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회피행동

Search Result 254,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Effect of Medicinal Herb Composites on Antioxidative and Cognition-Enhancing Activities in Rats (생약복합물이 흰쥐의 체내에서 항산화 및 인지개선활성에 미치는 영향)

  • Kang, Jin-Soon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 /
    • v.29 no.3
    • /
    • pp.382-391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edicinal herbs (MH) extracts on dementia induced by trimethyltin chloride (TMT) in rats. Six-week-old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five groups; normal group (group 1), control group (group 2), MH extracts group (250, 500 mg/kg) (group 3, group 4) and positive control group (tacrine group, group 5). In the control group to induce dementia, a 2.5 mg/kg of TMT intraperitoneal injection was used for 14 days (1 per day) in the rats. In the MH extracts group 250 mg/kg and 500 mg/kg of MH extracts were medicated in an oral inoculation for 20 days (1 per day). After 30 minutes, a 2.5 mg/kg of TMT intraperitoneal injection, which causes dementia, was used for 14 days (1 per day). In the positive control group (Tacrine group) 10 mg/kg of Tacrine, the dementia treatment, was medicated in an oral inoculation. After 30 mintues, 1 mg/kg of TMT intraperitoneal injection, which causes dementia, was used for 14 days (1 per day). The present author observed the passive avoidance performance test, and memory ability test (Y maze test), the values of MDA, acetlycholinesterase (AchE) activity in the brain and antioxidant enzyme in serum. MH extracts significantly improved memory of AD model rats in the Y-maze test, and also significantly improved memory of AD model rats in the passive avoidance test. MH extracts significantly reduced AChE activity, and significantly increased the SOD level, but not catalase and MDA. From the results above, MH extracts is thought to be effective in the improvement of antioxidant enzymes and memory ability.

Impact of impulsiveness on mobile banking usage: Moderating effect of credit card use and mediating effect of SNS addiction (충동성이 모바일뱅킹 사용률에 미치는 영향: 신용카드 사용 여부의 조절효과와 SNS 중독의 매개효과)

  • Lee, Youmi;Nam, Kihwan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27 no.3
    • /
    • pp.113-137
    • /
    • 2021
  • According to the clear potential of mobile banking growth, many studies related to this are being conducted, but in Korea, it is concentrated on the analysis of technical factors or consumers' intentions, behaviors, and satisfaction. In addition, even though it has a strong customer base of 20s, there are few studies that have been conducted specifically for this customer group. In order for mobile banking to take a leap forward, a strategy to secure various perspectives is needed not only through research on itself but also through research on external factors affecting mobile banking.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impulsiveness, credit card use, and SNS addiction among various external factors that can significantly affect mobile banking in their 20s.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impulsiveness and mobile banking usage depends on whether or not a credit card is used, and checks whether a customer's impulsiveness is possible by examining whether a credit card is used. Based on this, it is possible to establish new standards for classification of marketing target groups of mobile banking. After finding out the static or unsuitable relationship between whether to use a credit card and impulsiveness, we want to indirectly predict the customer's impulsiveness through whether to use a credit card or not to use a credit card. It also verifies the mediating effect of SNS addi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mpulsiveness and mobile banking usage. For this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conducted according to research problems using the SPSS Statistics 25 program.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ositive urgency has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static effect on mobile banking usage. Second, whether to use credit cards has shown moder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raudulent urgency and mobile banking usage. Third, it has been shown that all subfactors of impulsiveness have significant static relationships with subfactors of SNS addiction. Fourth,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urgency, SNS addiction, and mobile banking usage has total effect and direct effect. The first result means that mobile banking usage may be high if positive urgency is measured relatively high, even if the multi-dimensional impulsiveness scale is low. The second result indicates that mobile banking usage rates were not affected by the independent variable, negative urgency, but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static relationship with negative urgency when using credit cards. The third result means that SNS is likely to become addictive if lack of premeditation or lack of perseverance is high because it provides instant enjoyment and satisfaction as a mobile-based service. This also means that SNS can be used as an avoidance space for those with negative urgency, and as an emotional expression space for those with high positive urgency.

