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횡단보도

Search Result 217,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Comparison of Pedestrian Walking Characteristics Between Highway Crosswalk and Pedestrian Underpass (횡단보도와 지하보도간의 횡단보행특성 비교)

  • 임종훈;김동녕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8 no.5
    • /
    • pp.17-29
    • /
    • 2000
  • 본 연구는 지하횡단보도 이용시 계단에서 나타나는 보행자 특성에 관한 연구로써, 교차로에서 횡단보도와 지하보도에서 보행자의 편의성을 정량화한 것이다. 지하보도 계단에서의 보행자특성에 관한 연구, 즉 속도, 밀도와 보행자교통량에 관한 연구는 비디오촬영을 통하여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지하보도나 횡단보도 횡단시 이동 거리, 소요시간, 소요에너지는 보행자특성 분석에서 나온 결과와 직접 시설을 조사한 자료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하보도 계단에서 보행자 속도는 상향이동시의 평균속도는 37.7m/분(또는 0.67m/초)이고, 하향이동시의 평균속도는 46.7m/분(또는 0.77m/초)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균 이동거리는 단순횡단의 경우 지하보도는 119m이고, 횡단보도는 78m이다. 대각횡단의 경우 지하 보도는 161m이고, 횡단보도는 111m이다. 평균 소요시간은 단순횡단의 경우 지하보도는 125.6초이고, 횡단보도는 111.3초로 나타났다. 대각횡단의 경우 지하보도는 162.3초이고, 횡단보도는 178.8초로 나타났다. 평균 소요에너지는 단순횡단의 경우 지하보도는 20.2kcal이고, 횡단보도는 4.7kcal이다. 대각횡단의 경우 지하보도는 23.5kcal이고, 횡단보도는 6.6kcal이다. 단순횡단시 지하보도가 횡단보도보다 이동거리는 평균 1.5배 더 길고, 시간은 평균 1.2배 더 소요되고, 에너지는 평균 4.5배가 더 소요된다. 대각횡단시 이동거리는 평균 1.5배 더 길고, 소요시간은 비슷하고, 에너지는 평균 3.5배 더 소요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교차로나 가로구간에 지하보도만 설치되어 있는 지점에 횡단보도의 설치여부에 관한 정책결정을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Development of Design Criteria for Crosswalks at Signalized Intersections (신호교차로 횡단보도 설치기준에 관한 연구)

  • 하태준;박제진;이형무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1 no.4
    • /
    • pp.47-56
    • /
    • 2003
  • There are no specific criteria deciding what type of crosswalk installs although 4 typed crosswalks at signalized intersections classify according to number of stop line, spacing from the border of intersections and existence of traffic islands or not. Accidents involving pedestrians at signalized intersections are classified by type of crosswalks by traffic volume, pedestrian volume at crosswalk, intersection geometry and phase in view of pedestrians' safety at 50 intersections in Gwangju. The Multiple regression models are applied to express the pedestrian accident rate. In addition, process deciding what type of crosswalk installs which includes accident rate involved pedestrian is changed into number of accident is represented to reduce number of accidents. This paper presents what type of crosswalk installs in order to reduce pedestrian involved accidents at new or existing crosswalk.

A Comparative Analysis on Installation Locations of Crosswalk Markings at Signalized Intersections (교차로 내 횡단보도 설치 위치에 관한 비교 분석 연구)

  • 이호원;장덕명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b
    • /
    • pp.195-195
    • /
    • 1998
  • 보행자 사고는 총 교통사고의 32.9%(사망 5,070명, 부상 87,943명)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중 횡단보도 사고는 13.0%(사망 542명, 부상 10,056명)로 대책이 시급하다. 교차로 내에서 횡단보도의 위치가 부적절하면, 보행자 안전과 차량 교통소통에 악영향을 준다. 또한 우리 나라에선 명확한 기준이 없어 횡단보도 노면표지 설치 및 유지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교차로에서 횡단보도의 위치는 다음과 같이 3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1) 차량 정지선이 횡단보도 전방에 설치되어 진행 차량이 횡단보도를 통과하여 대기할 수 있는 공간이 있는 경우, 2) 횡단보도가 측면차량 진행방향의 연석선상(가각선의 끝 지점)에 근접하여 설치된 경우, 3) 횡단보도가 측면 좌·우회전 차량1대가 대기할 수 있는 공간의 약 4∼5m 후방(가각선의 시작지점)에 설치된 경우로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차량소통 및 보행자/차량 상층에 분석하여 교차로 내 횡단보도 위치기준을 제시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한 기대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횡단보도 내 보행자 관련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둘째 교차로에서 보행자 및 차량소통을 원활히 할 수 있고, 셋째 횡단보도 설치 및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Contributory Negligence Study on Traffic Accident in Area Between Crosswalk and Stop Line at Intersections (횡단보도와 횡단보도 정지선간 이격공간에서의 과실상계 연구)

