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횡토압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5초

도심지 인접 굴착 시 굴착벽에 작용하는 횡방향 토압에 대한 연구 (Active Earth Pressure Acting on Excavation Wall Located Near Existing Wall Face)

  • 이진선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3권12호
    • /
    • pp.67-74
    • /
    • 2012
  • 기존건물의 지하층과 인접하여 굴착 시 양단벽체 토사의 마찰로 발생하는 아칭효과는 굴착벽체에 작용하는 토압을 경감시키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굴착깊이에 대한 배면폭의 비와 벽마찰각의 변화에 따른 아칭효과의 변화를 다양한 조건에서 수치해석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수치해석 모델은 원심모형시험결과를 바탕으로 검증하여 적용하였으며, 아칭에 의한 토압경감 효과는 굴착깊이에 대한 배면폭의 비가 작고 벽마찰각이 커짐에 따라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아칭 현상은 기존의 아칭이론 중 Handy(1985)가 제안한 이론식을 통하여 가장 정확히 묘사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모래지반에서 벽체의 변위에 따른 수동측토압 산정 (Estimation of Mobilized Passive Earth Pressure Depending on Wall Movement in Sand)

  • 김태오;박이근;김태형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6권11호
    • /
    • pp.51-60
    • /
    • 2020
  • 횡방향의 토압에 저항하는 앵커블록, 흙막이 가설벽체, 레이커 지지블록 등에서 수동토압 산정은 중요한 요소이다. 실무에서는 사용의 편의성으로 인하여 파괴면을 직선으로 가정한 Coulomb과 Rankine의 이론을 사용하여 토압을 산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실제 발생하는 수동파괴면은 벽면과 지반의 마찰로 인하여 벽체부근에서는 곡면이고 지표부근에서는 평면이 되는 복합파괴면을 형성한다. 흙막이 구조물의 안정검토에서 저항력으로 산정되는 수동토압이 발생되는 변위는 주동토압이 발생되는 주동변위 보다 커 대부분 구조물의 안정성을 초과하는 변위가 발생하여야 수동토압의 저항력이 발휘되므로 수동토압을 설계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허용변위 이내의 임의변위에서 발휘되는 수동측토압의 산정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복합파괴면을 반영한 한계변위 내의 임의 변위에서 발휘되는 수동측토압을 산정할 수 있는 반경험식을 활용하여 벽체의 세 가지 거동조건에 따라 임의 변위에서 발휘되는 수동토압을 분석하였다.

복개 터널구조물에 작용하는 편토압 고려를 위한 수치해석적 연구 (A study on eccentric load acted on cut and cover tunnel by numerical approach)

  • 배규진;정형식;이규필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5권3호
    • /
    • pp.227-239
    • /
    • 2003
  • 복개 터널구조물은 친환경적 건설을 위하여 성토체는 일정 구배를 갖는 경사시공을 하게되고, 이로 인하여 복개 터널구조물에는 편토압이 작용하게 된다. 현재 복개 터널구조물의 설계를 위하여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구조공학적 해석시 연직토압은 콘크리트 라이닝 상부 성토체를 상재하중으로 고려하여 산정하고, 좌 우측에 작용하는 횡방향 토압은 정지토압 분포를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토압분포는 콘크리트 라이닝 좌 우측 측벽부 외측에서 성토체의 경사시공에 의한 편토압의 영향을 고려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토사면에 의한 편토압을 고려한 합리적인 복개 터널구조물 해석 및 설계를 위한 기본연구로써, 지반공학적 모델링 기법을 이용하여 성토사면에 의한 편토압 고려 방안을 제안하였으며, 구조공학적 해석기법을 통하여 제안된 편토압 고려방안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 PDF

RAP 복합지반의 지지력 및 파괴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Bearing Capacity and Failure Behavior of Composite Ground Reinforced by RAP Method)

