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황화합물

Search Result 158,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The Effects of Tongue Coating on Volatile Sulfur Compounds Production in the Oral Malodor Patients (구취 환자에서 설태가 휘발성 황화합물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Lee, Hun;Lee, Seung-Ryeul;Kim, Young-Ku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26 no.3
    • /
    • pp.243-252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구강 내 공기 중 설태 제거 전후의 휘발성 황화합물 농도를 gas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피검자로는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구취클리닉에 내원한 환자 중에서 치주 건강 상태가 양호하며 구취를 호소하는 환자 18 명(평균연령 31.4세; 남자 8명, 여자 1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구취를 측정하기 전에 모든 피검자들은 실험 전날 취침 전부터 실험 당일 실험시작 전까지 음식 섭취나 양치질 등의 모든 구강 활동을 금지하였다. 구취 시료는 채취 전에 피검자로 하여금 3분간 입을 다물게 한 후 입을 약 2cm정도 벌린 상태에서 시행하였으며 시료 채취 후 설태를 제거하였다. 설태 제거 후에 구강 내 공기를 다시 채취한 후 gas chromatography를 통하여 휘발성 황화합물의 각 성분별 농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과정에서는 과거에 휘발성 황화합물의 검출 시 사용되어진 sampling loop와 isothermal run condition 대신 좀더 효율적인 직접표본주입방법과 oven temperature programmed analysis를 시행하였다. 1. 전체 휘발성 황화합물은 Hydrogen sulfide (59.96%), Methyl mercaptan (25.08%), Dimethyl sulfide (14.96%)로 구성되었다. 이 중 Hydrogen sulfide는 전체 휘발성 황화합물중 약 60%를 차지하여 치주상태가 양호한 구취환자에서의 주요한 구취 구 성 성분이었다. 2. 설태 제거 후 전체 휘발성 황화합물의 농도감소는 제거 전에 비하여 41.71%로 유의 하게 감소하였다(p<0.01). 3. 설태 제거 후에 Hydrogen sulfide의 농도감소는 43.62% (p<0.01), Methyl mercaptan 의 농도감소는 38.88% (p<0.05), 그리고 Dimethyl sulfide의 농도감소는 30.21% (p<0.01)로 각각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4. 전체 휘발성 황화합물의 구성비율은 설태 제거 전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05).

  • PDF

A Preliminary Study on Oral Molodor Measurement (구취측정에 관한 예비 연구)

  • 김영구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22 no.2
    • /
    • pp.233-239
    • /
    • 1997
  • 현대사회에서 구취의 유무가 가정 및 사회생활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문제로 대두됨에 따라 구취의 예방과 치료에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구취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구취의 연구에서는 객관적이며 정확한 구취의 측정이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건강한 구강조직을 가진 서울대학교 치과대학생 및 치과병원 종사자 21명을 대상으로 시각차에 대한 실험, 구강세정에 대한 실험, 구강내로 삽입되는 straw의 구강내 위치에 대한 실험, straw의 종류에 대한 실험 및 구강내 타액의 양에 대한 실험을 실시한 결과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휘발성 황화합물의 농도는 하루중 기상직후 식사나 잇솔질하기 전에서 가장 높았다. 2. 잇솔질과 zinc chloride 양치후 휘발성 황화합물 농도의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05). 3. 측정시 straw가 구강내로 들어가는 깊이가 줄어들수록 휘발성 황화합물의 농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0.05). 4. 측정에 사용된 straw의 종류는 휘발성 황화합물의 농도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5. 구강내에 타액을 머금고 측정했을 매 휘발성 황화합물 농도의 유의한 감소가 관찰되었고(p<0.05), 숨을 쉬지않고 측정했을 때는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6. 구취 측정시 개구정도에 따른 측정값의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 PDF

Analytical Techniques for Sulfur Compounds by the Combination of GC/PFPD. (GC/PFPD를 이용한 악취성 황화합물의 분석기법에서의 회수율에 대한 연구)