  • 신성훈;장명순;김남현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1 no.5
    • /
    • pp.41-48
    • /
    • 2003
  • Korea Claim Adjustor Association(KCAA) defines the near pedestrian crossing accidents as those accidents that occurred in the area within 25m from pedestrian crossing on the arterial road and within 15m from pedestrian crossing on other classes of road. Accidents between pedestrian crossing and stop line are classified as the accident near pedestrian crossing. Reviewing of current statute and court precedent, three kinds of traffic accidents which are accidents occurred in the pedestrian crossing. near pedestrian crossing and the area between pedestrian crossing and stop line. should be distinguished by different pedestrian contributory negligence. To find out how different they are. we surveyed transportation society members about the contributory negligence of traffic accidents between pedestrian crossing and stop line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current two classification of pedestrian crossing accidents and near pedestrian crossing accidents should be changed to three classification of pedestrian crossing accidents that includes accidents on pedestrian crossing, near pedestrian crossing and between pedestrian crossing and the stop line. (2) For the pedestrian's contributory negligence, the least reasonability to pedestrian is accident on the pedestrian crossing. The next one is the accident between pedestrian crossing and stop line and the last is the accident near pedestrian crossing. (3) Pedestrian contributory negligence for accident by space is recommended as 〈table 8〉, 〈table 9〉, 〈table 10〉. (4) Contributory negligence rate of the accident on the pedestrian crossing during red light should be modified to be less than that of near pedestrian crossing.

An Analysis of Pedestrian Behavior at Crosswalks of Signalized Intersections (신호교차로 횡단보도 위치에 따른 보행자의 행태분석)

  • 신미영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b
    • /
    • pp.311-311
    • /
    • 1998
  • 일반적으로 교차로에서의 보행자 사고는 대부분이 횡단보도에서나 횡단보도 주변에서 발생하는 것이 많다. 이것은 운전자의 안전의식부족뿐만 아니라 보행자들이 교통법규를 지키지 않기 때문이다. 교통사고는 운전자나 보행자를 막론하고 안전의식 수준 및 안전시설의 질적 수준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특히 횡단보도 위치와 관련한 정지선에 대한 기준이 없어서 횡단보도 전후에 정지선이 2개가 설치된 곳이 많아 차량간의 사고를 유발하고, 보행자는 보행동선을 단축하기 위해 횡단보도 주변횡단이라는 위험한 행태를 유발하지만 이에 대한 연구나 대안제시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요인분석법이란 다변량 통계기법을 통해서 사고기록과 형태자료를 분석하였다. 사고기록은 정지선이 2개에서 1개로 변경된 25개 교차로에 대한 보행자와 차량의 유형별, 위치별, 피해정도별 사고기록을 조사 분석하고 행태분석은 현재 정지선이 2개인 곳과 기하구조가 유사한 정지선 1개인 곳을 하나의 쌍으로 해서 모두 8쌍(16개의 교차로 횡단보도)를 조사 분석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설문조사를 통해서 보행자의 교통법규 준수와 인식정도에 대한 조사를 통해 보행자들의 인식과 행태조사를 통한 교통법규 준수 정도를 알아보았다. 사고자료의 분석을 통해서 첫째, 정지선이 2개인 교차로는 교차로내 차량사고, 접근부의 후면 추돌사고, 횡단보도에서 보행자사고가, 둘째, 정지선이 1개인 교차로는 유출부 차량사고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행태자료의 분석을 통해서는 첫째, 정지선이 2개인 곳은 횡단보도를 이탈 또는 진입하면서 횡단하는 보행자, 점멸신호에 횡단 시작하는 보행자의 행태와 보행자 신호에 횡단보도를 통과하는 차량, 둘째, 정지선이 1개일 때는 횡단보도를 침범해서 정지하는 차량, 도로에 내려서서 기다리는 보행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설문조사와 행태조사를 종합하면, 보행자들의 인식으로는 약 71%의 응답자와 점멸신호의 의미를 알고, 전체 응답자의 약 58%가 점멸신호에 건너지 않고 기다린다는 응답(교통법규준수)을 했으며, 실제 행태에서는 약 12.4%가 위반하는 것(87.6% 법규준수)으로 나타났다. 보행자들이 응답한 것보다 실제 행태에서는 더 많은 보행자가 교통법규를 준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횡단보도를 이용하는데 있어서 횡단보도를 침범하는 차량과 신호시간이 적다는 의견이 많았다.

