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환자조사

Search Result 5,626,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The Effect of Low Level Laser Therapy on Pressure Pain Threshold in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 A Double-blind Study (저출력레이저 조사가 측두하악장애환자의 압력통각역치에 미치는 영향)

  • Cho, Kyung-Ah;Park, June-Sang;Ko, Myung-Yun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24 no.3
    • /
    • pp.281-300
    • /
    • 1999
  • 측두하악장애환자와 정상대조군의 두경부 근육에 있어서 실제 또는 위약 치료에 따른 저출력 레이저의 효과와 측두하악장애환자에서 저출력 레이저의 효과적인 치료기간을 평가하기 위하여, 측두하악장애를 가진 부산대학교 치과대학생 19명과 측두하악장애의 병력이나 증상이 없는 부산대학교 치과대학생 20명을 대상으로 치료전, 치료 2주 및 치료 4주에 구외촉진이 가능한 32 근골격 촉진점의 압력통각역치와 각각의 동통정도와 두개하악지수를 측정하여 다음과 갈은 결론을 얻었다, 1. 치료전 환자군의 압력통각역치는 정상대조군 압력통각역치보다 낮았다(p<0.05), 2. 환자군의 압력통각역치는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p<0.05) 레이저 조사 환자군의 증가된 압력통각역치는 레이저 모의조사-환자군의 증가된 압력통각역치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3. 대조군에서는 레이저 조사나 모의 조사에 의해 압력통각역치와 변화가 없었다. 4. 레이저 조사-환자군의 압력통각역치가 안면근육에서는 치료2주부터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경부근육에서는 치료4주부터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5. 레이저 조사-환자군에서 동통의 정도와 두개하악지수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 PDF

National hospital discharge survey for the hospitals with fewer than 100 beds: A pilot project and evaluation (100병상미만 의료기관대상 퇴원환자조사 시범운영 및 평가)

  • Kim, Kwang-Hwa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05b
    • /
    • pp.579-581
    • /
    • 2010
  • 2007년1월1일부터 12월 31일까지 퇴원환자조사에서 제외되었던, 100병상미만 의료기관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퇴원환자조사를 위해 조사 기반자료인 의무기록을 토대로 손상퇴원환자의 일반적 특성, 진료비지불방법, 질병 및 수술 양상과 의료이용 실태를 파악하였다. 2007년 한 해동안 전국 100병상미만의 급성기 의료기관을 퇴원한 추정 환자수는 총 4,697,095명으로 이는 전체 인구의 9.7%에 해당 한다. 인구 10만명당 퇴원율은 9,693명이며 평균재원일수는 9.8일이었다. 퇴원후 귀가한 퇴원환자수는 전체 4,538,861명이었고 이중 남성은 1,784,041명, 여성은 2,754,821명이었다. 타병원으로 이송된 환자는 119,378명이었으며 의뢰병원으로 회송된 환자도 8,970명 이었다.

  • PDF

Analysis of mammography for patient with Breast Cancer (유방암 환자들의 유방영상검사 분석)

  • Mo, eun-hee;Lim, cheong-hwan;Lee, sa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218-220
    • /
    • 2010
  • 85명의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유방영상을 검토하고 유방암 환자들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 본 논문에서 유방암 환자들의 평균나이는 51.9세이었고, 유방암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부위는 상외측(43.5%)인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유방암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연령은 40대 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유방암 환자들의 유방조직밀도는 69.4%가 dense breast이었고, 30.6%가 fatty breast인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 두 그룹의 평균연령은 dense breast를 가진 그룹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유방영상의 위음성률은 27.1%, 민감도는 72.9%로 조사되었고, dense breast를 가진 환자들의 유방영상 위음성률은 32.2%, 민감도는 67.8%로 조사되었다.

  • PDF

Therapeutic Effect of Low Level Laser Therapy on the Trigger Points (발통점에 대한 저출력 레이저의 치료효과)

