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회수시스템

검색결과 945건 처리시간 0.014초

에너지회수 및 누수감소를 위한 상수도시스템 최적 운영기술 개발 (Development of optimal operation of water distribution system for energy recovery and leakage reduction)

  • 권희근;김민준;김률;최영환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3년도 학술발표회
    • /
    • pp.425-425
    • /
    • 2023
  • 상수도시스템의 지속가능한 운영을 위해서는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수도시스템에서 고압구간의 압력조절을 통해 에너지 측면의 최적 운영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최적 운영기법은 마이크로 터빈을 이용하여 에너지 회수를 통한 압력저하와 이로 인한 누수량 저감을 동시에 고려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최적화기법으로는 Multi-objective harmony search 알고리즘을 사용하였으며, 상수도 시스템에서 마이크로 터빈을 모의하기 위해서 EPANET의 압력조절 밸브 (Pressure reduction valve)를 활용하여 압력강하에 따른 에너지 회수를 고려하였다. 제안된 최적운영 기법을 검증하기 위해 Benchmark networks (e.g., 5-nodes network, 25-nodes network)을 적용하였으며, 본 연구를 통해 마이크로 터빈의 최적 규모와 설치위치, 개수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에너지 회수와 누수감소 측면에서 상수도시스템의 지속가능한 운영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거라 기대된다.

  • PDF

석탄가스화 복합발전 플랜트에서의 폐열회수보일러 설계에 따른 증기터빈 시스템 성능변화

  • 이진욱;김대규;조병화
    • 한국에너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에너지공학회 1993년도 추계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13-21
    • /
    • 1993
  • 석탄가스화 복합발전 플랜트의 부속공정인 중기터빈 시스템에 대한 공정 전산해석을 상용 공정해석 소프트웨어인 ASPEN 코드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폐열회수보일러에서 생성되는 고압증기 조건을 2400psig로 채택하였으며, 폐열회수보일러의 열교환기 배열 및 생성증기의 조건에 따른 증기터빈 시스템의 성능변화를 고찰하였다. 페열회수보일러에서의 열교환기 배열, 생성중기 조건 및 공급수 예열 방법에 따라 증기터빈 시스템의 성능이 변화하게 되므로 이의 정확한 이해를 통하여 증기터빈 시스템의 최적화를 도모할 수 있다.

  • PDF

상용 공정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한 부유식 LNG 발전설비의 BOG 회수시스템 공정모사 (Process Simulation of the BOG Re-Liquefaction system for a Floating LNG Power Plant using Commercial Process Simulation Program)

  • 서주완;유승열;이재철;김영훈;이순섭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732-741
    • /
    • 2020
  • 최근 환경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해내는 신규발전설비인 부유식 LNG 발전설비(floating LNG power plant)가 개발되고 있다. 부유식 LNG 발전설비는 운용 시 증발가스가 발생하고 이를 제거하거나 회수할 수 있는 시스템의 설계가 필요하다. 그러나 해양플랜트는 해상요건에 따라 설계가 상이하고, 부유식 LNG 발전설비의 설계 전 시행착오를 줄이기 위해 지속적으로 수정이 가능한 BOG 회수시스템 공정모사 모델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용공정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부유식 LNG 발전설비에 적합한 모델을 모델링하고자 냉매사용 유무에 따라 서로 다른 BOG(Boil-Off Gas) 회수시스템을 모델링하여 BOG의 회수율과 액화점을 비교 및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질소냉매를 사용한 BOG 회수시스템 모델을 부유식 LNG 발전설비용 BOG 회수시스템 모델로 제안하고자 한다.