  • 천병식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5호
    • /
    • pp.127-134
    • /
    • 2004
  • 본 연구는 RAP공법의 구조물 기초로서의 안정성 및 사용성 확보를 위한 기초연구로써, RAP공법이 적용된 지반의 지지력 및 파괴거동을 실내모형토조시험을 통하여 검토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RAP 공법을 구조물 기초로서의 파괴거동을 파악하기 위한 실내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사질토 지반에서 상대밀도별(60%, 70%, 90%), 직경 별(45mm, 60mm, 70mm)로 RAP를 설치한 후 깊이별(5cm, 10cm, 15cm, 20cm, 25cm, 30cm)로 토압계를 각각 RAP에 인접한 곳과 RAP 중심에서 1.0D 떨어진 곳에 설치하여 하중재하 실험을 수행하여 RAP의 지지력 및 파괴거동을 검토하였다. 실험 결과 RAP의 파괴거동은 깊이 5∼10cm(1.0D∼2.0D)에서 최대 횡토압을 받아 일반적인 RAP의 파괴 형태인 Bulging 파괴가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리고 RAP에 하중을 가하였을 경우 상대밀도가 낮을 경우에는 RAP의 직경변화가 컸으며 상대밀도가 높을 경우에는 RAP의 직경변화가 작음을 알 수 있었다. 깊이별 횡방향 응력 분포도는 상부에서 횡토압의 영향이 크게 나타났으며 하부로 내려갈수록 작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캔틸레버 옹벽의 거동에 대한 수치해석적 연구 (Numerical Analysis on Behavior of Cantilever Retaining Walls)

  • 장인성;정충기;김명모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2권4호
    • /
    • pp.75-86
    • /
    • 1996
  • 현재 옹벽해석에 사용되는 Rankine이나 Coulomb의 토압산정방법은 벽체 뒤의 토사가 파괴상태에 도달하였다는 가정조건에 근거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충분한 횡방향 변위가 발생하여야 한다. 최근의 현장시험 등을 통한 많은 연구에서는 옹벽에 작용하는 수평주동토압이 Rankine이나 Coulomb의 토압보다 크게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발생 수평변위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Drucker Prayer의 지반구성모델을 이용한 유한요소해석을 통하여 캔틸레버식 옹벽의 벽체 지주와 가상배면에 작용하는 수평주동토압을 발생변위와 함께 분석하였으며, 아울러 경사진 뒤채움이 수평주동토압에 미치는 영향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옹벽에 작용하는 수평주동 토압은 발생변위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Rankine과 Coulomb의 방법은 작용수평주동토압을 과소평가하고, 경사진 뒤채움의 수평주동토압증가효과도 과소평가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본 해석결과를 토대로 수평주동토압을 간편하게 산출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였다.

  • PDF

상재하중 이격거리를 고려한 GRS-RW 공법의 토압해석 및 설계 (Horizontal Active Thrusts and Design of GRS-RW System for Distanced Surcharge)

  • 방윤경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15-29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GRS-RW 공법의 전면부벽체 배면으로부터 다양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등분포상 재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이러한 인접상재하중의 영향을 고려한 횡토압 예측방법을 한계평형해석에 의해 제시하였으며, GRS-RW 공법의 설계시 참고할 수 있는 예비설계(preliminary design)용 설계 도표를 제시하였다. 제시된 토압 합력의 예측방법은, 전면부벽체 배면으로부터 상재하중이 작용하는 지점까지의 수평거리를 고려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지진하중 작용시 전면부벽체 및 뒷채움 자중에 의한 수평.연직관성력의 영향을 고려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제시 해석법은, 점성토뒷채움의 경우에 흔히 적용되는 복합지오텍스타일 보강토공법의 해석시에 추후 적용 가능하도록 점착력이 있는 뒷채움(c-$\phi$ soil)에서 발생 가능한 인장균열의 영향을 고려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제시 해석방법의 효율성 및 적합성 등을 확인하기 위한 다양한 분석결과, 상재하중 이격거리비가 약 0.60~0.70 이상인 경우에는, 특히 상재하중의 크기 및 설계수평진도가 증가할수록, 또는 보강재의 연직간격이 0.3, 0.4m로 비교적 작은 경우에는, Jarquio의 수정 Boussinesq방정식을 이용한 토압 계산방식의 적용시 불안전측의 설계가 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해석방법은, 전면부벽체의 경사가 연직인 경우로 한정하였다.