  • Cho, Soo-Hyun;Park, June-Sang;Ko, Myung-Yun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25 no.3
    • /
    • pp.331-343
    • /
    • 2000
  • 구강안면통증환자에서 저출력 레이저의 임상 효과는 많은 임상가에 의해 연구되었으나 그 결과에 대해서는 아직도 논란중이다. 이에 본 연구는 두 가지 방법으로 시행하여 구강안면부위의 발통점에 대한 저출력 레이저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첫 번째 방법은 저작근 중 교근, 측두근과 경부근육 중 승모근에 발통점을 가진 부산대학교 치과대학생 69명중 37명은 레이저 조사군, 32명은 레이저 모의 조사군으로 무작위로 분류하여 저출력 레이저의 치료효과를 평가하였다. 둘째 방법으로 동일 근육에 발통점이 있는 19명의 환자와 발통점이 전혀 없는 20명의 정상인을 무작위로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으로 분류하고, 각 군을 다시 레이저 조사군과 모의 조사군으로 나누어 실제 저출력 레이저의 치료효과와 위약효과를 평가하였다. 50mW, 820nm의 GaAlAs 반도체 레이저를 이용하여 4주 동안 첫 주는 2회, 이후 3주 동안 각 1회씩 총 5회를 조사하였고, 레이저 모의 조사군에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시행하였다. 치료반응은 전자통각계를 이용하여 압력통각역치를 치료 전, 치료 2주 및 4주에 측정하여 이를 비교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레이저 조사군의 각 근육에서 측정한 압력통각역치는 치료 2주 후부터 유의하게 높아졌으며(P<0.05), 모의 조사군과의 차이는 이후 점점 더 증가하였다(P<0.001). 모의 조사군에서는 압력통각역치의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2. 레이저 조사-환자군에서 측정한 압력통각역치는 레이저 모의조사-환자군의 압력통각역치보다 그 증가폭이 더 크게 나타났다(P<0.05). 정상 대조군은 레이저 조사와 관계없이 압력통각역치에 유의성이 없었다. 3. 약간의 위약 반응이 레이저 모의조사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에서 관찰되나, 레이저 조사 환자군의 실제 레이저 치료효과가 위약 반응보다 우세하였다.

  • PDF

감염생성자수(Reproductive number)에 의한 홍역 환자수 추계

  • 신민웅;이진희;이상은;고운영;양병국;이호동;이종구;배근량;이주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urvey Research Conference
    • /
    • 2001.11a
    • /
    • pp.67-76
    • /
    • 2001
  • 최근 급격하게 늘어난 홍역환자에 대한 방역 대책으로 예방 접종의 범위를 어디까지 해야만 하며 몇 차례까지 해야만 하는가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해 SRS로 추출된 초ㆍ충ㆍ고 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홍역환자를 줄이기 위해서는 홍역예방접종의 효과가 어느 정도인지를 알아야만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홍역환자 수 추계를 위한 기초감염자 (R$_{0}$)가 2차 감염자 (R$_{1}$)를 얼마나 만들어 내는가를 알 수 있는 R(effective reproductive number)출 조사하여 그 값의 변화를 봄으로서 홍역환자의 증가 감소에 대한 예측과 그에 대한 환자 수를 추정하고 피에 대한 비용편익을 조사하였다.

  • PDF

Developing a Cancer Nursing Information System;Determining Core Nursing Diagnoses for the Six Most Common Cancers in Korea (암 간호정보체계 개발;한국 6대 암 환자의 핵심간호진단)

  • Zierler, Brenda K.;Lee, Byoung-Sook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 /
    • v.13 no.2
    • /
    • pp.254-262
    • /
    • 2007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암 간호정보체계에 사용될 한국 6대 암 환자의 핵심간호진단을 결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핵심간호진단 은 6대 암, 각 환자 군의 간호를 위해 가장 자주 혹은 많이 사용되는 일정의 간호진단 세트로 정의된다. 본 연구에서 6대 암 환자의 핵심간호진단을 결정하고자 하는 가장 큰 목적은 간호진단 과정에서의 편리성을 높임으로써 앞으로 개발될 암 간호정보체계의 유용성과 사용가능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핵심간호진단은 조사연구를 통해 결정하였으며, 결정된 진단들은 문헌고찰과 환자기록 분석을 통해 그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환자기록 분석은 특히 조사연구 결과의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조사연구에 사용된 도구 및 환자기록에 나타난 간호진단 혹은 간호문제의 교차분석을 위해서는 NANDA Taxonomy II에 포함된 간호진단이 사용되었다. 219명의 경력간호사가 조사연구에 참여하였으며, 72개의 환자기록이 분석되었다. 핵심간호진단은 암 간호 정보체계의 언어개발을 위해 구성된 전문가 집단에 의해 조사연구 참여자의 20% 이상이 선택한 NANDA 간호진단으로 정하였다. 연구결과: 16개 ${\sim}$ 20개의 NANDA 간호진단이 한국 6대 암, 각 환자군의 핵심간호진단으로 선정되었다. 핵심간호진단 중 '급성통증', '만성통증', '불안', '감염가능성', '피로' 등이 6대 암 환자 군에 모두 포함되었다. 결론: 핵심간호진단의 타당도는 환자기록 분석과 문헌고찰을 통해 확인되었다. 이들 핵심진단은 암 간호정보체계에 사용되어 간호진단 적용을 촉진함으로써 암 환자 간호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Comparison of Professional Self-Concepts and Care Perceptions between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Trainees and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Basics (2급응급구조사 교육생과 2급응급구조사의 전문직 자아개념 및 응급환자 돌봄 지각의 비교)

  • Lee, Chang-Hee;Jung, Jun-H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3 no.12
    • /
    • pp.5826-5838
    • /
    • 2012
  • This study is explorative survey carried out to examine differences in professional self-concepts and emergency patient care perceptions between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trainees (namely, EMT-basic trainees or trainees) and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basic (namely, EMT-basic or technicians). The subjects are some trainees and technicians. The trainees included 95 fire fighters who had enrolled educational programs for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basic at K and A Fire Academy while the technicians were 78 fire fighter gathering from all regions of the country who had enrolled a short expertise program for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basic at S University in C City.