  • PDF

A case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pedestrian crossing (횡단보도설치취소소송에서의 소송요건에 관한 연구 (대법원 2000.10.27.선고, 98두8964판결에 관한 검토를 중심으로))

  • 홍성필;박영욱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0 no.3
    • /
    • pp.179-192
    • /
    • 2002
  • 주차금지, 일방통행. 본 논문에서의 횡단보도와 같은 교통표지는 개별적 행위로서 행정행위가 아니라 불특정 다수의 행위를 추상적으로 규율하는 특성을 지닌다. 현행 도로교통법상 횡단보도의 설치여부는 지방경찰청장의 재량 사항으로 규정되어 있어 경찰이 횡단보도를 새로 설치하거나 기존의 횡단보도를 폐지하는 경우 관할 경찰청은 물론 관계 행정청에 이를 설치 혹은 폐지해달라는 민원이 매우 많아 일선 경찰공무원 등이 많은 애로를 느끼고 있으며 급기야는 본고에서 검토할 사례의 경우와 같이 행정소송을 통해 뜻을 관철하고자 하는 경우까지 생겼다. 횡단보도의 설치와 관련한 대법원 판결(대법원 2000.10.27.선고, 98두8964판결)이 이제 처음 나왔지만 시민의 권리의식의 향상에 따른 소송의 증가경향으로 미루어 앞으로 이와 유사한 문제제기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본고에서는 횡단보도의 설치와 관련한 행정소송에 대한 최근 대법원판결에 대한 심층분석을 통하여 그 의미와 문제점을 지적함으로써 앞으로 이와 유사한 사례에 대한 판단에 있어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즉 횡단보도 설치행위의 적법성과 관련한 소송에서 가능한 본안심리를 통해 국민의 권익구제의 기회 내지 가능성을 열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점과 현재 원고적격의 범위가 확대되어 가고 있는 추세에 비추어 앞으로 횡단보도의 설치와 관련한 원고적격의 범위 역시 확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방향에서 법규정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였고 이를 통해 횡단보도의 설치 및 폐지에 따른 경찰 등 관계 행정청의 관심과 신중을 촉구하였다. 또한 횡단보도 설치행위의 처분성과 관련하여 횡단보도의 설치행위와 같은 일반적인 명령을 항고소송의 대상으로 할 필요성이 존재한다면 이른바 독일에서의 일반처분이라는 개념을 무리하게 받아들여 이를 행정행위의 한 유형으로 한다거나 우리 판례와 같이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법적 효과"를 미치는 명령이라는 명확치 않은 기준에 의하여 처분성을 인정하기보다는 일반적인 명령과 개별적인 행정행위를 구분하고 명령에 대하여도 취소소송의 대상으로 삼도록 하는 보다 명확하고 일관성 있는 논의전개를 제안하였다.