  • PDF

뒷채움의 다짐에 의한 횡방향(橫方向) 토압(土壓) (Compaction Induced Lateral Earth Pressures)

  • 정성교;정인준;김명모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51-64
    • /
    • 1991
  • 옹벽(擁壁), 교대(橋臺), 지하벽(地下壁), 암거(暗渠) 암거(暗渠) 등(等)의 뒷채움 다짐으로 유발(誘發)되는 토압(土壓)을 산정(算定)하기 위하여 Ko조건(條件) 하(下)에서 응력이력(應力履歷)을 고려한 다주기(多週期) 이력모형(履歷模型)을 제안(提案)하고, 이 모형(模型)을 사용하여 새로운 다짐유발토압산정(誘發土壓算定) 이론식(理論式)을 개발(開發)하였다. 새로이 개발한 이론식(理論式)을 두 현장실험(現場實驗) 결과(結果)에 적용(適用)한 결과(結果) 좋은 일치(一致)를 보여 주었다.

  • PDF

역 T형 옹벽에 뒤채움다짐으로 유발된 횡토압의 현장계측 (Field Measurements of Compaction-Induced Lateral Earth Pressure on a Reversed-T Type Retaining Wall)

  • 정성교;이만렬;정진교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1권2호
    • /
    • pp.5-18
    • /
    • 1995
  • 높이 4m의 역 T형 옹벽에 다짐으로 뒤채움할 경우에 유발되는 토압을 측정하기 위하여 3개월 동안에 현장실험을 실시하였다. 옹벽에 작용하는 토압은 뒤채움이 완료된 후 시일이 경과함에 따라 큰 폭으로 변화하였으며, 옹벽의 변위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토압의 계측결과는 강성옹벽에 적용가능한 이론식에 의한 것보다 훨씬 크게 얻어졌었다. 유한요소해석에 의하여 얻어진 결과는 계측치와의 사이에 정량적인 차이는 있지만, 비교적 좋은 경향성을 보여 주었다. 그리고 기존의 이론식에서 보인 과소평가는 뒤채움이 진행되는 동안에 유발되는 옹벽의 변위 때문인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시험도로 토압계 계측결과 분석 (An Analysis of Soil Pressure Gauge Result from KHC Test Road)

