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회화성과 추상성

Search Result 4, Processing Time 0.048 seconds

The beginning of abstract animation and semiotic meaning (추상애니메이션의 태동과 기호학적 의미 연구)

  • Lee, Young-Hun
    •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 /
    • s.48
    • /
    • pp.23-44
    • /
    • 2017
  • This study explored aspect and intermedial characteristics at the beginning of the abstract animation and the semiotic meaning of abstract animation. Abstract animation was formed by arbangaridist, and there was an abstract painting on its foundations. The abstract painting belong to 'symbol sign' and do not represent specific objects. The abstract animation loses its object and we knew that the abstract animation itself to be object. Abstract animation is a category of ' media combination ' that combines abstract painting and music with intermediality. Abstract animation began based on abstract paintings, but was combined with music and time, and evolved into new media. The abstract animation was started by avant-gardists such as Walter Ruttman, Viking Eggeling and Hans Richter. They set aside their own time of abstract animation based on music. Oskar Fischinger was influenced by Walter Ruttman who completed abstract animation and went to America to continue his work. After Oskar Fischinger, John Whitney continued his genealogy using computer graphics. The abstract animation was faithful to the underlying meaning of the medium in the absence of the object for representation.

Sumuk Style in Contemporary Fashion and the Development of Korean Fashion Cultural Products Applied Sumuk Technique (현대 패션에 나타난 수묵 기법과 이를 활용한 한국적 패션문화상품 개발)

  • Lee, Hye-Won;Cha, Hye-In;Jang, Young-Sun;Kim, Min-Ja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
    • v.61 no.7
    • /
    • pp.125-134
    • /
    • 2011
  • Sumuk drawings are made with water and muk(墨), which are used to express the light, shade and texture of an object. The expression methods of oriental drawing can be divided into three methods: pictorialization, abstractness and realism. The method of pictorialization expresses traditional pictures or letters. Abstractness show an artist's aesthetic feeling through sprinkling, splashing and spreading diffusion of muk. The method of realism is Takbon which makes a copy painting directly from a monument by rubbing a paper with ink. Modern fashion designer attempts to develop a new Sumuk technique based on both oriental drawing style and western watercolor painting style. Rather than following the designated styles of oriental drawings and Korean drawings, new Sumuk technique colors detailed structures expressed as outlines, dots and lines or creates abstract patterns through spreading or spilling in showing theme of flowers, plants and insects. In this study, in order to develop fashion cultural products with Sumuk technique, rubbed copy of the ancient 'Emile bell Takbon' was used. For this study, with the combination of different colors and the patterns from 'Emile bell Takbon', designs for scarfs, shirts and one-piece dresses were created. These techniques enabled to express soft and strong Takbon image in simple Sumuk technique in harmony with modern trends.

A Hermenutic Study of Material Language in Contemporary Metal-craft - Centerd on June Schwarcz′s Color works - (현대금속공예에 있어서 물질언어의 해석학적 분석연구 -June Schwarcz′s 색채 구조물을 중심으로 -)

  • 임옥수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4 no.3
    • /
    • pp.197-210
    • /
    • 2001
  • There are symbolicity and special meaning in the materials which are supposed to be used metalcraft from ancient to present. These are basical resources of hermeneutics and play a role as moaning elements. Generally, the precious Cold and Silver are mainly to be used with precious stone. But recently, ordinary materials like glass iron aluminum has begun to be used with them. Several artists are intentionally using them, and special skills which could be revealed by only the matherials are developing by them. In these skill, there are original material's texture and character of matter are looking like other matter. Well, special skills are adapted in these matters to magnify the possibility of expression, the originally codified meaning resources are disturbed. For example, The metal craft artist June Schwarcz is using the skills of electroforming, copper foiling, enameling, wire brush patina, fine wires fusing, etc. He is doing abstract forming and making various textures. And his works are very big size, and done by the skills of painting and sculpture. The outer form is very structural, special touches of the artists are heterogeneously mixed with the symbolic abstract expressionism color field. Further, there are mixed with Primitive original life atmosphere, Medieval ornamental aspect, Minimal, and Chaotic aspects. The meaning particles of these aspects are directly/indirectly joined but special skills and basic material languages are mixed together, the originally codified material language are disturbed. These disturbed material languages are becoming optically special effect and be illusion. It is making expressing way of tile metalcraft more fertile and be infinite.

  • PDF

Entre l' espace sculptural et, l' espace architectural (조각공간과 건축공간의 관계)