Comparative Evaluation of Staggered Pedestrian Crossings and Pedestrian Crossings by Using Risk Analysis (위험도분석을 통한 이단횡단보도와 일반횡단보도의 비교평가)

  • Kim, Tae-Ho;Park, Jun-Tae;Lee, Yeon-Hyung;Rho, Jeong-Hyu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5 no.6
    • /
    • pp.1287-1295
    • /
    • 2015
  • This research is the study on the comparative evaluation of SPC (Staggered Pedestrian Crossings) vs PC (Pedestrian Crossings) using risk analysis. Accident factor was elicited by survey of driver's and pedestrian's at SPC & PC. I estimated the weight of a risk of violation and a mental burden by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and compared degree of risk at SPC AND PC. In conclusion, a new alternative plan of a pedestrian crossing system, staggered pedestrian crossing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traffic flow, pedestrian's crossings which plats an important role in traffic flow, pedestrian's convenience and traffic safer is sager than pedestrian crossings the degree of risk used this study doesn't imply an measure of the number of accident and the rate of accident, in estimating the degree of risk of pedestrian crossings, we should analyze more data of accident, behaviors, and road circumstance to include driver's and pedestrian's violation behavior in an estimate index.

Estimation of Crosswalk Pedestrian Volume at Signalized Intersection (신호교차로 횡단보도 보행량 추정에 관한 연구)

  • 하태준;김정현;박제진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1 no.3
    • /
    • pp.121-134
    • /
    • 2003
  • Forecasting models for crosswalk pedestrian volume, which consider safety of crosswalks and good traffic operation accidents, have been established in order to reduce total number of crosswalk pedestrian accidents. However, the existing models did not include pedestrian volume which seemed to be very significant in the forecasting models because there were no pedestrian volume related data and no methods of estimating pedestrian volume. This paper presents estimating models for the total number of trips, which are produced in zone i and attracted to zone j, and a process of estimating pedestrian volume in the goal year. First of all, the estimating models included the characteristics of land-use around a signalized intersection and the crosswalk pedestrian volume as factors. Secondly, the estimated crosswalk pedestrian volume was distributed to the crosswalk pedestrian volume each path in the basic year by friction factors of Gravity Model, adjustment factors for area and ratio of pedestrian volume who moved diagonally at the crosswalk. Thirdly, the estimating models of crosswalk pedestrian volume in the goal year were presented by using the distributed crosswalk pedestrian volume.

Analysis of Traffic Delays at Scramble Crosswalks Considering Signal Phase Sequence and Traffic Volume (신호현시 순서와 통행량을 고려한 대각선 횡단보도 지체도 분석)

  • Kim, Suji;Lee, Jooyoung;Kwon, Yeongmi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9 no.3
    • /
    • pp.116-128
    • /
    • 2020
  • This study compared the delays of scramble crosswalks and general crosswalks, considering the pedestrian and vehicle traffic at intersections. Based on the signal theory, this study used traffic delays as a measure of feasibility of installing scramble crosswalks. The road structure and length of signal lights were assumed to be specific numbers to calculate the delays in vehicles and pedestrians. With the computed delays, this study compared general crosswalks and scramble crosswalks, and evaluated the feasibility sections on the installation of scramble crosswalks using circular and non-circular signal phases, respectively. The analysis confirmed that the introduction of scramble crosswalks might be more appropriate when the traffic ratio on the main roads is high. In addition, the application of non-circular signal phases is more proper for the operation of scramble crosswalks than circular signal phases. In the non-circular signaling system, however, it was shown that diagonal crosswalks might not be practical if the demand for diagonal crossing is too low.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basic guidelines for assessing the installment feasibility of scramble crosswalks in terms of traffic operation and efficiency.

A Crosswalk and Stop Line Recognition System for Autonomous Vehicles (무인 자율 주행 자동차를 위한 횡단보도 및 정지선 인식 시스템)

  • Park, Tae-Jun;Cho, Tai-Hoo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22 no.2
    • /
    • pp.154-160
    • /
    • 2012
  • Recently, development of technologies for autonomous vehicles has been actively carried out. This paper proposes a computer vision system to recognize lanes, crosswalks, and stop lines for autonomous vehicles. This vision system first recognizes lanes required for autonomous driving using the RANSAC algorithm and the Kalman filter, and changes the viewpoint from the perspective-angle view of the street to the top-view using the fact that the lanes are parallel. Then in the reconstructed top-view image this system recognizes a crosswalk based on its geometrical characteristics and searches for a stop line within a region of interest in front of the recognized crosswalk. Experimental results show excellent performance of the proposed vision system in recognizing lanes, crosswalks, and stop lin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