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황해와 동중국해

Search Result 53,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1999년 하계 황해 어업자원의 분포특성

  • 연인자;고태승;황학진;최영민;조성환;임양재;임동현;홍승현;윤원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05a
    • /
    • pp.346-347
    • /
    • 2000
  • 황해에서의 어업생산은 우리나라 일반해면어업 생산량의 약 12%에 지나지 않으나, 우리나라 어선어업의 약 80%를 차지하는 황해-동중국해 어업자원 대부분이 계절에 따라 황해와 동중국해를 이동하는 회유성 자원임을 볼 때 황해는 동중국해 어업자원의 근간을 이루는 해역이라 할 수 있다(과학기술부, 1998). 그러나 육상오염원의 증가, 간척지 개발, 남획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어획량의 감소 및 다양한 어종의 서식장 및 산란장으로서의 기능도 위협받고 있는 실정이다. (중략)

  • PDF

Oceanographic Variability in Yellow Sea using Satellite Data: from the Viewpoint of Abnormal Rise in Seawater Temperature in 2004 (인공위성자료를 이용한 황해의 해황 변동: 2004년 이상 수온 상승을 중심으로)

  • Yang, Chan-Su;Moon, Jeong-Eon;Ahn, Yu-Hwan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06.05a
    • /
    • pp.137-140
    • /
    • 2006
  • 황해와 동중국해의 해황 변동에 관한 연구는 현장관측을 중심으로 체계적으로 많이 수행되어 왔지만, 인공위성자료를 이용한 황해와 동중국해의 해황 변동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것은 인공위성자료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관측항목이 표층수온자료에 국한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SeaWiFS 해색위성과 같은 인공위성자료들을 이용하여 부유물 농도, 엽록소 농도 등이 원활하게 생산되고 있으며 최근 연구결과에 의해 염분과 유향성분 등도 추정 및 추출이 가능케 되었으므로 이들 인공위성자료를 이용한 황해와 동 중국해의 해황 변동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게 되었다. 특히 2004 년도는 계절변동에 있어서 이상기후의 해라고 점철되고 있다. 2004년 봄철의 폭설과 일시적인 고온현상, 여름철에는 10 년만의 무더위, 겨울철에는 36년만에 가장 포근한 날씨가 지속되었다. 이러한 이상기후의 발생은 해양과 대기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기인했을 것이라고 생각되어 한반도 주변 해역에서 황해와 동중국해의 해황변동이 연안 해역의 해황변동과 어떠한 연관성이 존재하고, 이러한 요인들은 2004년도에 발생한 이상기후와 어떤 상관관계를 갖는지 연구하기 위한 기초연구를 진행하였다. 2003년 12월 - 2004년 2월과 2004년 12월 - 2005년 2월에 동일한 시기에 관측된 NOAA 표층수온 분포 영상 자료들을 황해와 동중국해 해역을 중심으로 월별로 비교해보면 2003년 12월 2004년 1월에 관측된 표층수온 분포값보다 2004녀 12월 - 2005년 1월에 관측된 표층수온 분포값이 상대적으로 높은 분포 특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와 같은 현상은 국립수산과학원의 2004년 10월과 12월의 정선관측자료에서도 나타나고 있었다. 그러나 이와는 반대로 2004년 2월에 관측된 표층수온 분포값보다 2005년 2월에 관측된 표층수온 분포값이 상대적으로 낮은 분포 특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따라서 인공위성자료를 이용한 황해의 2004년 해황 분석 결과는 이상수온 상승의 원인이 쿠로시오 해류의 변동과 관련성이 높다고 판단되며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현재 진행중에 있다.

  • PDF

An Analysis of Oceanic Current Maps of the Yellow Sea and the East China Sea in Secondary School Science Textbooks (중등학교 과학교과서의 황해 및 동중국해 해류도 분석)

  • Park, Kyung-Ae;Park, Ji-Eun;Choi, Byoung-Ju;Lee, Sang-Ho;Lee, Eunil;Byun, Do-Seong;Kim, Young-Taeg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5 no.6
    • /
    • pp.439-466
    • /
    • 2014
  • Since the unification of the diverse oceanic current maps of the East Sea in secondary school science textbooks has recently been accomplished, there have been increasing requirements for the production of a current map of the Yellow Sea (YS) and the East China Sea (ECS). This study, as its first attempt, facilitated the prospective production process of the unified oceanic current maps in YS and ECS by analyzing the maps of scientific articles and those of the present textbooks as of 2014. First of all, the analogue current maps of the textbooks and scientific articles were digitalized to retrieve the characteristics of current maps quantitatively and to make intercomparison of the maps. The currents of both YS and ECS such as the Kuroshio Current, the Taiwan Warm Current, the Tsushima Warm Current, the Yellow Sea Warm Current, the Chinese Coastal Current, the Korea Coastal Current, and the Changjiang River Flow were selected and analyzed. We made 18 items to investigate the paths of the currents. Analyses of the oceanic current maps of secondary school science textbooks and scientific articles with respect to the selected criteria revealed that the current maps of the textbooks were considerably different from the up-to-date knowledge of the current maps acquired from the scientific articles. In addition, since the currents of YS and ECS have strong seasonality, we suggest that they should be presented with at least two current maps for summer and winter in the textbooks, which may go through active discussions among experts.