회수 품질이 불확실한 재제조 시스템의 회수 가격 결정 모형 (Procurement Pricing Strategy for Remanufacturing System under Uncertainty in Quality of Used Product)

  • 이지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691-697
    • /
    • 2016
  • 재제조란 고객시장으로부터 회수된 중고품의 닳거나 고장 난 부품을 성한 것으로 교체하여 재제조품 시장에 재판매하는 것을 말한다. 본 논문은 사용된 제품의 회수량이 회수 가격의 함수로 나타나며 일정 계획기간 동안의 재제조품에 대한 수요량이 주어진 경우의 회수 및 재제조 정책을 다룬다. 회수한 사용후 제품은 분해 검사를 통하여 품질을 확인하며 검사가 끝난 회수제품의 품질이 고품질과 저품질의 두 부류로 분류되고 품질 수준에 따라 재제조비용이 상이해 지는 현실적 상황을 가정한다. 두 부류의 분류확률에 불확실성이 없는 경우 및 불확실성이 있는 경우 각각을 대상으로 재제조 시스템의 총비용을 최소화 하는 회수가격 및 재제조 정책을 결정하기 위한 수리모형을 개발한다. 개발한 모형의 수리적 특성을 분석하여 최적해를 구하는 절차를 찾아내고, 최적해가 얻어지는 경우를 분석하여 재제조시스템의 생산경영자에게 시사해주는 검사비용 크기의 경영학적 함의를 밝힌다. 수치 예를 통하여 검사비용 및 회수품 시장규모가 변화함에 따라 최적회수가격이 변화하는 양태를 분석하여 최적해의 민감도를 분석하고, 고품질과 저품질의 어느 한 부류로 분류되는 확률의 불확실성이 커질 때 불확실성을 무시한 의사결정의 오류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고찰한다.

역할기반 접근통제에서의 단방향과 양방향이 고려된 하이브리드한 위임기법 (Hybrid Technique based on one way and two way delegation in Role-based Access Control)

  • 양혜진;전준철;전진우;김용석;유기영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2 (1)
    • /
    • pp.454-456
    • /
    • 2004
  • 권한위임은 역할기반-접근통제에서 중요한 정책의 하나로 한 역할에서 다른 역할로 권한의 일부 또는 전부를 위임하는 것을 말한다. 대부분의 계층적 역할기반-접근통제 시스템에서는 권한위임 시에 회수까지 고려한 위임을 지원하는 모델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권한위임에 있어서 역할권한의 회수가 불필요하거나 회수를 할 때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역할권한의 회수가 필요하지 않는 경우에 시스템의 복잡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으로써 단방향 권한 위임 기법을 정의하며, 일반적인 위임과 단방향 권한 위임이 같이 고려된 하이브리드한 위임 기법을 제안한다.

  • PDF

자동차 중고부품 회수 및 관리를 위한 물류정보시스템 구축 (Construction of Distribution Information System for Recovery and Management of used Parts of an Automobile)

  • 정남철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203-212
    • /
    • 2007
  • 지금까지 재 제조에 필요한 자동차 중고부품은 주로 정비업체에서 회수하여 사용하였으나, 회수체계가 정비되어 있지 않아 자동차 중고부품 수집에 많은 시간과 경비가 소요되었으며, 폐차업체에서 생산되는 많은 자동차 중고부품은 재 제조에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시스템은 폐차장, 정비업체 등에서 자동차 중고부품 정보를 입력하고, 재 제조업체에서는 이들 정보를 이용하여 재 제조에 필요한 자동차 중고부품을 회수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자동차 중고부품 회수체계를 확립하고 자동차 중고부품의 안정적 수급 방안을 마련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본 시스템은 자동차 부품 재 제조에 필요한 자동차 중고부품을 수집 관리하기 위한 물류정보시스템으로 DISRMPA(Distribution Information System for Recovery and Management of used Parts of an Automobile)라고 부른다.

  • PDF

생활폐열회수를 위한 열교환기 개발 중심 폐열회수 고효율 난방 시스템

  • 신현준;이태원
    • 월간 기계설비
    • /
    • 통권46호
    • /
    • pp.65-73
    • /
    • 1994
  • 도시생활폐수에 포함되어 배출되는 폐열을 열펌프의 열원으로 하는 폐수열원 열펌프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오래전부터 집중되어 있었지만 폐수 열교환기 전열면의 오염문제 때문에 실용화에 커다란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다. 한편, 생활페수는 비교적 저온이기 때문에 열펌프시스템의 설계에 특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즉, 이러한 폐열을 회수하여 유효에너지 자원화 하기 위한 신기술이 이루어 져야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도시생활 폐수열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하고 이를 열원으로 하는 열펌프의 개발을 위한 폐수 열교환기의 모델을 개발하였다.

