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회로 차단기

Search Result 138,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전기철도 수변전설비의 유지 및 운용⑦(마지막회)

  • 한국전력기술인협회
    • Electric Engineers Magazine
    • /
    • v.252 no.8
    • /
    • pp.12-16
    • /
    • 2003
  • 고속도로 차단기의 투입기구는 폐로코일의 여자후주 접촉자를 닫도록 되어 있어, 회로에 고장이 계속될 때 투입조작을 한 경우 또는 닫는 순간에 고장이 발생해 과전류가 흐른 경우 즉시 차단하게 되어 있다. 이 같은 기구를 TRIP FREE라 한다.

  • PDF

Dynamic Responses Optimization of Vacuum Circuit Breaker Using Taghchi Method (실험 계획법을 이용한 진공 차단기의 동특성 최적화)

  • Jo, Jun Yeon;Ahn, Kil Young;Kim, Sung Tae;Yang, Hong Ik;Kim, Kyu Jung
    • Transactions of the KSME C: Technology and Education
    • /
    • v.3 no.2
    • /
    • pp.141-148
    • /
    • 2015
  • In this study, the VCB(Vacuum Circuit Breaker) has been developed using the Recurdyn that is widely used on multibody dynamics analysis. The VCB consists of three main circuits with the VI(Vacuum Interrupter) and the main frame with the operating mechanism. This analytic model is validated by comparing the simulation results and the experimental results. Generally, in order to reliably cut off the breaking current, the opening speed of the VCB after contact separation has to be a 0.9~1.1m/s. Therefore, the study of the design parameters of the VCB is needed. To improve the opening velocity, Taguchi design method is applied to optimize the design parameters of a VCB with a lot of linkages. In addition, to evaluate the improvement of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the simulation results are compared with the Recurdyn and experimental results with improved prototype sample.

Transient characteristics comparison of permanent magnet actuator by coil type (권선형태에 따른 permanent magnet actuator의 동작 특성 비교)

  • Yoon lel Joo;Min Kyung Jo;Hahn Sung Chi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summer
    • /
    • pp.1016-1018
    • /
    • 2004
  • 최근 배전용 차단기의 조작방식은 스프링 구동 방식에서 영구자석 엑츄에이터(PMA) 구동방식으로 바뀌고 있다. PMA로 작동하는 중고압 차단기는 여자전류 권선의 수에 의해 단권선형과 이권선형으로 구분한다. 본 논문에서는 PMA의 동특성을 해석하기 위하여 유한요소법과 외부회로 방정식을 결합하였다. 가동부의 움직임을 고려하여 자계분포를 해석하였으며 가동부의 속도와 흡인력을 구하여 비교하였다. 해석된 결과는 PMA 설계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Trend of Harmonization of International Standards for the Distribution Class Circuit Breaker (배전급 차단기의 국제표준 부합화 동향)

  • Park, Byung-Rak;Park, Seung-Jae;Lim, Jae-Chan;Kim, Jae-Chul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416-417
    • /
    • 2011
  • 국제적으로 차단기의 성능평가에 가장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는 IEC와 IEEE는 단락고장회로에 대한 차단성능평가 기준의 핵심 요소인 과도회복전압(TRV)을 서로 다른 방법으로 규정하고 있었다. 따라서 제작자는 신제품으로 개발한 동일한 모델의 차단기에 대하여 구매자의 요구에 대응하기 위하여 두 가지 표준에 대한 형식시험 또는 형식 시험인증을 실시해야하므로 불필요한 경제적 비용을 지불해야만 했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IEC와 IEEE는 1990년대 말부터 두 규정의 부합화를 위한 개정작업을 진행했다. 이에 따라 2008년에는 완전한 부합화를 이루지는 못했지만 TRV에 관한 규정의 상당부분이 부합화가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부합화된 주요 부분과 시험방법을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UL1699 based on Arc Generator (UL1699 기반 아크모의발생장치에 관한 연구)

  • Kwon, Wan-Sung;Kim, Young-Sik;Lee, Young-Jin;Choi, Jung-Muk;Yoo, Jae-Geun;Choe, Myeong-Il;Choe, Gyu-Ha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8.10a
    • /
    • pp.91-93
    • /
    • 2008
  • 전기로 인한 화재의 주요원인 중 하나는 전기회로에서 발생되는 아크이며, 기존 사용되고 있는 보호장치인 휴즈나 배선용 차단기가 제공하는 과부하, 누전, 단락뿐만 아니라 아크현상에 대한 보호기능을 갖춘 통합 전기화재 감시 및 보호장치의 필요성과 이에 대한 효율적인 운용시스템이 요구된다. 이처럼 다양한 전기화재 사고 중에서 주요 사고 사례 중의 하나가 선로 혹은 전선의 절열 파괴로 일어나는 직렬아크, 스파크(series arc, spark) 현상(누전차단기 혹은 과전류차단기가 동작하지 않는 범위의 아크사고 모의)이다. 이러한 사고를 모의하기 위한 아크발생장치를 설계하여 UL-1699에서 규정하는 아크의 발생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 PDF

Development of Soft Recovery Electronic Leakage Breaker (소프트 복귀형 전자식 누전차단기의 개발)

  • Park, Chan-Won;Choi, Byung-Sang;Chun, Sam-Su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5.07b
    • /
    • pp.1020-1022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누전차단기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는 자기회복이 어렵고 불안정한 오동작과 가격대 성능의 불만요소를 해소 하기위한 동작안정성과 성능개선을 만족하는 회로를 개발하고 이를 상품화 하기 위한 시작품의 개발의 방안으로 다기능 고성능으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시작품을 개발설계하고 저가형의 하드웨어로서 기존보다 우수한 기능과 성능을 제공하는 누전차단기를 설계, 제작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