Characteristics and Provenance of Heavy Minerals in the Yellow Sea and Northern East China Sea (황해 및 동중국해 북부의 중광물 특성과 기원)

  • Koo, Hyo Jin;Lee, Bu Yeong;Cho, Hyen Goo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53 no.5
    • /
    • pp.505-515
    • /
    • 2020
  • The Yellow Sea and northern East China Sea contain a transgressive sand layer. Numerous sedimentary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in these sand deposits using seismic exploration and core sediment techniques, but few mineralogical studies have been reported. The major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scribe the distributions of heavy minerals throughout the Yellow sea and northern East China Sea and to identify the provenance of coarse sediments using the mineral chemistry. Eight heavy mineral species were identified in the study area (epidote, amphibole, garnet, zircon, sphene, rutile, apatite, and monazite). The study region was divided into six areas (areas A to F) based on heavy mineral distributions and sampling locations. In mineral chemistry, the amphiboles present are classified as edenite and hornblende in the calcic amphibole group, and the garnets are identified primarily as almandine in the pyralspite group. A combined data set of heavy mineral distributions and mineral chemistry showed clear differenti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x classified areas, enabling determination of provenance and sedimentary environment. Area A and B in the eastern Yellow Sea were originated from the Korean peninsula, and these regions showed different heavy mineral characteristics by tidal current and coastal current. In addition, monazite was only found in the area B and could be used as an indicator from the southwestern Korean peninsula. Area D and E in the western Yellow Sea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sediments originating from the Huanghe, and sediment in the area E was derived from the Changjiang. Area C in the northern East China Sea appeared to have Changjiang-origin sediment, and abundant apatite indicated that area C was formed close to the Last Glacial Maximum.

Oceanographic Variability in Yellow Sea using Satellite Dat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Oceanic Variation in the Offshore Area and Viewpoint of Abnormal Rise in Coastal Seawater Temperature in 2004 (인공위성자료를 이용한 황해의 해황 변동: 2004년 연안해역 이상 수온 상승과 외해 해양 변동의 연관성 연구)

  • Moon, Jeong-Eon;Yang, Chan-Su;Ahn, Yu-Hwan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06.11a
    • /
    • pp.209-212
    • /
    • 2006
  • 황해와 동중국해의 해황 변동에 관한 연구는 현장관측을 중심으로 체계적으로 많이 수행되어 왔지만, 인공위성자료를 이용한 황해와 동중국해의 해황 변동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것은 인공위성자료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관측항목이 표층수온자료에 국한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SeaWiFS 해색위성과 같은 인공위성자료들을 이용하여 부유물 농도, 엽록소 농도 등이 원활하게 생산되고 있으며 최근 연구결과에 의해 염분과 유향성분 동도 추정 및 추출이 가능케 되었으므로 이들 인공위성자료를 이용한 황해와 동중국해의 해황 변동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게 되었다. 특히 2004 년도는 계절변동에 있어서 이상기후의 해라고 점철되고 있다. 2004년 봄철의 폭설과 일시적인 고온현상, 여름철에는 10년만의 무더위, 겨울철에는 36년만에 가장 포근한 날씨가 지속되었다. 이러한 이상기후의 발생은 해양과 대기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기인했을 것이라고 생각되어 한반도 주변 해역에서 황해와 동중국해의 해황변동이 연안해역의 해황변동과 어떠한 연관성이 존재하고, 이러한 요인들은 2004년도에 발생한 이상기후와 어떤 상관관계를 갖는지 연구하기 위한 기초연구를 진행하였다. 2003년 12월 - 2004년 2월과 2004년 12월 2005년 2월에 통일한 시기에 관측된 NOAA 표층수온 분포 영상자료들을 황해와 동중국해 해역을 중심으로 월별로 비교해보면 2003년 12월 - 2004년 1월에 관측된 표층수온 분포값보다 2004년 12월 - 2005년 1월에 관측된 표층수온 분포값이 상대적으로 높은 분포 특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와 같은 현상은 국립수산과학원의 2004년 10월과 12월의 정선관측자료에서도 나타나고 있었다. 그러나 이와는 반대로 2004년 2 월에 관측된 표층수온 분포값보다 2005년 2월에 관측된 표층수온 분포값이 상대적으로 낮은 분포 특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따라서 인공위성자료를 이용한 황해의 2004년 해황 분석 결과는 이상수온 상승의 원인이 쿠로시오 해류의 변통과 관련성이 높다고 판단되며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현재 진행중에 있다.

