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횡적 하천공간

Search Result 7,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Ecological Assessment Technique of Connectivity to Disconnected Floodplains by Levee (격리차단된 제내지 하천환경의 생태적 연계성 평가 기술)

  • Cho, Kang-Hyun;Jin, Seung-Nam;Cho, Hyun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7-7
    • /
    • 2017
  • 범람파동 개념에 따르면 하도와 홍수터의 횡적 연결성은 하천 생태계의 생물다양성과 생산성 증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제방에 의하여 제내지 홍수터가 하도와 차단된 우리나라 하천에서 생태적 서비스를 증대하기 위해서 횡적 연결성을 복원하는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횡적 연결성의 복원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우선 하도와 홍수터 사이에 생태적 연결성의 현황을 파악하고 연결성을 저해하는 요인을 진단하는 평가 기술 개발이 시급히 요청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방에 의하여 차단된 제내지 하천환경에서 수리적, 생태적 횡적 연결성을 평가하고 진단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연결성 회복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차단된 제내지 하천환경 평가는 1)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차단된 하천공간을 탐색하고, 2) 탐색된 전체 재내지에서 원격평가에 의하여 간편하게 횡적 연결성 평가를 실시하고, 3) 선정된 특정 제내지 대상지에서 현장평가에 의하여 상세하게 연결성을 평가하는 순서로 수행된다. 차단된 하천공간의 획정은 홍수가 범람할 수 있는 제내지 공간을 잠재적 하천공간으로 정의하고 수치표고모델 (DEM)과 하천기본계획의 30년 빈도 홍수위 자료를 이용하여 제내지 홍수터를 탐색하였다. 제내지 홍수터의 원격 연결성평가는 지리정보시스템에서 수치지도와 토지피복도 등 공간자료를 이용하여 수리 및 서식처 환경성, 제방 차단성과 하도 및 육상 연결성을 평가하고 원격평가 결과를 토대로 현장평가 대상지를 선정하였다. 횡적 연결성의 현장평가를 위하여 크게 하도-홍수터 연결성과 제내지 서식처 보존성으로 평가 항목을 선정하였다. 또한 연결성 평가는 수리연결성과 생물연결성으로, 서식처 보존성 평가는 습지유지율, 습지보존성, 육역지보존성을 세부항목으로 구성하였다. 평가 항목별로 5 등급의 평가 기준에 따라서 평가 점수를 부여하고 평가 총점을 산출하여 최종 연결성 평가 등급을 5 단계로 구분하였다. 현장평가를 위한 MS Access 기반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데이터 입력과 관리 및 평가 결과 산출과 비교를 편리하게 하였다. 개발된 제내지 하천환경 평가법을 청미천과 만경강에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개발된 평가법을 바탕으로 차단된 제내지 하천환경에서 연결성 회복에 따른 어류와 식생의 분포를 예측하는 수리생태 결합모델을 개발하였다. 먼저 차단된 제내지에서 연결 수로를 복원하여 유속, 수심 분포를 준이차 수리수문 모델로 예측하였다. 예측된 수리 환경에 따라서 지표어종의 서식처 적합도 지수 (HSI)를 이용하여 서식 분포 확률을 모의하였다. 또한 일반화가법모델 (GAM)을 이용하여 환경구배에 의한 우점식생의 분포를 예측하였다. 차단된 제내지 하천환경의 생태적 연계성 평가 기술을 기반으로 제방제거, 제방후퇴, 제방고 하강, 수문 및 연결수로 개선, 생물이동 저해 장벽 제거 등의 다양한 복원기술이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Flow Analysis Based on the Recovery of Lateral Connectivity in the River (하천 내 횡적 연결성 회복을 통한 흐름 해석)

  • Lee, Jin Woo;Chun, Seung Hoon;Kim, Kyu-Ho;Kim, Chang Wa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6 no.2
    • /
    • pp.213-220
    • /
    • 2014
  • Recently, river maintenance is change due to concern for the environment increases. Thus, the river restoration and river environment is best part of river maintenance. In case of Korea, existing river is improvement straightly for flood control and transportation. When the stream channel is straightly, maintain stability is important. Thus, construction of levees along the river. The various river structures for the purpose of flood control and transportation are inhibit factors of longitudinal and lateral connectivity. Connectivity is defined as the maintenance of lateral, longitudinal, and vertical pathways for biological, hydrological, and physical processes. Long-term point of view, increased connectivity is very important for a healthy ecosystem composition. As the first step of river restoration, this study described theory and concept of river continuum and the numerical model was applied to a real topography to simulate the flow analysis with or without segregated and blocked space in the Mankyung ri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to develop the watershed connectivity assessments methods in order to the river restoration.