Protective effect of Gabjubaekmok (Diospyros kaki) extract against amyloid beta (Aβ)-induced cognitive impairment in a mouse model (아밀로이드 베타(amyloid beta)로 유도된 인지장애 마우스 모델에서 갑주백목(Diospyros kaki) 추출물의 인지기능 및 뇌 신경세포 보호 효과)

  • Yoo, Seul Ki;Kim, Jong Min;Park, Seon Kyeong;Kang, Jin Yong;Han, Hye Ju;Park, Hyo Won;Kim, Chul-Woo;Lee, Uk;Heo, Ho Jin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51 no.4
    • /
    • pp.379-392
    • /
    • 2019
  •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Gabjubaekmok (Diospyros kaki) ethanolic extract (GEE) on $H_2O_2$-induced human neuroblastoma MC-IXC cells and amyloid beta $(A{\beta})_{1-42}$-induced ICR (Institute of Cancer Research) mice. GEE showed significant antioxidant activity that was evaluated based on ABTS, DPPH scavenging activity, and inhibition of malondialdehyde (MDA) and acetylcholinesterase activity. Further, GEE inhibited ROS production and increased cell viability in $H_2O_2$-induced MC-IXC cells. Administration of GEE ameliorated the cognitive dysfunction on $A{\beta}$-induced ICR mice as evaluated using Y-maze, passive avoidance, and Morris water maze tests. Results of ex vivo test using brain tissues showed that, GEE protected the cholinergic system and mitochondrial functions by increasing the levels of antioxidants such as ROS,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MMP), and adenosine triphosphate (ATP) against $A{\beta}$-induced cognitive dysfunction. Moreover, GEE decreasd the expression levels of apoptosis-related proteins such as $TNF-{\alpha}$, p-JNK, p-tau, BAX and caspase 3. While, expression levels of p-Akt and $p-GSK3{\beta}$ increased than $A{\beta}$ group. Finally, gallic acid was identified as the main compound of GEE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ealth Promotion Through Healthy People 2010 ("2010년대 건강한 시민" 정책을 통한 미국의 건강증진 방향)

