their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 현세희;한상민;김하근;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37-141
    • /
    • 2015
  • 우리나라 야생화들의 효모 종 다양성을 확립하고 이들을 고부가가치의 건강산업에 응용하기 위한 자료를 얻고자 한국의 제주도, 울릉도, 욕지도와 선유도 등 4개의 섬지역 산들과 계족산, 오서산, 백암산과 덕유산 등 4개의 내륙지역 산에서 개화한 야생화들을 2012년에서 2014년 사이에 수집하여 효모 134종 289균주를 분리 동정하였다. 분리한 289균주 중에서 Cryptococcus속 균주들이 가장 많이 분리되었고 Cryptococcus aureus를 포함하는 23균주들이 섬과 내륙 산지역에서 공통적으로 분리 동정되었다. 또한 단일 균주로는 Metschnikowia reukaufii가 전체 균주 중 10.3%인 30균주로 가장 많이 분리되었다. 분리한 균주들을 yeast peptone dextrose (YPD) 배지에서 24시간 배양하여 각각의 배양상등액과 무세포추출물을 제조한 후 이들의 주요 생리기능성을 측정한 결과, Candida sp. 78-J-2의 배양상등액이 22.5%의 항산화활성, Metschnikowia reukaufii SY44-6의 배양상등액이 49.6%의 항통풍성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과 38.4%의 미백성 tyrosinase 저해활성을 보였다.

지방분해효소 생산균 Pseudomonas sp. OME 의 분리 동정 및 배양조건 최적화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Lipolytic Enzyme Producing Pseudomonas sp. OME and Optimization of Cultural Conditions)

  • Kumar, G.Satheesh;Reddy, T. Kiran;Madhavi, B.;Teja, P.Charan;Chandra, M.Subhosh;Choi, Yong-Lark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662-669
    • /
    • 2010
  • 폐식용유에서 지방분해효소를 생산하는 세균을 분리하였고, PIBWIN 세균동정 방법으로 생리 생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여 확인한 결과 Pseudomonas sp. OME로 동정하였다. 여러 기질로 지방분해효소 생산을 조사한 결과 올리브유에서 6.1 U/ml의 생산력을 나타내었다. 물리적 인자인 배양시간, 온도. pH 및 올리브유와 효모 추출액의 영양인자에 의한 지방분해효소 생산 조건을 조사 하였다. 효소의 분비는 배양시간. 올리브유 와 효모 추출액의 농도에 강한 영향을 받았으며, RSM을 이용한 최적화는 이들 인자를 가지고 조사하였다. RSM을 이용한 지방분해효소 생산은 배양시간. 올리브유와 효모 추출액의 농도가 48 hr, 0.3 g, 및 0.9 ml에서 최적 생산조건을 나타냈다.

주박으로부터 효모포자의 생산 (Producton of Yeast Spores from Rice Wine Cake.)

  • 임용성;배상면;김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84-189
    • /
    • 2004
  • 쌀 양조 후 남은 고체찌꺼기인 주박을 사용하여 Saccharomyces 효모 포자의 대량생산을 위하여 주박의 최적 전 처리과정, 최적 배지조성과 배양조건을 조사하였다. 포자형성을 위하여서는 주박으로 제조한 전포자형성배지(PSM)에서 효모를 배양한 추 1% potassium acetate로 구성된 포자형성배지(SM)에 10%를 재접종한 후 $25^{\circ}C$에서 4일간 포자형성을 시켰다. 주박과 물을 1:2 로 혼합한 후 $51^{\circ}C$에서 24시간 preincubation한 후 그 원심분리 상등액을 PSM으로 사용하여 48시간 배양하고 이를 다시 SM에 접종하여 4일 배양하였을 때 최대 포자 자낭 수 $0.72${\times}$10^{8}$ $m\ell$ 를 얻었다. SM배지에 1.4% 밀기울 국(koji)을 영양원으로 첨가하였을 때 형성된 자낭수는 $1.06${\times}$10^{8}$$m\ell$ 증가하였다 초기 SM pH가 5에서는 포자가 형성되지 않았으며, pH 7∼11에서 포자가 형성되었다. 한편 주박의 전 처리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절감하기 위하여, 전 처리 하지 않은 주박을 직접 사용하여 포자형성을 시켜보았는데, 1% 갈색설탕을 함유하는 PSM에 2% 그리고 SM에 0.5%의 전 처리 하지 않은 주박을 각각 첨가하였을 때, 최대 포자 자낭수 $1.27${\times}$10^{ 8}$ $m\ell$를 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