A Study on River Management for the Restoration of Aquatic Ecosystem Connectivity (수생태계 연결성 회복을 위한 하천관리방안)

  • Jong-Yoon Park;Ji-Wan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92-492
    • /
    • 2023
  • 담수 생물종 시식역의 보전을 위해 하천 연결성 유지와 회복이 중요하지만, 하천관리에 있어 이를 고려하기 위한 기초자료나 관련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인공장벽(artificial barrier) 영향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어류이동에 초점을 두고 있거나, 그 공간적 범위를 제한하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는 강과 하천을 연속체 개념으로 접근하여 생태학적 과정을 방해할 수 있는 모든 인위적 구조물을 인공장벽으로 간주하고, 댐과 저수지, 보와 같이 하천의 종적 연결성을 저해하는 3개 유형의 인공 구조물에 대해 공간자료를 구축하였다. 수치지형도로부터 하천중심선과 수리시설물(보), 호소 및 저수지 경계를 교차(intersection) 분석하여 유형별 구조물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기존 자료와의 비교·검증을 통해 자료의 신뢰성을 도모하였다. 인공장벽에 대한 공간자료는 구조물의 유형에 따라 국가하천과 지방하천, 소하천으로 구분하고 낙동강 대권역 내 총 195개 표준유역에 대해 밀도(barrier density)를 계산하였는데, 여기서의 밀도는 하천 연장에 대한 총 인공장벽의 수로 정의(barriers/km)된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낙동강 유역 내 인공 장벽의 밀도와 유형, 하천별 공간분포에 대한 정량적 평가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수생태계 연결성 회복을 위한 하천관리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분석 방법과 결과 등 자세한 내용은 발표를 통해 제시될 예정이다.

  • PDF

Experiments for Hydraulic Stability of Levee Revetment Block (호안블록의 수리적 안정성 실험)

  • Lee, Min-Ho;Choi, Hu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018-1022
    • /
    • 2007
  • 본 연구는 친수공간 확보에 따른 경관호안 블록의 개발과 홍수시 수리적 안정성을 가져올 수 있는 블록의 규격은 물론 블록의 형상에 따른 상호 맞물림과 블록간의 고정 등 수리적으로 안정성을 제공해 주는지를 수리모형실험을 통해서 분석하였다. 바닥 사석공에서는 아무런 맞물림이 없는 상태에서보다는 맞물림을 주었을 경우가 안정성이 크게 나왔고 그 맞물림의 량이 많은 조건으로 실험한 육각형 다이아몬드블록의 결과가 안정성이 더 크게 나왔다. 사석의 경사시공에서는 횡적구속만 주었을 경우보다는 종·횡적구속을 주었을 경우가 안정성이 크게 나와 두방향의 구속이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실험결과는 블록의 크기, 형상 및 맞물림에 따른 유속, 수심, Froude수, Shields수, 바닥전단응력, 입자 Reynolds수의 분석을 통해 얻었다.

  • PDF

A Study on Flood Storage Plans of Farmlands for Extreme Flood Reduction (극한홍수 저감을 위한 농경지의 저류지화 방안 연구)

  • Kang, Hyeong-Sik;Cho, Seong-Yun;Song, Young-Il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4 no.10
    • /
    • pp.787-795
    • /
    • 2011
  • Extreme water events such as heavy rainfalls due to recent climate change are continually increasing and their scale has also shown an increasing trend. To overcome these natural disasters, this policy study suggests securing lateral river space as an effective method for extreme flood. To support the importance of restoration and expansion of lateral river space, Gumi upstream region of the Nakdong River basin was chosen as a target area and flood reduction analysis of the washland by using LISFLOOD model have been examined. The 500-year frequency flood was simulated for the estimation of possibly occurable flood level and it turns out that the secured lateral river space on the selected site effectively lowers about 0.53 m flood level and reduces the flood damage of the city on the lower reaches of the river. In addition, based on this result, multilateral river space securing plans were compared, and conservation easement and natural disaster insurance were suggested for sustainable and cost-effective alternatives. The costs of land purchase and conservation easement for securing the river space were also compared.

