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회복기

검색결과 178건 처리시간 0.025초

고온 스트레스 환경에 노출된 홀스타인종 젖소의 회복기 면역 변화 특성 규명 (The Study of Attributes of Immune Changes during the Convalescence Temperature Period in Holstein Dairy Cows Exposed to High-Temperature Stress)

  • 김언태;이상진;김예은;임동현;김동현;박성민;엄준식;박지후;김상범;이성실;김명후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06-215
    • /
    • 2023
  • 본 연구는 고온 스트레스에 노출된 홀스타인종 젖소와 이후 회복 기간을 가진 홀스타인종 젖소의 혈액을 분석하여 면역세포의 분포와 기능을 확인하여 고온 스트레스에 대한 시간에 따른 면역변화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실험은 HTP(THI: 76 ± 1.2)와 CTP(THI: 66 ± 1.3)의 국립축산과학원 낙농과에서 사육중인 홀스타인종 젖소를 그룹당 5마리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EDTA tube를 사용하여 혈액을 샘플링하여 CBC 분석과 PBMC를 분리되었다. 분리된 PBMC는 유세포 분석을 실시하였다. CBC 결과는 그룹 간 면역세포 수에 변화가 없었다. PBMC의 Flow Cytometry를 사용한 분석에서는 그룹 간 B cell, Helper T cell, cytotoxic T cell, γδ T cell 간에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IL-17a를 생산하는 Th17 cell의 증가가 있었던 반면, CTP 중 Th1 cell은 감소하였다. CTP에서 IL-10의 발현 증가와 HSP70과 HSP90의 발현 감소가 관찰되었다. 결론적으로, IL-10의 발현 증가와 HSP 발현의 감소는 고온 스트레스로부터 약한 회복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그러나 B cell, T cell 및 기타 면역세포의 관찰된 변화가 없다는 것은 CTP 중 고온 스트레스로부터 불완전하게 회복되었음을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는 적온기 정상수준의 젖소 면역세포 분포에 대한 결과가 부재하여 적온기, 고온기, 회복기의 연결성 있는 비교분석이 부족하다는 한계가 있으며 젖소의 생리대사와 유생산량, 고온 스트레스 바이오마커 등에 대한 분석이 함께 이루어진다면 좀 더 명확한 회복기 대사 및 면역반응에 대한 결과 도출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스테로이드 치료 후 회복기의 규칙적인 운동이 쥐의 스테로이드 유발성 위축 뒷다리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gular exercise during recovery period following steroid treatment on the atrophied hindlimb muscles induced by steroid in rats)

  • 최명애;변영순;황애란;김희승;홍해숙;최스미;서화숙;이경숙;박미정;신기수;안경주;이윤경;임지회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4권1호
    • /
    • pp.85-99
    • /
    • 200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low intensity regular exercise following steroid treatment could attenuate steroid-induced muscle atrophy. Thirty-eight Sprague-Dawley rats weighing $165{\sim}175g$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 control group(C), dexamethasone administration group(D), sedentary normal saline administration group(C+Se), exercise after normal saline administration group(C+Ex), sedentary group after dexamethasone administration(D+Se), exercise group after dexamethasone administration(D+Ex). Either dexamethasone(5mg/kg) or normal saline was injected for 7days accordingly. Exercise was started at 10m/min on the $10^{\circ}$ grade treadmill and gradually increased up to 15m/min by the 7th day for 60minutes/day($20min{\times}3$). The data were analyzed by Kruskal-Wallis test and Mann-Whitney U test using the SPSS WIN 9.0 program. Body weight, muscle weight and myofibrillar protein content of both plantaris and gastrocnemius, Type I, II muscle fiber cross-sectional area of plantaris, and Type II muscle fiber cross-sectional area of gastrocnemius in D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C group(p<0.05) respectively. Hindlimb muscle weight, myofibrillar protein content of both plantaris and gastrocnemius. Type I muscle fiber cross-sectional area of soleus and Type I, II muscle fiber cross-sectional area of plantaris in D+Ex group tended to increase compared to those of D+Se group. Myofibrillar protein content of both plantaris and gastrocnemius, Type I muscle fiber cross-sectional area of plantaris in D+Ex group tended to increase compared to those of C+Se group.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regular low-intensity exercise during recovery period after steroid treatment might facilitate the recovery from steroid-induced muscle atrophy.