Characteristics of the Oropharyngeal Swallowing Impairment in Stroke Patient using the Modified Barium Swallowing Impairment Profile (MBSImP에 따른 뇌졸중 환자의 삼킴 장애 양상 분석)

  • Im, Ikjae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0 no.7
    • /
    • pp.36-44
    • /
    • 2019
  • Swallowing impairment is a frequent complication following stroke. The characteristics of swallowing impairment with stork patient can facilitate identification of individuals at risk of dysphagia would be of great helpful. The present study examined oropharyngeal swallowing impairment with subacute stroke patients using the Modified Barium Swallowing Impairment Profile(MBSImP). The 49 consecutive patients with the supratentorial stroke met inclusion criteria for the present study. A retrospective review was performed of patients who underwent the videofluoroscopic swallowing study(VFSS). Of Stroke patients, 95.9% exhibited abnormal function of lip closure. 98% and 57.1 % shown abnormal tongue function and lingual motion, respectively. Oral residue was present in 51% and delayed pharyngeal response was present in 89.9%. In addition, abnormal laryngeal and hyoid excursion was seen in 42.9% and 87.8%, respectively. Abnormal function of soft palate elevation was present in 18.4% and abnormal epiglottic movement was seen in 4.1%. 30.6% of 30.6% of these patients exhibited abnormal laryngeal closure. All of the stroke patients(100%) in this study exhibited abnormal pharyngeal stripping wave and pharyngoesophageal segment opening. Abnormal tongue base retraction and oral reside were present 91.8%, respectively. The results suggest that stroke patient is more likely to exhibit reduced swallowing functions including lip closure, tongue control, initiation of pharyngeal swallow, anterior hyoid motion, tongue base retraction, pharyngeal residue and pharyngoesophageal contraction. Therefore, these data could provide valid and precise information regarding physiological evidence to delineate symptoms of dysphagia in this stroke cohort. Future studies should explore the bolus effect in the swallowing impairment.

A Study on the Awareness of Dental Patients about Dental Hygienists (치과내원환자의 치과위생사에 대한 인식도 조사 연구)

  • Park, Sung-Suk;Choo, Pyung-Ku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 /
    • v.10 no.3
    • /
    • pp.191-197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wareness of dental patients using dental institutions about dental hygienists in an effort to help educate dental hygiene students to have the right image of dental hygienists. And it's also meant to provide education for dental hygienists to develop their own capabilities, attitude and values to render quality medical services to patient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e patients who visited dental clinics and hospitals to receive treatment. A self- administered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5 to April 13, 2010, in consideration of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The answer sheets from 204 respondents were gathered, and 197 answer sheets were analyzed except seven incomplete ones. A factor analysis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and independent-samples t-test and one-way ANOVA were utilized to get statistical data on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 SPSS 12.0 program was employed to analyze all the collected data. And it's found that the largest number of the patients thought that the main duty of dental hygienists was to give treatment to patients, and they took a favorable view of their services. They weren't well aware of the process of nurturing dental hygienists and their curriculum, and they put a relatively strong confidence in their treatment and had relatively favorable experiences with them.

종합병원 소아환자복의 사용 실태 및 문제점에 대한 연구

  • 서동애;천종숙;김인숙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6.10a
    • /
    • pp.97-102
    • /
    • 1996
  • 본 연구는 서울의 20개 종합병원과 220명의 소아환자를 대상으로 소아 환자용 환자복의 사 9용 실태 및 문제점을 파악하여소아환자가 보편적으로 착용할 수 있는 소아환자복의 설계를 위한 기초 자료를 수집하고자 실시되었다. 조사결과 종합병원에서 제공하는 소아환자복은 대부분 성인용 환자복과 유사한 형태와 색상을 제공하였다. 소아환자복의 착용 여부 조사결과 환자복은 상의가 하의보다 착용율이 높았으며, 12세 이하에서 연령이 높아질수록 착용율이 높 게나타났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환자복에 대하여, 치수 불만족과 착탈의 불편이 가장 큰 문 제점으로 지적되었다. 소아환자복에서 중요시되어야 할 점으로 치수, 청결성, 보온성, 촉감, 디자인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소아환자들의 신체 성장에 따른 체형의 다양 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환자복의 치수 및 기능성이 향상된 형태의 소아환자복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아환자들은 성인용 환자복과는 차별화된 형태및 직물의 특성을 갖춘 새로운 디 자인의 개선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