  • Lee Bong-Soon
    • Journal of Science of Art and Design
    • /
    • v.5
    • /
    • pp.175-216
    • /
    • 2003
  • 시각이 아닌 오감체계에 관계하는 때문에 현대미술은 외관만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곧 예술 작품들은 하나의 장소를 관객에게 제공하여, 심리적, 물리적, 또는 예술이 존재여부에 관한 갖가지 질문들을 제기한다. 모든 예술 작품은 메시지를 담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개념 또는 아이디어에 우선하는 현대미술은 그들의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우리의 사회적 배경과 보편성을 간과할 수 없다. 우리의 물체 인식은 결국 우리의 경험체계를 통해서 이루어진다고 간주하면, 현대미술의 새로운 형태는 보편적 특질들이 그 특질들 이상의 상태로 보여지도록 유도한다. 이러한 창조 행위의 시작은 현대인간의 문화 읽기이며 문화는 인간과 자연의 긴밀한 관계 속에서 이루어진다. 역사는 지나간 시간을 기록한 것이며, 이 또한 우리의 지식과 정보 체계에 속한다. 회화가 평면에 입체감을 표현하는 것과는 달리 조각은 자연 속, 즉 실재공간 속에 있는 모든 것을 표현하기 때문에 시각(visible) 이외에도 촉각(tangible)이 관여하게 된다. 조각의 특수성은 촉각(tangible)이 우선하는 것이다. 그러나 시각과 촉각은 매우 적극적으로 미학적 경험에 참여하는 감각으로 이들을 서로 분리하여 생각하기가 무척 힘들다. 왜냐하면 어떤 경험에 있어서 기억연합 또는 감각 연합에 의해 하나의 감각이 다른 여러 감각을 촉발하여 연쇄반응 혹은 '형태 Gestalt'를 이루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근대 조각 작품들은 조각대 위에 고정되어 있는 구상 형태를 지녔기 때문에 조각작품 자체가 지닌 외적 형태와 그 자체내의 공간이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말하자면 미로의 비너스 조각은 대리석과 비너스 형태의 결합이다. 때문에 관객은 그 주변을 돌면서 우리 신체의 내적 공간과 시각에 의존하면서 그 작품의 중량감, 양감, 형태 등의 특질과 만나게 된다. 그러나 현대 추상조각과 개념조각은 이보다 좀 더 확장된 공간을 제시한다. 이것은 현대조각이 건축개념을 수용한 때문이며, 그것이 때로는 안 쪽에서 때로는 바깥 쪽에서 그 형태를 결정하며, 보고 듣고 느끼고 만져지고 왕래하는 등의 인식 영역인 관객의 오감체계에 직접적으로 관계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건축 공간에서, 시각 외에도 청각이나 촉각을 통해 지각한다. 대강 요약하자면 공간은 객관적 상태이기보다는 인식영역의 주관성을 통해 받아들여진 우리가 지나쳐온 것들이나 체험된 공간이다. 여기서 '받아들여지는' 일은 과거 경험들의 주체들, 언어와 문화에 의해서 이루어져야 한다. 건물, 즉 둘러싸고 있는 공간은 중앙이 아니다. 중앙은 바로 나, 둘러싸여진 나이다 나는 나의 동작에 따라 그 공간의 시스템을 변화시킬 수 있는 유동적인 중심이다 (이때의 나는 위치의 축을 변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그들을 탐색하는 것이다). 작품이 대형화되면서 이러한 건축공간개념이 현대 조각가들의 작품개념에 이용되었다고 본다. 현대미술에서 In situ작업과 특정한 장소를 위한 기획되어진 최근의 프로젝트 작업들은 대형화되어있으며, 건축에서처럼 특정한 장소를 만들어낸다. 로잘린드 크라우스(Rosalind Krauss)는 또한 '조각영역의 확장 (La sculpture dans le champ elargi)'에서 현대조각이 건축과 환경의 영역을 침범하고 있음을 지적한다. 그녀에 의하면, 1960년대 이후의 현대조각은 이러한 탈 귀속성과 조각의 자율성을 획득함으로써 조각은 건축물이 아니면서 건축물 주변에 위치하거나 풍경이 아니면서 풍경 안에 자리잡게 되었다. 이와 같이 현대의 대형조각 작품들 - 예를 들어 대형화된 미니별 조각이나 개념미술, 또는 대지예술 등 -은 풍경의 실재가 아니기 때문에 환경으로부터 구분된다고 언급하고 있다. 이들 조각은 더 이상 만져지는 실체이거나 점유하는 공간의 상징언어를 지닌 조각의 범주에 한정되지 않게 된다. 조각과 건축의 공간인식을 인체의 크기와 관련하여 보면, 메를로 퐁티(Merleau-Ponty)의 '지각의 현상학' 은 우리가 논하는 작품의 공간체계를 분석하는데 지침표가 되어준다. 메를로 퐁티가 말하는 지각은 정신에 의해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며, 몸과 함께 이루어지는 현상이다. 지각은 우리가 부단히 눈을 움직이고 만지고 냄새를 맡고 주변을 돌아 다니면서 세계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이루어 진다. 몸의 움직임을 통하여 나타나는 신체적 표현은 몸 자체가 원천적으로 지향적 활동의 주체로서 파악되는 한 이미 항상(恒常, constant) 의미 현상을 지니다. 우리의 지각이 움직이는 몸의 지향 활동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것은 우리의 몸의 지향활동이 의식에 선행함을 의미한다. 몸의 움직임은 의식의 의도를 표현할 때에만 의미를 나타내는 기호가 되는 것이 아니라, 이미 그 자체가 살아있는 표현이다. 우리의 몸짓, 표정은 우리 의식이 의도하기 전에 이미 의미가 담겨있다. 몸은 그 자체가 기호(Signe)적이다. 결국. 메를로 퐁티에게서 세상(le monde entier)은 그 자신이 주체가 되어 인식한다, 그리고 이 인식 구조에는 우리의 몸이 구심점(le point centripete)이 된다. 만약 우리가 이러한 메를로 퐁티의 개념을 염두에 둔다면, 예술작품의 특성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재료와 크기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