Development of Hydraulic Analysis and Assessment Models for the Restoration of Ecological Connectivity in Floodplains Isolated by Levees (하천 제방에 의하여 차단된 홍수터에서 생태적 연결성 회복을 위한 수리분석 및 평가모형 개발)

  • Chegal, Sun Dong;Cho, Gil Je;Kim, Chang Wan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3 no.4
    • /
    • pp.307-314
    • /
    • 2016
  • River restoration has recently been performed not only for the improvement of the artificial parts in the past but also for the restoration of abandoned river reaches which were blocked and isolated. For the restoration of abandoned river reaches, it is important to recover the hydraulic and ecological connectivity in the isolated space by longitudinal structures like levees. But because the assessment tools to determine whether the river restoration is performed properly are so rare at present, we aim to provide a tool for assessing ecological connectivity in a target river in this study. In the first step, one-dimensional numerical model for rainfall-runoff and channel routing was developed and then applied to the watershed of the Cheongmi Stream. In this step, a numerical model was developed to assess the restoration of connectivity. The model consists of two parts: one part is to convert the results of one-dimensional channel routing into two-dimensional spatial distribution. The other is to calculate the habitat suitability index according to time steps by using two-dimensional hydraulic features. The model was applied to a restoration area of the Cheongmi Stream. The advantage of this study is that two-dimensional hydraulic analysis can be easily obtained from one-dimensional hydraulic analysis without a complex and time-consuming two-dimensional analysis. HHS (Hydraulic Habitat Suitablility) by sections of target reaches and target species can be easily obtained u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Vertical Accretion Rate in a Coastal Wetland - In case of Sunchon bay estuarine marsh, south coast of Korea - (해안습지 성장률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 순천만 염하구 해안습지를 사례로 -)

  • Park, Eui-Jo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6 no.3
    • /
    • pp.153-168
    • /
    • 2000
  • An estuarine marsh is semi -inclosed inlets, located between coastal and terrestrial environment. The sediment transport by river and tide through tidal river and vertical accretion by sediment accumulation are important processes in estuarine marsh. An analysis of the vertical accretion rate at various time scale is important work for understanding and managing coastal environ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vertical accretion rate in an estuarine marsh, Sunchon Bay, in the southern coastal region of Korean peninsula. The methods of analysis are sedimentation rate by individual tidal cycle, annual accretion rate, concentration of total suspended load in water column. Spatial characteristics of sedimentation rate by individual tidal cycle was investigated using 30 filter paper traps. Sedimentation rate by individual tidal cycle at levee edge was higher than that at back marsh. The sedimentation rate decreased with distance from estuarine front. Levee effect and proximity to the turbidity maximum zone result in a higher sedimentation rate in the levee edge. There is a weak relation-ships between tidal regime and sedimentation rate by individual tidal cycle. Spatial cahracteristics of annual accretion rate was investigared using 30 artificial marker plots. Annual accretion rate at back marsh($1.5{\sim}3.5cm/yr$) was higher than that at tidal river levee edge($0.8{\sim}3.0cm/yr$). Total suspended load (TSL) concentrations in water column also indicate this spatial characteristics of annual accretion rate. TSL concentration in water column leaving the vegetation part dramatically decreased. There is a very strong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suspended load and accretion rat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nnual accretion rate is controlled by vegetation cover and proximity to the turbidity maximum zone. This difference of spatial characteristics of vertical accretion rate ar various time-scale was due to the fact that surface sediment of levee edge was eroded by tide and other factor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vertical accretion rate are different from various time-scale. Second, the major mechanism for the vertical accretion rate in this region is suspended load trapping by vegetation. Third, this region is primarily a depositional regime over the time-scale of the present data Fourth, this estuarine marsh is accreting at rates beyond other are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