  • PDF

폐기물의 플라즈마 열분해-가스화에 의한 수소생산 (Hydrogen production by plasma pyrolysis-gasification of waste)

  • 이진호;김영석;도철진;황순모;정성재
    • 신재생에너지
    • /
    • 제3권4호
    • /
    • pp.77-89
    • /
    • 2007
  • 폐기물의 플라즈마를 이용한 열분해-가스화-용융 처리공정은 청정연료 형태로 정화된 합성가스를 얻을 수 있고, 이 합성가스를 WGS 반응과 PSA 공법을 이용하면 고순도 수소로의 전환 및 회수가 가능하다. (주)애드플라텍에서는 자체 보유하고 있는 3톤/일급 플라즈마 폐기물 처리설비와 수소 정제/회수시스템을 연계하여, 페기물로부터 고순도 수소 생산($20Nm^3/h$이상)을 위한 플라즈마 폐기물 처리 추소 생산 통합시스템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합성가스 내 질소 농도를 낮추기 위해 산소를 매질로 하는 100kw급 산소 플라즈마 토치를 제작하였다. 수소 정제/회수 시스템은 폐기물의 플라즈마 처리 후의 합성가스 생성량과 조성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WGS 반응기로 들어가는 합성가스를 가스 컴프레서를 통하여 최대 10기압으로 승압시키고, 고농도 일산화탄소의 효과적인 제거 및 열 회수 극대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최적의 가스처리 시스템으로 구현되도록 하였다. 설치 완료된 WGS 반응기의 성능시험을 플라즈마 처리설비와 연계하여 수행하였다. 합성가스 내 각각 34%와 25%의 일산화탄소 및 수소의 농도가 WGS 반응기를 거친 후, 일산화탄소는 0.1% 미만으로 제거되었으며 수소는 44%로 증가하여 WGS 반응기의 성능 수준이 매우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차기 년도에 설치/가동 예정인 수소 생산용 PSA는 최대 10기압 운전 및 상압재생 방식으로 운전되며 생산된 수소는 최소 99.99%이상의 고순도를 유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폐기물의 플라즈마 열분해-가스화에 의한 수소생산 (Hydrogen production by plasma pyrolysis-gasification of waste)

  • 이진호;김영석;도철진;황순모;정성재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627-632
    • /
    • 2007
  • 폐기물의 플라즈마를 이용한 열분해-가스화-용융 처리공정은 청정연료 형태로 정화된 합성가스를 얻을 수 있고, 이 합성가스를 WGS 반응과 PSA 공법을 이용하면 고순도 수소로의 전환 및 회수가 가능하다. (주)애드플라텍에서는 자체 보유하고 있는 3톤/일급 플라즈마 폐기물 처리설비와 수소 정제/회수시스템을 연계하여, 폐기물로부터 고순도 수소 생산 ($20Nm^3/h$ 이상)을 위한 플라즈마 폐기물 처리 수소 생산 통합시스템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합성가스 내 질소 농도를 낮추기 위해 산소를 매질로 하는 100kW급 산소 플라즈마 토치를 제작 하였다. 수소 정제/회수 시스템은 폐기물의 플라즈마 처리 후의 합성가스 생성량과 조성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WGS 반응기로 들어가는 합성가스를 가스 컴프레서를 통하여 최대 10기압으로 승압시키고, 고농도 일산화탄소의 효과적인 제거 및 열 회수 극대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최적의 가스처리 시스템으로 구현되도록 하였다. 설치 완료된 WGS 반응기의 성능시험이 플라즈마 처리설비와 연계하여 수행되었으며 WGS 반응기를 거친 일산화탄소의 농도는 1.5% 미만으로 분석되었다. 차기 년도에 설치/가동 예정인 수소 생산용 PSA는 최대 10기압 운전 및 상압재생 방식으로 운전되며 생산된 수소는 최소 99.99%이상의 고순도를 유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