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황구지천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7초

FLUMEN 모형에 의한 황구지천 인접지역의 홍수범람 모의 (Simulation of FLUMEN model for Estimating Flood Inundation in the Adjacent Area of the Hwang-Gu-Ji Stream)

  • 김민혁;안태진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7년도 학술발표회
    • /
    • pp.317-321
    • /
    • 2017
  • 본 연구는 황구지천 인접 지역의 홍수지도를 작성하기 위하여 황구지천 제방 파제시 홍수범람 모의를 실행하였다. 홍수범람모의에 적용한 수치모형은 FLUMEN이며 황구지천 세마교부터 수직교 구간 인접지역의 홍수범람을 모의하였다. 수치지형도에 의한 지형자료와 함께 조도계수 및 홍수수문곡선운 황구지천 관련 계획보고서의 자료를 인용하였다. 월류에 의한 범람 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확률홍수시 현 제방고를 적용한 초기 침수 빈도를 적용하였다. 범람시나리오를 작성하기 위하여 2개의 파제위치를 선정한 후 범람 모의를 수행하였다. FLUMEN은 미리 제방을 파제한 후 처오름 해석으로 모의하는 방법과 하도에 물이 가득 찬 후 제방을 파괴하는 방법이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전자의 방법을 적용하였다. 제방의 범람에 따른 침수시간, 유속분포의 변화, 침수심, 침수면적 등을 산정하고 제방의 파제에 따른 침수시 파제폭에 관한 변화를 주어 범람면적의 변화 및 시간의 변화 수문곡선상 문제점을 검토하여 해당지점의 적정한 파제폭, 침수심, 침수시간 등을 제시하여 홍수지도 작성시 필요한 자료를 제시하였다.

  • PDF

수질모의시 적정 탈산소계수 선정을 위한 연구 - 황구지천을 대상으로 - (A study on rationalized values of deoxygenation coefficient for stream quality modelling in the Hwangguji stream)

  • 노희성;안태진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77-83
    • /
    • 2019
  • 2002년 및 2014년 수행된 황구지천 하천기본계획 수립에 있어서 수질오염농도의 예측을 수행하였지만, 수질 예측모델링 과정에서 관행적으로 적용한 반응계수를 적용함으로써 수질 예측 결과의 신뢰도가 낮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황구지천 국가하천 약 7.8 km 본류구간인 세마교와 수직교사이에서의 탈산소계수를 평가하여 기존 수질모델링에서 적용한 탈산소계수와 비교하고자 하였다. 관측자료를 통하여 황구지천 세마교 지점(HGJ2)부터 수직교 지점(HGJ3)구간에서 풍수 기간일 경우 탈산소계수는 $0.078day^{-1}{\sim}0.748day^{-1}$, 갈수 기간일 경우는 $0.053day^{-1}{\sim}0.505day^{-1}$ 등으로 산정되었다. 2002년에 수행된 황구지천 수질 예측모델링에서 적용한 탈산소계수는 $0.02day^{-1}{\sim}3.4day^{-1}$ 범위의 값을 적용하였으며, 2014년에는 $0.043day^{-1}$을 적용하였다. 따라서 2002년에는 실제 관측된 수질보다 긍정적으로 예측되었으나, 2014년에는 실제 관측 수질보다 부정적으로 예측되었다. 이는 여러 요인이 있겠지만 적정한 탈산소계수의 적용도 상당한 요인이 작용한 것으로 보이며, 향후 수질예측모델링에서 관측자료가 있는 경우에는 관측자료에 의한 탈산소계수의 결정을 통하여 수행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황구지천 수직교 지점에서의 최적 단위도 및 침투율의 결정 (Determination of Optimal Unit Hydrographs and Infiltration Rate Functions at the site of the Su-Jik Bridge in the HwangGuJichen River)

  • 안태진;조병돈;류희정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57-66
    • /
    • 2005
  • 본 연구는 최적화모형을 이용하여 관측된 단일 강우-유출 사상으로부터 최적단위도와 침투율 공식의 매개변수를 결정하였다. 단일 강우-유출사상으로부터 절대오차누계를 최소로 하는 선형계획모형을 정립하고, 황구지천 수직교 지점에서의 최적침투율과 단위도를 결정하였다. 침투율 공식의 섭동 단계에서는 시산법을 적용하여 Kostiakov, Philip, Horton 및 Green-Ampt 공식의 매개변수를 결정하였다. ${\Phi}$지표법에 의한 단위도 종거의 값은 유일하게 결정되지만 침투율 공식의 매개변수에 따라 단위도의 종거는 변한다. 본 연구에서는 관측된 단일 강우-유출사상에 관하여 제안된 모형을 적용하였으며 종래의 방법에 의한 오차보다 작은 단위도를 구할 수 있었다.