  • Cho, Jung H.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romotion Conference
    • /
    • 2004.10a
    • /
    • pp.17-58
    • /
    • 2004
  • 뉴저지주 보건교육/건강 증진정책을 논하기전에 건강증진과 보건 교육사의 뜻을 먼저 기술하기로 한다. 건강증진이란 일상 사회생활과 행동과학의 응용에서 시작하며 교육의 효율적 작전 및 기술, 질병 역학 조사, 개인 및 가족단위 건강 위해 행위 절감, 사회연관 구축망 조성, 그리고 적게는 이웃, 더 나아가 조직체계 및 지역 사회의 네트웍 실시등을 실시한다. 보건교육 및 건강증진 전문가란 ' 전국 보건교육 인증 위원회(NCHEC) ' 에서 채택된 다음 7개 활동 영역에서 개인적, 그룹, 각주단위, 그리고 범 국가적 조직에서 종사하는자로 한다. 개인 및 지역사회 보건 교육 필요성 분석- 계회, 실행, 효율성 평가, 사업 진행 조정, 자문, 컴뮤니케이션 등의 활동범위를 들 수 있다. 공인 보건 교육사(CHES)란 대학 및 대학원에서 보건 교육학 소정의 필수 과목을 이수하고 학.석사 소지자로서 ' 전국 보건 교육 인증 위원회 ' 에서 그 자격을 인정 받고 공인 자격 시험에 합격한자로 한다. 합격자는 자기 성명뒤에 CHES란 칭호를 부치며 매 5년마다 75단위이상 인정된 전문 직업 보수 교육을 받아야 한다. 보건 교육사 고용 분야는 연방, 주, 지방 정부의 보건 교육사(10-15%) 및 건강 증진 전문가로 종사하며; 이들은 지역 사회 조직화, 프로그람 기획, 공공사업 마켓팅, 메디아, 컴뮤니케이션 자질을 갓추어야 하며; 상해 예방, 학교 보건, 지역 사회 영양 실태 향상, 그 외 모든 건강 증진과 질병 예방에 일익을 담당 하여; 의사, 간호사, 약사, 영양사,환경 위생사드의 전문분야종사자들괴 한팀이 되어 지역 사회 보건 사업에 기여한다. 쥬저지 보건 교육사들은 주법령 8조 '||'&'||' 보건행정 표준 시행령 ' 에 따라 포괄적 보건교육/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총체적으로 조절 관장한다. 특희 ' 미국 학술원 의료 연구원 ' 에서 제정한 ' 10대 필수 공중 보건 사업 ' 에 기준을 두고; 1) 개인 및 지역사회 필수 보건 여건 분석 평가, 2) 보건 교육 이론에 따른 사업 계획 설정, 3) 교육 전략과 보건문제 발굴에 따라 일반 대중 대상 보건 교육 실행 (프로그람 기획, 연수 교육, 미디어 캠페인, 공중보건 향상책 옹호), 4) 사업 진행 과정 정리, 그 결과에 대한 영향력과 결과 평가, 5) 프로그램진행, 인사 및 예산관리 참여, 6) 근무향상을 위한 보수교육 프로그램 개발, 7) 보건 의료 업무 종사자 상호 협조성 향상 훈련, 8) 지역 사회자원 밭굴, 9) 적절한 고객 의뢰 체제 시행, 10) 위기 관리 컴뮤니케이션 체제 개발실시, 11) 일반 대중에게 공중 보건 향상 고취, 12) 각종 협력 지원금 신청서 작성 제출, 13) 문화/인종적으로 적절한 시청각 교재 발굴, 15) 질적 및 양적 보건교육/건겅증진책 연구 실시, 16) 비 보험 가담자, 저 보험자, 빈곤자, 이민자 색출 선도, 17) 관활 구역내 상재하는 각 건강증진 프로그램 밝혀 내서 불필요한 중복 회피등이다. 그 외에도 보건 교육사들은 사회 복지 단체인 미국 암 협회, 미국 심장 협회,미국 폐장 협회 등 각종 사회 복지 비영리단체 와 자선 사업 단체들과 긴밀희 협조하거나 그 단체 임직원으로서 건강 증진 사업에 종사한다. 병원 및 의료기관에선 임직원 보수 교육, 환자의 질병 예방및 건강증진 교육, 그리고 의료 사업장내 건장 증진업무에 종사한다. 건강 유지 의료 기관(HMO)에선 예방주사, 정기검진 촉진등을 통한 입원일수 절감, 응급실 사용도 절감등으로 의료비 감축, 삶의질 향상상에 종사한다. 사업장 보건 교육사는 스트레스 관리, 금연 및 흡연 중단선도, 체중 절감, 종업원 건강증진 생활화참여 유치, 컴뮤니케이션 개발, 마켓팅, 질병 예방등에 그 전문 직업적 노하우를 사업체 건강 증진 프로그램 개발에 접목한다. 뉴저지 2010년대 건강 증진책은 5대 목표 설정하여 현재 시행하고 있다. 특이한점은 2001년 9.11사태 이후 연방정부와 주정부의 상당한 예산 지원을 그랜트 지원금 형식으로 받아 연방, 주정부, 지방 정부, 의료 기관등에서 일사 불란하게 생물/화학/방사성 테러에 대비하는데 보건 교육사들은 시민 인지도 향상과 위기관리 컴뮤니케이션 영역에서 활약한다. 총체적인 보건 교육/건강 증진책은 다음 천년간 뉴저지 건강증진 백서와 미연방 정부 건강증진 2010에 준하여 설립한 뉴저지 건강 증진 2010 에 의한다. 그 모델을 보면; 1) 생활 습관 향상으로 위해 행위 절제; 적절한 영양 섭취 와 과체중화 차단 불필요한 투약 절제와 그 관리 흡연 탐익 절감, 금연, 흡연관련 신체/정신적 피해 관리/치료 습관성 약물 중독 조기발견 예방 낙상 예방 폭력, 의도적/비의도적 상해 예방 2) 심장질환, 암, 뇌졸중, 당뇨, 폐염, 인프루엔자등 주사망원인 질병 조기 발견 예방 책 마련; 독감.폐렴 예방 주사 실시 3) 보건 교육 대상과 표적 설정 특히 보건사업 참여 동반자 발굴하여 그 동참과 책임분담 책려; 주. 지방 정부기관, 의료 종사자, 의료 보험 업자, 대학 등 교육 기관, 연구 기관, 교육자, 지방 보건소, 지역 사회 비 영리단체, 종교 단체 및 교역자 등의 참여 촉구., 지역 사회 비 영리단체, 종교 단체 및 교역자 등의 참여 촉구.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