  • PDF

일미찰옥수수의 유묘기 저온에 따른 생육특성 변화 (Changes in Growth Characteristics of Waxy Corn 'Ilmichal' due to Low Temperature during the Seedling Stage)

  • 전승호;오승가;김한용;나채인;배희수;조영손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5권4호
    • /
    • pp.426-435
    • /
    • 2020
  • 본 연구는 남부지방에서 찰옥수수와 콩의 2모작 직파 표준재배법 확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찰옥수수의 유묘기 저온에 따른 생육특성 변화 및 피해양상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미찰옥수수 초장은 5℃ 이하 3일 처리구부터 저해가 나타나 모든 처리구에서 22% 이상의 저해율이 조사되었다. 경태도 저온기간이 길어지고, 온도가 낮아질수록 더 짧은 것으로 나타나, 제 2엽기 5℃ 이하 5일 처리구에서 저해율이 27% 이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식생지수(NDVI)에서 저해율은 제 2엽기>제 1엽기>초엽기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회복기 저해율에서는 제 2엽기 5℃ 이하 7일 처리구에서 25~82%로 가장 높았다. 광합성능력지수(Fv/Fm)에서도 제 2엽기>제 1엽기>초엽기 순으로 저해율이 높게 조사되었다. 특히, -3℃ 처리구의 저온처리 및 회복기에서 생육특성의 변화가 없거나,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5℃ 이하 3일부터 저온기간이 길어지고, 온도가 낮아 질수록 생장이 저해되었고, 그 피해정도는 제 2엽기>제 1엽기>초엽기 순으로 높았다. 모든 유묘기에서 -3℃ 이하에 3일 이상 노출될 경우 생육이 정지되거나, 위조고사 하였다. 한편, 본 실험은 실내에서 수행된 결과이므로 차후 재배지역 적용여부에 대한 면밀한 추가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가상현실 콘텐츠를 활용한 인지재활프로그램 훈련이 뇌혈관질환 환자의 인지, 일상생활활동,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iveness of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using Virtual reality content on Cogni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Upper extremity functions in Cerebrovascular disease)

  • 조영석;김금숙;김영준;박진홍;이건호;백소영;황도연;권기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537-545
    • /
    • 2020
  • 본 연구는 회복기 단계에 있는 뇌혈관 질환자를 대상으로 가상현실 콘텐츠를 활용한 인지재활프로그램의 임상적 적용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방법은 회복기 단계의 뇌혈관 질환자 34명을 대상으로 대조군(16명)과 실험군(18명)으로 나눈 후에 가상현실 콘텐츠 기반의 인지재활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인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 능력, 상지기능에서의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조군에는 보편적인 재활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실험군에서는 보편적인 재활치료 프로그램과 가상현실 콘텐츠 기반의 인지재활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두 집단 모두 하루 2회(1회 30분씩)씩, 주 5회, 4주간(총 20회기) 실시하였다. 중재 결과, 두 집단 모두 일상생활활동 능력이 모두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지만(p<.05), 실험군에서의 변화량이 대조군보다 5점정도 더 향상되었다(p<.05). 인지기능에서도 실험군과 대조군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p<.05), 변화량에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2점정도의 변화 수치를 보였다(p<.05). 상지기능에서는 대조군과 실험군 간의 유의마한 차이는 없었고(p>.05), 전후 변화량을 비교한 결과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0.7점정도 유의미한 변화폭을 보였다(p<.05). 가상현실 콘텐츠를 활용한 인지재활프로그램이 일반적인 재활치료 프로그램에 비해서 일상생활활동 능력과 인지기능에서의 유의미한 향상 폭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는 연구였다.

지질함유 대식세포 지표(lipid-laden macrophage index)를 이용한 세기관지염 환아에서 흡인의 위험성 평가 (The evaluation of risk for aspiration using lipid-laden macrophage index in infants with bronchiolitis)

  • 고지연;강희;정주영;한태희;김창근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7호
    • /
    • pp.763-768
    • /
    • 2006
  • 목 적 : 후두세척술을 이용하여 얻어진 LLMI로 급성세기관지염의 흡인의 위험성을 평가하고, LLMI와 기도염증세포 사이의 연관성에 대해서 연구하고자 하였다. 방 법 : RSV 세기관지염을 앓은 22명의 환아에서 급성기와 회복기에 각각 후두세척술을 시행하여 총세포수와 세포분획을 계산하였다. 한 개의 대식세포당 지질함유량은 0부터 4까지의 점수로 측정하였고, LLMI는 100개의 세포를 검사하여 400점까지 측정하였다. 결 과 : 세기관지염의 급성기에는 회복기에 비해 총세포수와 LLMI가 의미있게 증가되었다(P<0.05). 후두세척액의 중성구 백분율은 LLMI와 상관관계가 있었다(r=0.69, P<0.001). pH 양성군은 pH 음성군에 비해 후두세척액의 LLMI와 중성구 백분율이 의미있게 높았다(P<0.05). 결 론 : 본 연구는 세기관지염 시기에 일시적인 흡인의 위험이 증가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후두세척액으로 측정한 LLMI는 세기관지염 환아에서 흡인의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다.