  • PDF

경기지방(京畿地方)의 농업공해(農業公害)에 관(關)한 조사연구(調査硏究) 제1보(第1報) 황구지천유역(黃口池川流域)의 오수류입답(汚水流入畓)에서 질소수준(窒素水準)과 토양개량제(土壤改良劑)가 수도(水稻)의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Agricultural Pollutions in Gyeong Gi Area 1. Effect of Nitrogen Level and Soil Improvements on Growth and Yield of Rice in the Paddy Field Irrigated with Polluted Water of Hwangguji River)

  • 최영진;조광동;박창규;박준규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16-122
    • /
    • 1982
  • 1981년(年) 황구지천(黃口池川)의 수질(水質)을 조사(調査)하고 아울러 황구지천 유역(黃口池川 流域)의 오수 유입답(汚水 流入畓)에서 주구(主區)로 실소수준(室素水準)을 달리하고 세구(細區)로 토양개량제(土壤改良劑)의 종류(種類)를 달리하여 수양반응(收量反應)을 검토(檢討)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황구지천(黃口池川)의 수질(水質)은 중류(中流)인 안영리(安寧里)에서 파종기(播種期)에 COD 54ppm, $NH_4-N$는 6.5ppm이고 이앙기(移秧期)는 COD 52ppm, $NH_4-N$ 5.2ppm으로 기준치(基準値)를 상회(上廻)하였다. 수질오염(水質汚染)은 주(主)로 유기성 폐기물(有機性 廢棄物)의 유입(流入)에 의(依)한 것으로 생각된다. 2) 질소적량(窒素適量)은 NPK 3요소(要素)인 표준구(標準區) 7.2㎏/10a에 비(比)하여 가리배양(加里倍量)+규회석(珪灰石)+석회(石灰)+생고(生藁) 500 ㎏/10a인 종합개량구(綜合改良區)는 7.3㎏/10a, 석회구(石灰區)는 7.5㎏/10a, 규회석구(珪灰石區)에서는 8.2㎏/10a로 증가 경향(增加 傾向)이며 황구지천변(黃口池川邊)에서 수도재배시 질소량(水稻栽培時 窒素量)은 $7{\sim}8Kg/10a$가 적양(適量)이었다. 3) 질소적정 사용시(室素適正 施用時)의 수량(收量)은 NPK 3요소(要素)인 표준구(標準區) 569㎏/10a에 비(比)하여 3요소(要素)+석회(石灰)+규회석(珪灰石)+가리배양(加里倍量)+생고(生藁) 500㎏/10a인 종합개량구(綜合改良區) 8%, 석회구(石灰區) 5%, 가리배양구(加里倍量區)에서 4% 증수(增收)하였다.

  • PDF

황구지천 주변 지역 지하수 양수 영향 분석 (Analysis of stream depletion from groundwater pumping near Hwangguji stream)

  • 이정우;김남원;정일문;홍성훈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7년도 학술발표회
    • /
    • pp.385-385
    • /
    • 2017
  • 지하수 관정의 위치에 따라 대수층과 인근 하천의 수리특성이 다양하여 하천수량에 미치는 지하수 양수의 영향이 공간적으로 다르게 발생하며, 그 영향을 지도(map)상에 표출한 것을 가칭 지하수 양수 영향구역도(국토교통부, 2014)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황구지천 하류유역에 대해 하천주변 천부대수층 지하수 양수에 따른 하천수 감소량을 Hunt(1999, 2009)의 해석해로 산정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지하수 양수 영향구역도를 작성하였다. 지하수 양수 영향구역도 작성에 필요한 입력자료를 구축하기 위해서 현장에서 직접 양수시험을 수행하여 대수층 수리상수를 산정하고 기존 문헌값을 함께 이용하여 수리상수의 공간분포도를 작성하였다. 또한 양수시험공에 인접한 하천의 바닥에 피조미터 및 시피지미터를 설치하여 하상수리전도도를 측정하였다. 하천주변 및 하상의 수리상수값을 Hunt 해석해에 대입하여 지하수 양수량 대비 하천수 감소율을 30m 크기의 셀 단위로 산정하고 이를 구글어스상에 공간적으로 표출하였다. 하천구역에서 300m 이내 지역에서 지하수를 양수할 경우에는 양수기간 5년동안 평균적으로 양수량의 70%를 초과하는 하천수량의 감소가 일어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하수 양수 영향구역도를 활용하면 지하수 개발 이용자 및 허가 관련 행정기관이 지하수 관정의 공간적인 위치에 따른 하천수 감소 정도를 정량적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다.

