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활성 기계적 분쇄법

Search Result 3, Processing Time 0.017 seconds

Synthesis of nano-size titanium hydride powder at room temperature with RMG (상온에서 RMG법에 의한 타이타늄 수소화분말의 제조)

  • Choi, Seung-Jun;Choi, Jeon;Cho, Sung-Wook;Park, Choon-Nyeo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 /
    • v.14 no.4
    • /
    • pp.313-320
    • /
    • 2003
  • 볼밀링법을 이용하여 타이타늄 스펀지와 칩 또는 스크랩으로부터 상온애서 직접 타이타늄 수소와 분말을 재조하는 실험을 행하였다. 실험결과 진공중에서 볼링을 행한 타이타늄 스펀지와 칩의 경우 24시간외 후 합금분말의 크기는 약 20 um 정도의 크기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수소화 분위기에서 볼밀링을 행한 경우에 12시간 후 수소화분말의 입도는 0.1-0.2 um로 극히 미세한 합금 분말이 제조되었다. 수소분위기에서의 볼밀링에 의한 타이타늄 분말제조는 기존의 방법에 비해 열을 가하지 않고 타이타늄 수소화분말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과 나노크기의 미세한 수소화 분말을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Development of Internal Reforming Catalysts and Catalysts Forming Method using Homogeneous Precipitation (균일용액침전법을 이용한 내부개질촉매의 개발과 성형방법에 대한 연구)

  • Jung, Youshick;Rhee, Youngwoo;Koo, Keeyoung;Jung, Unho;Youn, Wanglai;seo, Yongseog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6a
    • /
    • pp.223.2-223.2
    • /
    • 2010
  • 용융탄산염 연료전지(MCFC)는 $650^{\circ}C$에서 작동하는 고온형 연료전지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천연가스 등을 개질하여 생산된 수소를 바로 전기로 생산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열효율이 높으며, 현재 대체 발전시스템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MCFC는 개질방식에 따라 내부개질 방식과 외부개질 방식이 있다. 내부개질 방식은 수소를 생산하는 개질기가 스택내부에 장착된 형식으로 천연가스를 스택내부에서 개질하여 바로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이다. 이 내부개질반응에 사용되는 촉매로는 알루미나에 담지된 니켈(Ni) 계열촉매이 주로 쓰이고 있다. 또한 내부개질촉매의 형태는 작은 원주형의 촉매형태로 성형되어 사용된다. 이 성형된 촉매의 크기가 바로 내부개질 스택의 크기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그래서 촉매의 크기는 되도록이면 작게 성형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촉매의 크기가 너무 작으면 촉매를 성형하는데 큰 어려움이 생기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니켈 촉매를 공침법이 아닌 균일용액침전법을 이용하여 제조하였으며, 이 촉매를 이용하여 지름이 약 2 mm 이하로 촉매를 압출성형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먼저 요소(urea)를 이용한 균일용액침전법으로 촉매를 제조하였다. 최적의 촉매 합성조건을 살펴보기 위해서, 반응 온도를 80, 85, 90, 95, $100^{\circ}C$로 변화 시키면서 제조된 촉매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촉매의 적절한 니켈 양을 알아보기 위해서 니켈의 양을 30, 40, 50, 60, 70 wt%로 변화 시켰으며, 조촉매로 사용되는 MgO 양을 5, 10, 15, 20 wt%로 변화 시켜서 제조된 촉매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물성을 비교하기 위해서, X-선 회절분석(XRD) 및 TPR, 물리화학흡착을 하였다. 그 결과 침전반응온도가 $80^{\circ}C$에서 촉매가 가장 좋은 물성을 보였으며, 우수한 개질성능을 보였다. 그리고 촉매 활성물질인 니켈의 함량은 50 wt% 정도가 가장 적절한 함량이었으며, MgO의 함량이 15 wt%일 때 가장 우수한 물성과 개질 성능을 보여주었다. 이 촉매들은 공침법으로 제조된 상용촉매와 비교하였을 때, 보다 우수한 물성과 개질성능 보였다. 그래서 이 촉매를 균일침전법을 이용하여 대량으로 제조한 다음 압출성형 방법을 이용하여 촉매를 원주형으로 제조하였다. 먼저 제조된 촉매는 별도의 분쇄작업(볼밀 혹은 제트밀)을 거치지 않아도 입자사이즈가 약 $4{\mu}m$ 수준이 나오도록 촉매 제조조건을 조절 하였다. 그리고 소량의 Methyl cellulose(MC) 바이더와 물만 사용하여 촉매를 혼합한 다음 스크류 압출기를 이용하여 촉매를 성형하였다. 이 촉매는 지름이 약 2 mm 이하로 제조할 수 있었으며, 기계적 강도는 타정기로 성형한 상용촉매보다 우수하였다. 그리고 촉매 성능 또한 상용촉매와 비교하였을 때, 우수한 성능 보였다. MCFC용 내부개질 촉매로 균일용액침전법을 사용한 촉매가 적합하다고 판단되며, 압출성형에도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 PDF

Antimicrobial Activity of Salvia miltiorrhiza Bunge Extract and Its Effects on Quality Characteristics in Sulgidduk (단삼 추출물의 향균 활성 및 첨가 설기떡의 품질 특성)

  • Choi, Hae-Yeon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 /
    • v.22 no.3
    • /
    • pp.321-331
    • /
    • 2009
  • In this study, Salvia miltiorrhiza Bunge(Danshen) powder was extracted with ethanol, and its antimicrobial activity was investigated. The ethanol extract of the Danshen ha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Bacillus subtilis, Escherichia coli, and Staphylococcus aureus. The inhibition zones of the Danshen extract(3 mg/disc) against B. subtilis, E. coli and S. aureus were 13, 12 and 8.5 mm, respectively. To test the food preservation effect of Danshen and determine the optimal ratio of the Danshen extract in a formulation, Sulgidduk samples were prepared with substitutions of 0, 0.25, 0.5, 0.75 and 1% Danshen extract, and then their quality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over 4 days of storage. According to the results, total cell counts showed a decreasing trend with an increasing amount of added Danshen extract. Moisture conten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Sulgidduk samples. As the content of Danshen extract increased, the L-values of samples decreased and the a- and b- values increased. For the textural characteristics, the hardness, gumminess, and chewiness of the Sulgidduk samples decreased as the amount of Danshen extract increased; however, they increased with the progression of storage time. In the sensory evaluation, the control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for color, flavor and after-taste as compared to the Danshen extract-added groups. With increasing Danshen extract contents, flavor and overall acceptability decreased, while Danshen flavor, bitterness and off-flavor increased. Chewines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samples. In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substituting 0.5% Danshen extract in Sulgidduk is optimal for quality and provides a product with reasonably high overall accept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