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회전운동

Search Result 971,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Production and Test of a NutationDamper Applied Missile (유도탄에 사용되는 뉴테이션댐퍼의 제작 및 시험)

  • Kim, Sung-Kuk;Lee, Yong-Deog;Yeou, Bo-Yeo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7.11a
    • /
    • pp.159-162
    • /
    • 2007
  • 뉴테이션(Nutation, 장동)은 자이로스코프와 같은 큰 축 대칭 물체의 회전축에 대해 작은 불규칙적인(어원적으로 "nodding") 운동이다. 위성체가 회전상태에 돌입하게 될 때 위성체가 순수한 회전 운동이 아닌 뉴테이션 운동을 일으킬 경우,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뉴테이션댐퍼(NutationDamper)를 사용한다. 유도탄에 들어가는 부품 중에서 자이로조립체 내에 들어 있는 뉴테이션댐퍼의 개발을 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 하게 되었으며, 자이로조립체 내에서 뉴테이션댐퍼의 역할은 자이로조립체의 원주상에 환형 튜브 형상으로 장착되어 자이로조립체가 세차운동(Precession)을 할 때 부가적으로 수반되는 바람직하지 못한 떨림(Wobble motion)인 뉴테이션을 감쇠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 PDF

마찰 용접기의 개발과 적용

  • 천두희;이병훈;김대훈;황선효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v.5 no.1
    • /
    • pp.2-15
    • /
    • 1987
  • 마찰용접은 접합하려는 재료를 접촉시켜 일정 압력과 동시에 회전 운동을 가하여 접촉면간에 마찰열을 발생시켜 재료가 충분한 온도에 도달될 때 회전운동을 급정지하고 최종압력을 가하여 접합시키는 방법이다. 국내에서는 지금까지 확인된 자료에 의하면 총 보유대수 20대중 자동차 부품 생산에 12대, 연구용 3대, 기타 5대로서 대부분 자동차부품 생사에 투입되고 있으며, 앞으로 부품류 생산에도 적용가능성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국내 자동차산업은 발전 유망업종이 되고 있을뿐더러 엔화 상승으로 인한 부품의국산화 대책이 활발히 논의되고 있어서, 국내 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마찰용접기의 국산화 및 마찰용접의 기업화 적용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 이다.

  • PDF

Dynamic Analysis of a Rigid Body Travelling on the Rotating Shaft (회전축을 따라 이동하는 강체의 동해석)

  • Park, Yong-Suk;Hong, Sung-Chul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05a
    • /
    • pp.528-531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두 스프링으로 지지된 강체가 회전하는 Timoshenko 축을 따라 이동할 때, 그 계의 동적응답 특성을 해석하였다. 운동방정식은 Hamilton의 원리에 따라 유도되었다. 유도된 운동방정식을 이용하여 주요 설계 파라미터 변화에 따른 응답특성을 해석하였다. 해석시 설계파라미터를 무차원 변수화 하여 속도비, 질량비, 회전수비 등 그 변화에 따른 응답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 PDF

Correction of Rotated Frames in Video Sequences Using Modified Mojette Transform (변형된 모젯 변환을 이용한 동영상에서의 회전 프레임 보정)

  • Kim, Ji-Hong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6 no.1
    • /
    • pp.42-49
    • /
    • 2013
  • The camera motion is accompanied with the translation and/or the rotation of objects in frames of a video sequence. An unnecessary rotation of objects declines the quality of the moving pictures and in addition is a primary cause of the viewers' fatigue. In this paper, a novel method for correcting rotated frames in video sequences is presented, where the modified Mojette transform is applied to the motion-compensated area in each frame. The Mojette transform is one of discrete Radon transforms, and is modified for correcting the rotated frames as follows. First, the bin values in the Mojette transform are determined by using pixels on the projection line and the interpolation of pixels adjacent to the line. Second, the bin values are calculated only at some area determined by the motion estimation between current and reference frames. Finally, only one bin at each projection is computed for reducing the amount of the calculation in the Mojette transform. Through the simulation carried out on various test video sequences, it is shown that the proposed scheme has good performance for correcting the rotation of frames in moving pictures.

Development of a Low-Cost Motion Cheir for Rollercoaster Simulation (롤러코스터 운동감 구현을 위한 보급형 모션의자 개발)

  • 서정아;정무진;신영기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Conference
    • /
    • 2002.05a
    • /
    • pp.115-121
    • /
    • 2002
  • PC 및 게임 소프트웨어의 급격한 발달로 가상현실 구현에 필요한 그래픽 환경은 성숙단계에 진입하였다. 현재 국내에서 개발되는 게임 소프트웨어는 PC사용자를 겨냥한 제품이 대부분이다. 토요일 휴무제의 도입에 따른 문화 콘텐츠 시장의 확대, 가족이 즐길 수 있는 테마 공원의 성장성 등을 고려할 때 기존의 PC 게임과 차별화 되는 운동감을 포함한 가상현실 게임 제품의 개발이 요망된다. 잘 알려진 6자유도 운동 시뮬레이션 방식인 Stewart 방식은 구현 가격이 고가이고 운동범위가 작아 게임용으로 상용화하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2대의 AC 서보모터를 이용하여 roll과 pitch의 2자유도만 구현하나, 각 축으로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여 탑승자의 스릴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저가형 운동의자를 개발하였다. 2 자유도로 회전하는 외부와 차단된 캐빈 내부에는 40인치 스크린과 프로젝터가 설치되어 롤러코스터 게임의 몰입감을 향상시켰다. 롤러코스터 가상현실을 대상으로 운동감을 극대화하기 위한 워시아웃 (washout) 필터의 설계 알고리즘이 제시된다. 탑승자들의 감성 평가를 객관화하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 구축방안이 서술된다