  • 김기현;최여진;오상인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283-284
    • /
    • 2003
  • 환원황 성분들은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생활하는 환경권역에서 고농도 (ppb 수준 이상)로 존재할 경우, 악취의 주요원인물질로 작용한다는 점에서 상당한 주목을 받고 있다. 국내의 경우, 환경부에서는 이미 '92년 8월 대기환경보전 법을 개정하여, 황화수소를 위시한 4개의 황화합물과 트리메틸아민, 암모니아, 아세트알데히드, 스티렌을 포함하는 총 8개 화합물을 악취물질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이러한 황화합물을 분석하는데 spectrophotometry, polarography, fluorescence, coulometry, impregnated filter 방식 등이 활용되고 있다 (Blank et al., 1978). (중략)

  • PDF

The Distribution of Major Reduced S Gases in Urban Air (도심지역의 환경 대기 중 악취성 환원황 화합물의 농도분포: ppt 영역의 분포특성 연구)

  • 최여진;김기현;오상인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279-280
    • /
    • 2003
  • 지구상의 대기환경 중에 가스상의 형태로 존재하는 황화합물은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인류의 산업활동과 같은 여러 유형의 인위적 배출원을 통해 배출되는 황화합물의 절대적인 부분을 차지하며 가스상 산화물의 형태로 존재하는 이산화황과 같은 성분은 인위적 기원의 황성분을 대표한다 (Spiro et al., 1992). 그런데 이들과 달리 자연적인 조건에서 생물활동의 결과로 지구의 대기환경 중으로 유입되는 황화합물들은 그 종류가 다양할 뿐 아니라, 산화도가 낮은 환원황화합물 (reduced sulfur compounds)의 형태로 존재한다. (Andreae, 1990). (중략)

  • PDF

Behavior of Sulfur-containing Compounds in High Temperature Pyrolysis of Coals (석탄의 고온열분해시 황화합물의 거동 연구)

  • 정봉진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11 no.3
    • /
    • pp.269-275
    • /
    • 2002
  • Experimental studies are carried out to find the behavior of sulfur compounds which are evolved during high temperature pyrolysis of coals at the smelting reduction process for iron ore. Three kinds of bituminous coals, such as Hunter & Mt. Thorley (Australia), and Ensham (South Africa) are used. And forms of sulfur compound and their amounts are analyzed at the temperature ranges of 800~110$0^{\circ}C$. Then H$_2$S is the major gas, but CS$_2$ and COS are minor gases. Sulfur compounds in three coals are distributed into the volatiles (gas & tar) and coal char as the ratio of approximately 50%:50%, respectively.

Effects of Bioturbation of the Amphipod Monocorophium uenoi on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Sulphides and Oxygen within Sulphides-Rich Sediments of Lake Sihwa (세가시육질꼬리옆새우(단각류)의 생물교란이 시화호 퇴적물 내 황화합물과 산소 농도의 수직적 분포에 미치는 영향)

  • Koo, Bon Joo;Kwon, Kae Kyeong;Shin, Sang-Ho;Je, Jong-Geel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8 no.3
    • /
    • pp.79-89
    • /
    • 2006
  • The survival rate and tube number of Monocorophium uenoi, one of the dominant species in Lake Sihwa, was investigated under laboratory condition with salinity gradients (1, 5, 10, 15, 20, 25, 30, 35, 40‰). Another laboratory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urvival rate of Monocorophium uenoi in sulphide-rich sediment with oxic overlying water, and the effect of amphipod bioturbation on sulphide and oxygen profiles. The survival rate and tube-forming number of the amphipod were high in salinity range of 20 to 30‰. The amphipod survival rate was also high in sulphidic sediment when the water column was oxic. The amphipod bioturbation affected the oxygen and sulphide content in the sediment; oxygen conditions in the upper sediment layers were improved, and simultaneously the concentrations of sulphide were reduced. And their depth was clearly dependent on amphipod density. In Lake Sihwa, previously anoxic bottoms with sulphidic sediment during summer turn oxic with pycnocline disappearance during autumn. Amphipods seem to have the capability to quickly invade such areas, and their tubing of the sediment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preparing the sediment for further recolonisation of other macrobenthos.