  • 인병억;김지원;이경하;이광호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8권3호
    • /
    • pp.129-141
    • /
    • 2006
  • 아스팔트 포장은 점탄성재료로서 포장체에 발생되는 토압은 차량하중의 크기와 재하속도, 아스팔트 포장층의 온도와 하부층의 재료구성에 따라 크기와 분포 양상이 다르게 발생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다양한 조건에 따른 포장체 하부의 토압분포를 분석하고, 기층과 보조기층의 지지력을 평가하는 평판재하시험 기준과 실제 계측된 토압과의 비교를 통해 현재 적용되고 있는 지지력기준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또한 실제 포장단면을 모사한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포장체 하부에 발생되는 토압을 예측하고 계측결과와 비교함으로서 포장체의 거동을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제안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시험도로의 2004년 8, 9, 11월과 2005년 8월에 계측이 수행된 아스팔트 포장 동적재하시험 결과 중 계측기 상태가 양호한 A5, A7, A14, A15 단면에 대해 계측결과의 분석을 수행하였다. 토압계의 분석은 차량하중의 크기와 속도. 아스팔트 포장의 온도, 포장하부의 재료구성에 따른 토압의 크기 변화와 차량하중으로 인한 포장체 내부의 횡방향과 깊이방향 하중의 영향 범위를 분석하였다. 포장체의 유한요소해석은 ABAQUS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실제 포장체의 거동을 모사하기 위해 시험도로 포장단면을 그대로 반영하고 계측이 이루어진 당시의 온도계측 자료를 활용해 아스팔트 포장의 물성을 적용하였다. 토압계의 분석결과 차량의 하중이 크고 저속으로 주행 할 때 토압의 크기는 증가하고 아스팔트층의 온도가 높을수록 하중의 영향반경이 작아지고 최대 토압크기는 증가하였다. 또한 실제 포장단면과 물성을 적용한 해석결과 계측결과와 매우 유사한 형태의 토압분포와 크기를 보였다. 그리고 기존 보조기층 및 동상방지층의 다짐관리 기준은 실측된 토압과 비교해 볼때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다양한 요구에 의해 변화하는 조건들을 수용하기 쉽기 때문에 이에 중점을 두고 성능 문제를 해결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일련의 처리 과정에 따라 DBMS를 구성하는 개체들과 속성, 그리고 연관 관계들이 모델링된다.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Application / Query / DBMS Level의 3개 레벨에 따라 구조화되며, 본 논문에서는 개체, 속성, 연관 관계 및 데이터베이스 튜닝에 사용되는 Rule of thumb들을 분석하여 튜닝 원칙을 포함한 지식의 형태로 변환하였다. 튜닝 원칙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하는 일종의 황금률로써 지식 도매인의 바탕이 되는 사실(Fact)과 룰(Rule) 로써 표현된다. Fact는 모델링된 시스템을 지식 도매인의 하나의 지식 개체로 표현하는 방식이고, Rule 은 Fact에 기반을 두어 튜닝 원칙을 지식의 형태로 표현한 것이다. Rule은 다시 시스템 모델링을 통해 사전에 정의되는 Rule와 튜닝 원칙을 추론하기 위해 사용되는 Rule의 두 가지 타업으로 나뉘며, 대부분의 Rule은 입력되는 값에 따라 다른 솔루션을 취하게 하는 분기의 역할을 수행한다. 사용자는 제한적으로 자동 생성된 Fact와 Rule을 통해 튜닝 원칙을 추론하여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으며, 요구나 필요에 따라 GUI를 통해 상황에 맞는 Fact와 Rule을 수동으로 추가할 수도 었다. 지식 도매인에서 튜닝 원칙을 추론하기 위해 JAVA 기반의 추론 엔진인 JESS가 사용된다. JESS는 스크립트 언어를 사용하는 전문가 시스템[7]으로 선언적 룰(Declarative Rule)을 이용하여 지식을 표현 하고 추론을 수행하는 추론 엔진의 한 종류이다. JESS의 지식 표현 방식은 튜닝 원칙을

  • PDF

토압분리형 교량의 보강토옹벽의 높이와 기초지반 강성에 따른 침하량 검토 (A Study on Settlement according to Height and Ground stiffness on the MSEW on the IPM Bridge)

  • 박민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399-409
    • /
    • 2018
  • 토압분리형 교량의 보강토옹벽은 교량을 구성하는 중요 구조물이고, 횡방향 토압과 접속슬래브를 지지한다. 보강토옹벽의 침하는 상부 구조의 손상과 접속부의 단차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토압분리형 교량의 보강토옹에 대한 침하량을 면밀히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토압분리형 교량의 보강토옹벽에 대한 높이와 기초지반의 강성에 따른 침하량을 검토하였다. 보강토옹벽을 높이 4.0 ~ 10.0m로 설계하고, 탄성침하량을 산정하였다. 보강토 옹벽의 높이에 따라 보강토옹벽의 저면 면적과 접지압이 선형적으로 증가되었다. 그 이유는 옹벽 높이가 증가됨에 따른 보강토체의 자중의 증가 때문이다. 자중의 증가로 인해 탄성침하량도 선형적으로 증가되었다. 구조물기초설계기준 해설에 제시된 보강토옹벽 탄성침하량 이론식을 통해 침하량을 산정한 결과, 보강토옹벽의 높이가 증가됨에 따라 비례하여 침하량이 증가하였고 기초지반의 N치가 35 이상이 되어야 접속슬래브의 허용침하량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보강토옹벽의 높이와 기초지반의 강성에 따른 침하량 산정 결과, 기초 지반의 강성이 증가함에 따라 최대침하량은 탄성침하량과 동일하게 감소하였다. 탄성침하량은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산정된 침하량보다 과다 산정되었다. 이는 탄성침하량이 보강토체를 연성기초로 가정하고 기초 지반을 반무한 탄성체로 가정하기 때문이다. 토압분리형 교량의 보강토옹벽은 교량을 구성하는 중요 부재이므로 침하량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그로인해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여 침하량을 산정하는 것이 보다 합리적인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