  • PDF

Analysis of Biomechanical Responses for the Anterior Cervical Plate Fixation in relation to Bone Mineral Density (골밀도에 따른 전방 내고정 장치 시술 후 경추부의 생체역학적 거동에 대한 분석)

  • Shin, T. J.;Lee, S. J.;Shin, J. W.;Chang, H.
    •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22 no.1
    • /
    • pp.69-80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환자의 골다공증 유무에 따른 내고정 장치 시술 직후 및 융합 후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하중 모드에서 C5-C6 운동분절의 생체역학적 거동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목적으로 먼저, C5-C6 경추부의 유한요소 모델을 구현하여 검증하였다. 모델의 결과는 기존 실험치와 유사하여 신뢰성이 부여되었다. 검증된 모델은 Smith-Robinson 방식으로 골이식물을 삽입한 후 전방 내고정 장치를 적용한 시술 상황을 재현하기 위해 수정되었다. 수정된 모델은 두 종류로 구현되었다. (1) 첫 번째 모델에서는, 시술 직후의 상황을 재현하기 위해 골이식물과 종판의 경계면에 접촉요소를 사용하였다. (2)두 번째 모델에서는 완전히 융합된 상황을 나타내기 위해 골이식물을 종판에 고정하였다. 골다공증의 효과를 예측하기 위하여 두 모델의 해면골에 대한 탄성계수를 변화시켰다(정상: 100MPa, 골다공증: 40MPa). 각 모델의 C5 주체의 상위면에 73.6N의 압축 하중을 가한 후에 108Nm의 굴곡/신전, 굽힘, 비틀림 하중을 가하였으며, C6 추체의 하단면은 모든 방향에 대하여 구속하였다. 전체적인 결과에 있어서 상대적 회전운동, 미끄럼운동, 골이식물 내에서의 von Mises 응력의 경우 정상 모델에 비해 골다공증 모델에서 증가함을 보였으며, 특히 시술 직후의 모델에서 비틀림 하중이 가해진 경우, 상대적 회전운동 및 미끄럼 운동이 가장 높게 예측되었다. 이는 골다공증환자에게 전방 내고정 장치를 시술한 경우 골이식물의 파단 및 유합의 실패가 비틀림 하중에서 발생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해면골의 von Mises 응력은 시술 직후에 골다공증 모델의 모든 하중 모드에서, 유합 후에는 굽힘 하중 외의 모든 하중에서 ultimate strength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나 골다공증 환자에게 screw의 해리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측되었다. 따라서 골다공증 환자에게 과도한 운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시술 후 세심한 주의와 halo 같은 견고한 정형술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Instability of Biceps Tendon

  • 최창혁
    • The Academic Congress of Korean Shoulder and Elbow Society
    • /
    • 2004.03a
    • /
    • pp.55-58
    • /
    • 2004
  • 이두박건 활차의 역할은 견관절 운동 시 이두박건 장두에 가해지는 전상방 전단응력을 막아주며, 관절내에서 이두박건의 운동을 인도해줌으로써, 이두박건 장두의 관절내 유효거리를 유지해 주게 된다. 견관절의 외전 및 외회전 운동시 이두박건 장두의 내측으로 가해지는 응력은 이두박건 활차 및 견갑하건의 손상과 함께 이두박건 장두의 내측 탈구를 유발할 수 있으며, 회전건개 파열과 동반될 경우 증상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진단 및 치료에 주의를 요한다.

  • PDF

Instability of Long Head of Biceps Tendon

  • 최창혁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v.7 no.2
    • /
    • pp.90-93
    • /
    • 2004
  • 이두 근 활차의 역할은 견관절 운동 시 이두 근 장두에 가해지는 전상방 전단응력을 막아주며, 관절 내에서 이두 근의 운동을 인도해줌으로써, 이두 근 장두의 관절 내 유효거리를 유지해 주게 된다. 견관절의 외전 및 외회전 운동시 이두 근 장두의 내측으로 가해지는 응력은 이두 근 활차 및 견갑하건의 손상과 함께 이두 근 장두의 내측 탈구를 유발할 수 있으며. 회전근 개 파열과 동반될 경우 증상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진단 및 치료에 주의를 요한다.

비구면 가공을 위한 속도 파형 및 제어 알고리즘

  • 김형태;양해정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197-197
    • /
    • 2004
  • 일반적으로 가공기는 주로 직선 운동 축과 회전 운동 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러 개의 축의 조합에 의하여 원하는 경로를 얻어내게 된다 여러 축이 조합이 되더라도 대부분 가공 동작의 경우는 하나의 축에 의한 단축 운동으로 충분히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금형 가공이나 렌즈가공 등은 단순한 회전이나 직선의 조합에 의한 곡선이 아닌 임의의 함수에 의한 곡선이므로 이러한 경우 2축 이상을 적절히 이동시켜서 원하는 형상을 얻어야 한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