  • PDF

Modeling of Tides in the Yellow Sea and the East China Sea using Dynamically Interfaced Nested Tidal Model (둥지형 동적결합 조석 모형을 이용한 황해 및 동중국해의 조석모형)

  • Choi, Byung-Ho;Hong, Sung-J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17 no.4
    • /
    • pp.243-258
    • /
    • 2005
  • A fully-nonlinear two-dimensional dynamically interfaced nested tidal model has been developed with improved efficiency, usability, relocatability and also adopting different time steps for economizing computational times, which is based on two-dimensional tidal model of Choi(1990) with resolution of $1/15^{\circ}$ inlatitude by $1/12^{\circ}$ in longitude covering the whole Yellow and East China Seas continental shelf. To illustrate the validity and applicability of the present model, numerical model experiment was carried out for tidal distribution in the Yellow Sea and the East China Sea emphasizing the Saemangeum area with enhanced grid system. The results from comparison with observed value showed that the present model gives reasonable agreement. The present modeling system is a relocatable tide forecasting system designed to predict tides at any location within the Yellow Sea and the East China Sea continental shelf sea.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Fish Schools in the Yellow Sea and the East China Sea in the Spring of 1997 (1997 년 춘계의 동중국해 및 황해에 대한 어군의 분포특성)

  • Lee, Dae-Ja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Ocean Technology
    • /
    • v.38 no.3
    • /
    • pp.241-248
    • /
    • 2002
  • The combined hydroacoustic and demersal trawl surveys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fish schools in the Yellow Sea and the East China Sea were carried out during the spring of 1997 by the training ship "Nagasaki Maru" of Nagasaki University. Fish samples were collected by bottom trawling from 9 trawl stations randomly selected in the survey area, and the species and length compositions of trawl catches are examined. Hydroacoustic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a Furuno FQ-50 scientific echo sounder operating at 50KHz and the data stored in field were later processed in the laboratory. The results obtained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In the 9 trawl surveys conducted in the Yellow Sea and the East China Sea, 78 species including 80 species of fishes, 4 species of Cephalopoda and 6 species of Crustacea, were identified. The most abundant species in these stations were swimming crab(Portunus trituberculatus), Japanese horse mackere(Trachurus japonicus), redlip croaker(Larimichthys polyactis) and the catch per one hour in each station ranged 7.7 to 182.5 kg/hour. 2. The mean volume backscattering strength for the entire water column and the bottom layer of the 0-10 m from bottom friction were -74.6 ㏈ and -68.2 ㏈, respectively. That is, the mean volume backscattering strength for the bottom layer was 6.4 ㏈ higher than that for the entire water column 3. In the surveys during the spring of 1997,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fish schools suggests a trend of decreasing fish abundance toward the coast area of Korea and the highest demersal concentrations appeared in waters between the Cheju Island and the Tsushima Island 4. The distribution density of fish school in the East China Sea and Yellow Sea during the 1997 acoustic survey were estimated to be 6.65$\times$10$^{-5}$ kg/㎥ in the entire water column and 2.86$\times$l0$^{-4}$ kg/㎥ in the bottom layer, respectively.pectively.

Digital Bathymetric and Topographic Data for Neighboring Seas of Korea (한국근해의 디지털 수심.표고 데이터베이스)

  • 최병호;김경옥;엄현민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14 no.1
    • /
    • pp.41-50
    • /
    • 2002
  • An attempt has been made to establish digital bathymetric and topographic database in the form of grid point value(GPV) with an interval of one-minute horizontal space fur a wide region of seas adjacent to Korean Peninsula and also with an interval of one-arcsecond for coastal seas of Korean Peninsula. Especially terrestrial and marine data fusion work using mean sea level as vertical datum plane has been performed for one-arcsecond GPV dataset. It is believed that the compiled bathymetric dataset are reliable comparing with existing dataset so for and can be utilized for ocean simulations of intermediate scale process and also detailed coastal inundation process.

근해안강망어업의 주간어황예측

  • 김진영;황진수;홍승현;연인자;임양재;황학진;김지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05a
    • /
    • pp.344-345
    • /
    • 2000
  • 근해안강망어업에서 주로 어획되는 수산자원은 참조기, 갈치, 아귀등의 저서성어류로서, 겨울에는 월동장인 우리나라 서해남부 및 동중국해 북부해역으로 남하회유하고 봄이 되면 황해 및 중국 연안의 산란장으로 북상이동하는 계절회유를 한다. 따라서 근해안강망어업의 주간어황은 황해 및 동중국해에 서식하는 대상어업자원의 자원량변동의 영향을 받으며, 해황의 변동에 따른 회유경로의 경년변동 및 계절회유에 의한 주 서식처의 변동, 조석의 변동, 어장의 일기등의 영향을 받는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