밥 식이와 빵 식이가 지구성 운동 후 혈중 중성지방, 인슐린 및 그렐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ice Diet and Bread Diet on Plasma Triglyceride, Insulin and Ghrelin Level after Endurance Exercise)

  • 유동훈;하태열;안지윤;정현령;강호율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8호
    • /
    • pp.1112-1117
    • /
    • 2012
  • 본 연구는 밥 식이와 빵 식이가 지구성 운동 후 중성지방, 그렐린, 인슐린, 혈당, 유리지방산, 지방과 탄수화물 산화율을 조사하여 두 식이의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중성지방은 지구성 운동 시 두 식이 간에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운동 후 회복기에서 중성지방은 밥 식이가 빵 식이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인슐린과 혈당에서도 밥 식이는 빵 식이보다 유의하게 감소된 결과를 나타냈다. 밥 식이와 빵 식이의 유리지방산과 지방 산화율은 운동과 운동 후 회복기에서 통계적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밥 식이가 빵 식이보다 다소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운동을 병행한 두 식이 간 비교에서 밥 식이가 중성지방 감소, 낮은 혈당 반응, 인슐린 민감성 향상의 결과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일회성 운동이지만 서구의 주식인 빵 식이보다 우리의 주식인 밥 식이의 섭취가 운동과 병행하였을 경우 심혈관질환 예방 효과의 가능성을 볼 수 있었다.

기분과 성격특성이 정신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ood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n Psychophysiological Responses)

  • 구문선;유범희
    • 수면정신생리
    • /
    • 제8권1호
    • /
    • pp.59-66
    • /
    • 2001
  • 목 적 : 본 연구는 정상인에서 바이오피드백 시스템으로 측정된 정신생리적 변인들과 기분 및 성격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광고를 통해 모집한 내과적, 정신과적 질환의 병력이 없는 건강한 성인남녀 50명을 대상으로 스필버거 특성불안척도, 베크 우울척도, 성인용 아이젱크 성격검사를 측정하였다. 정신생리학적 변인은 J & J 바이오피드백 시스템을 이용하여 말초피부 온도, 피부전도 반응, 전완 근전도, 전두근 근전도의 수준을 기저기, 스트레스기, 회복기의 3시기로 나누어서 측정하였다. 또한 각 심리척도의 상위 10명, 하위 10명을 고집단(고불안, 고우울, 외향성, 고신경증)과 저집단(저불안, 저우울, 내향성, 저신경증)으로 분류하여 고/저 집단간의 정신생리적 반응의 차이를 t-test, repeated measures ANOVA, Pearson 상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결 과 : 특성불안과 정신생리적 반응과의 관계를 살펴보았을 때, 전완 근전도의 스트레스 반응만이 특성불안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을 뿐(r=0.282, p<0.05), 다른 정신생리적 반응과 연관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우울감은 기저기와 회복기의 전완 근전도에서 각각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r=-0.299, p<0.05;r=-0.314, p<0.05). 고우울 집단과 저우울 집단을 비교한 결과 전두근 근전도가 스트레스와 회복반응에서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를 나타냈다 (F=4.26, p<.05). 외향적인 집단은 내향적인 집단에 비해 스트레스기에 측정된 전완 근전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본 연구를 통해 정상인에게서 기분과 성격 특성은 바이오피드백 시스템으로 측정한 정신생리적 반응과 연관이 있음을 확인했다. 이는 각종 정신과적 장애에서 동반되는 정신생리적 변인의 이상소견을 해석하는데 있어 반드시 고려해야 할 점으로 생각된다.

  • PDF

1MeV Argon 이온주입에 의해 유기되 결합 및 회복기구의 XTEM 분석 (XTEM Study of 1 MeV Argon Ion Implantation Induced Defects in Si and Their Annealing Behavior)

  • 김광일;권영관;배영호;정욱진;김범만
    • 전자공학회논문지A
    • /
    • 제30A권8호
    • /
    • pp.42-48
    • /
    • 1993
  • Ar ions were implanted at 1 MeV into (100)Cz Si wafers with dose of 1 * 10$^{15}$ ions/cm$^{2}$. Damage induced by high energy implantation and its annealing behavior during rapid thermal annealing for 10sec at temperatures from 550 to 1100${\circ}C$ were investigated by crosssect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study. It can be clearly seen from the observation that the SPE(Solid Phase Epitaxy) regrowth of the buried amorphous layer induced by ion implantation proceeds from both upper and lower amorphous/crystalline (a/c) interfaces, and the activation energy for SPE from interfaces were both 1.43eV. Misfit dislocation where two interfaces met was formed and it coalesced into the hair pin dislocation in the upper regrown region. At the higher temperature after annealing out of the misfit dislocation, hair pin dislocations showed considerable drop in its bandwidth. However, they were not disappeared even at the temperature 1100${\circ}C$ with the end of range dislocation loops which were formed at the original lower a/c interface.

  • PDF

회복기 심근경색 환자의 건강행위 경험 (The Health Behavioral Experience of Patients with Myocardial Infarction during the Recovery Period)

  • 강경자;김문정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03-213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and describe the every day life experience of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 during the recovery period after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 using a qualitative approach. Methods: Twelve patients with AMI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ir age ranged from 42 to 75. The data were collected by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and all interviews were audio-taped and transcribed verbatim. The transcribed data were analyzed using traditional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Results: Six sub-themes emerged from the data as follows: Getting to know about illness, getting motivated for health behavior, putting an effort into health behavioral change, having difficulties maintaining health behavior, setting up coping strategies for health behavior and having a need for a tailored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how the health behaviors of patients with AMI are related to their every day life experience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help health professionals to better understand patients with AMI and design effective educational interventions to improve their health behavi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