  • PDF

Determination of Sulfur Compounds in Gaseous Fuel by Gas Chromatography-Sulfur Chemiluminescence Detection (GC-SCD를 이용한 가스연료 중 황화합물의 정량)

  • Do, Lee Joo;Koh, Jae Suk;Kim, Ho Jin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43 no.5
    • /
    • pp.517-521
    • /
    • 1999
  • Gas chromatography using sulfur chemiluminescence detection (GC-SCD) which exhibits very good selectivity, linearity, and sensitivity was applied to the analysis of suIfur compounds in gaseous fuel. The expectmental method used in this study was to resolve the problems of repeatability and reproducibility by means of the adsorption of sulfur compounds, which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analysis method of these compounds by GC-SCD. The calibration curves of the standard gases including dimethyl sulfide, t-butylmercaptan and ethyl methyl sulfide exhibited an excellent linearity. As the result of precision tests for the above three compounds, the high reproducibility for tests showed while repeating three times during four days,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was less than 3%. In consequence, the expectmental method of this study is very effective not only with low uncertainty but also with better accuracy, which can quickly determine the concentration of gas odorants in LPG (Liquefied Petroleum Gas) from oil reservoirs and filling stations.

  • PDF

Superacidic Property of $ZrO_2$ Modified with Sulfur Compounds (황화합물로 개질된 $ZrO_2$의 초강산 성질)

  • Jong Rack Sohn;Hae Won Kim;Jong Taik Kim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31 no.4
    • /
    • pp.322-327
    • /
    • 1987
  • $ZrO_2$was modified by treating with $H_2SO_4$ and by treating witb $SO_2,\;H_2S,\;and\;CS_2$ followed by oxidation. The oxidized species and oxidation state of sulfur compounds were investigated by infrared and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ies. The generation of strong acidity of modified $ZrO_2$ was independent of the sulfur source after oxidation. The sulfur ($SO_4{^{2-}}$) in the highest oxidation state was responsible for the superacidic property of the modified $ZrO_2$.

  • PDF

Study on desulfurization performance of Zn-based solid sorbents at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in the 0.3 bbl/d CTL(Coal-to-Liquid) process integrated with coal gasifier, F-T process and hot gas desulfurization process (석탄가스화기, F-T 공정, 건식탈황공정이 통합된 0.3 배럴/일 규모 석탄액화(CTL) 공정에서 고온, 고압 연속운전에서 아연계 탈황제의 탈황 성능 파악)

  • Park, Young Cheol;Jo, Sung-Ho;Jin, Gyoung Tae;Lee, Seung-Yong;Yi, Chang-Keu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6a
    • /
    • pp.107.2-107.2
    • /
    • 2010
  • 고온건식탈황기술은 고온고압에서 석탄가스에 함유된 황화합물을 제거하는 기술로 석탄가스화에 의해 생성된 고온의 석탄가스의 열손실을 최소화하여 열효율이 높은 기술이다. 본 연구에서는 석탄으로부터 합성원유를 생산하는 0.3 배럴/일 규모 석탄액화(CTL)공정의 연계운전을 통하여 건식탈황공정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0.3 배럴/일 규모 석탄액화공정은 석탄가스화기, 건식탈황공정, 액화공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30 atm의 고압에서 운전된다. 건식탈황공정은 석탄가스화기와 액화공정 사이에 위치하여 석탄가스화로부터 생성된 석탄가스에 함유된 황화합물을 아연계 건식탈황제에 의해 제거한 후 액화반응기로 공급하여 황화합물에 의한 촉매의 피독을 막아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개발된 두 개의 기포유동층 반응기로 구성된 탈황장치를 30 atm에서 운전이 가능하도록 수정/보완하여 실제 운전압력인 30 atm의 고압에서 연속운전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탈황효율은 99% 이상이며 탈황반응기 출구 황화합물의 농도는 1 ppmv 이하로 유지하였다.

  • PDF

Removal of Sulfur Compounds from Anaerobic Digestion Gas (혐기성 소화 가스로부터 황화합물의 제거)

  • Choi, Do-Young;Jang, Seong-Cheol;Ahn, Byoung-Sung;Choi, Dae-Ki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19 no.1
    • /
    • pp.31-36
    • /
    • 2008
  • In hydrogen production for fuel cell by reforming ADG, sulfur compounds, odorant in ADG, are detrimental to reforming catalyst and fuel cell electrodes. We prepared alkali metal impregnated activated carbon to remove sulfur compounds in ADG by adsorption. The sulfur breakthrough adsorption capacity was changed depending on the oxygen concentration and relative humidity. Oxygen 0.2 vol% and RH 90% showed the highest sulfur breakthrough capacity.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H_2S$ on KI impregnated activated carbon were evaluated using dynamic adsorption method in a fixed bed. Based on the results, adsorption tower was designed and field-t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