  • PDF

수원 분지의 지형 환경 (Geomorphological Environment of Suwon Basin)

  • 기근도;이상환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300-312
    • /
    • 2004
  • 수원 분지의 지형 환경은 북부와 동부 편마암 지대에 발달한 배후산지(광교산) 및 서부와 남부의 화강암 산지(칠보산 등), 그리고 화강암이 차별 침식된 분지로 구성되어 있다. 분지 내부는 황구지천, 서호천 수원천, 원천리천 등을 끼고 발달한 범람원과 이 하천들 간의 분수계를 이루는 저기복 구릉 등이 복합되어 있으며, 이 하천들이 합류하는 곳에 이르면 하천 주변이 비교적 넓은 범람원을 이루고 있다. 황구지천, 서호천, 수원천, 원천리천 둥이 화강암 풍화층을 차별 침식하여 만든 낮은 구릉대와 범람원은 수원의 시가지가 화산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했다면, 편마암 산지는 물공급 및 공기정화 둥의 생태댐 효과가 탁월한 배후지 역할을 하고 있다.

  • PDF

본류와 폐천의 식물상과 식생분포의 비교 (Comparisons of Flora and Vegetation Distribution in Main and Abandoned Channels)

  • 조형진;홍일;여홍구;조강현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65-73
    • /
    • 2009
  • 황구지천과 청미천의 본류와 폐천에서 하도형태, 식물상 및 식생분포 특성을 분석하였다. 항공사진과 옛 지형도를 분석한 결과, 폐천은 제방축조에 의해 사행하도가 단절되어 형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식물종수와 귀화식물 백분율은 본류가 폐천에 비해 높았다. 두 폐천에서 수생, 습생식물 종수의 백분율은 각각의 본류에서 보다 높았다. 주성분분석결과 폐천과 본류 사이의 식물상 구조는 황구지천이 청미천에 비해 비교적 유사하게 나타났다. 두 폐천에서 수생, 습생 식물 분포 면적비율은 각각의 본류에 비해 높았다. 두 폐천에서 우점식물은 정수식물인 줄이었다. 따라서 폐천의 식물상과 식생분포는 습생, 정수 생태계의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경관수준에서 다양성을 제공하였다.

  • PDF

오염원 공간분석 및 오염부하지속곡선을 통한 맞춤형 수질오염총량제 추진방안 연구 (Study on the Application of Spatial-analysis of Pollutants and Load Duration Curve for Efficient Implementation of TMDLs system)

  • 박배경;류지철;나은혜;서지연;김용석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9권12호
    • /
    • pp.655-663
    • /
    • 2017
  • 현재 수질오염총량제(이하 총량제)에서는 단위유역 말단의 목표수질만 만족할 수 있는 조건에서의 유역 관리를 진행해 왔으며 이로 인해 우선관리가 필요한 지류에 대한 집중적 관리와 오염원 공간분포 특성을 고려한 삭감대책을 마련하는데 제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장기적으로 조사된 유량 및 수질자료를 이용한 오염부하지속곡선 기법과 오염원 및 오염부하량 공간분포 특성 분석 방법을 현행 총량제 이행평가 방법으로 적용하였다. 적용유역은 기존 총량제가 시행되고 있는 진위천 수계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방법 적용 결과, 진위천 수계에서는 황구지천 지류가 집중 관리 되어야 하며 진위천 지류는 우선관리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황구지천 중류 구간에서 추가적으로 비점삭감계획이 필요하며, 하류 구간에서는 축산에 대한 저감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분석됐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새로운 방법은 향후 총량제에서 유역 전체의 건강성을 높이는데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진위천 단위유역의 유량-수질 특성 및 하천 등급화 평가 (Evaluation of Discharge-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and River Grade Classification of Jinwi River Unit Basin)

  • 조용철;최진우;노창완;권필상;김상훈;유순주
    • 환경영향평가
    • /
    • 제27권6호
    • /
    • pp.704-716
    • /
    • 2018
  • 본 연구는 진위천 단위유역의 수질오염총량제도에 따른 유량 및 수질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고 목표 수질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질 개선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총량 지점을 선정하여 관리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진위천 단위유역의 2014년부터 2016년까지 14개 총량 지점을 대상으로 유량 및 수질 특성, 통계 분석, 유달부하량 및 유달부하 밀도 산정, 하천 등급화 등을 평가하였다. 진위천 단위유역의 유량은 평균 $22.411m^3/s$이고 황구지천의 유량이 32.8%를 차지하였으며 지류 하천에 따른 공간적으로 수질특성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주성분 분석 결과 오산천과 황구지천은 유기오염 간접지표 및 계절적 요인, 성은천은 유기오염 간접지표 요인, 관리천은 계절적 요인이 수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유달부하량 산정 결과 HG-3 지점에서 6,470.4 BOD kg/day, 6,846.7 TN kg/day로 높게 나타났으며 유달부하 밀도는 HG-4 지점에서 $220.9BOD\;kg/day/km^2$, $22.4TP\;kg/day/km^2$로 높게 나타났다. 하천 등급화 방법을 이용한 진위천 단위유역의 수질 개선이 우선으로 필요한 총량 지점은 HG-3 지점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