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환자안전 문화

검색결과 134건 처리시간 0.035초

요양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 인식, 표준주의 지식 및 수행도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Knowledge and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 among Long-Term Care Hospitals Nurses)

  • 변상희;강다해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9호
    • /
    • pp.231-240
    • /
    • 2019
  •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 인식, 표준주의 지식 및 수행도와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요양병원 간호사 134명을 대상으로 2018년 1월 2일부터 6월 4일까지 자료수집이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 분석은 SPSS/WIN 21.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으로 하였다. 환자안전문화 인식은 표준주의 지식(r=.192, p=.027), 표준주의 수행도(r=.211, p=.014)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양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 정착과 표준주의 수행 증진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교육을 통해 표준주의 지식을 함양하고 긍정적인 환자안전문화를 조성할 수 있도록 하여 그 속에서 환자안전과 의료관련감염 관리의 중요성을 스스로 인식하고 실천하도록 해야 갈 것이다.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Perceived Patient Safety Culture on Safety Care Activities in General Hospital Nurse's)

  • 손유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509-517
    • /
    • 2016
  •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변인을 규명하기 위함이다. D시와 G시에 위치한 종합병원의 간호사 17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는2015년 6월 20일부터 7월 30일까지 수집하였으며, Kim 등이 수정 보완 한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Lee가 개발한 안전간호활동을 연구도구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와 단계적 중다회귀분석하였다.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은 환자안전간호활동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407, p<.001) 본 연구 결과 대상자의 병원 근무 환경은 안전간호활동에 43.3%의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병원간호사의 안전간호활동에 병원근무환경이 가장 중요한 변인으로 볼수 있다. 안전간호의 질 향상을 위하여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을 높일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과 안전간호 지침이 필요하다.

종합병원과 요양병원 간호사의 환자 안전 문화 인식에 관한 비교 연구 (Comparative Research of Patient Safety Culture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and General Hospital Nurses)

  • 원효진;서은주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11호
    • /
    • pp.149-155
    • /
    • 2022
  • 본 연구는 종합병원과 요양병원 간호사의 환자 안전 문화 인식의 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3개 시에 위치한 종합병원 2곳과 요양병원 4곳에서 6개월 이상 근무 중인 일반간호사 150명이었으며, 자료는 2021년 10월부터 12월까지 수집되었다. 환자 안전 문화는 이순교가 개발한 환자 안전 문화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는 교차분석, 이원배치 분산분석과 t-test를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간호사의 연령(F=44.17, p= .000), 총 임상 경력(F=62.86, p=.000), 현 근무부서 임상 경력(F=26.27, p=.000)이 많을수록 환자 안전 문화 인식이 높았으며, 요양병원 간호사의 환자 안전 문화 인식 하위영역 중 리더십(t=2.07, p=.040)과 환자 안전 우선순위(t=2.18, p=.031) 영역이 종합병원 간호사에 비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병원 및 요양병원에서 환자 안전 문화 수준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부산광역시 간호사의 환자안전에 관한 인식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of Pusan metropolitan city)

  • 남문희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200-203
    • /
    • 2009
  • 이 연구는 간호사의 환자안전 인식에 대한 조사이다. 이 조사는 2차, 3차의료기관 886명 간호사를 조사했다. 그것은 미국 AHRQ가 개발한 Hospital Survey on Patient Safety Culture를 김 등이 번역한 것을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환자안전문화에 관한 인식은 3.46(${\pm}$0.37) 로 보통 이상이었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2년미만인 간호사와 주 45시간미만 근무자가 환자안전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3) 환자안전활동수준은 3.79(${\pm}$0.56)이었다. 결론적으로 첫째, 병원간호사의 인력충원, 간호등급 상향조정, 적정근무시간 이 필요하다. 둘째, 자발적으로 보고 할 수 있는 제도가 필요하다.

  • PDF

환자안전에 대한 의료 직종에 따른 인식과 태도 (Medicine perception of and attitudes towards patient safety)

  • 함승우;김은엽;박지원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495-497
    • /
    • 2009
  • 본 첨단기기의 발전에 따라 의료분야에서도 사람들이 인지하고 있는 것보다 많은 위험요인이 존재한다고 알려지고 있다. 미국의 경우 병원환경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정부와 의료계 모두 부단한 노력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4개 병원 350명의 의료인을 대상으로 환자안전에 대한 태도와 인식을 구조화된 설문을 통하여 진행하였다. 직종은 의사, 간호사, 약사, 의료기사로 구분하였다. 환자안전 개선을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는 여부에 대하여 의사는 보통 또는 그렇지 않다고 39.5%가 응답한 반면, 보통이라고 간호사는 58.6%, 약사는 53.3%, 의료기사는 78.3%로 응답하였다(p=0.029). 환자안전 실수가 긍정적인 변화를 초래한다는 응답에 의사는 '매우 그렇지 않다'고 40.5%, 간호사는 '그렇지 않다'고 45.4%, 약사는 '보통'고 53.8%, 의료기사는 '그렇지 않다'고 54.5%가 응답해서 전반적으로 그렇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6). 병원내 환자안전에 대한 병원내 조직 문화를 살펴보고, 의료과오에 대한 논의와 의사소통의 현황을 파악하고, 의료인간의 환자안전에 대한 인식을 고취하여 보다 나은 환자안전 문화를 만들어야 할 것이라 생각된다.

  • PDF

의료기관인증제 도입에 따른 환자안전과 의료의 질이 병원경영활동에 미치는 복합영향 (Complex impact of Patient Safety and Medical Quality on Hospital Management Activities due to Healthcare Accreditation Adoption)

  • 유진영;이종화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7호
    • /
    • pp.283-292
    • /
    • 2015
  • 본 연구는 의료기관인증제도 도입에 따른 환자안전과 의료서비스의 질이 병원경영활동에 미치는 복합영향을 확인하고 조직문화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4년 6월말까지 의료기관인증을 획득한 대구 경북지역에 위치하는 300병상 미만과 300병상 이상, 6개 의료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2014년 9월 22일부터 4주간 설문조사 하였다. 해당 병원에서 1년 이상 근무한 377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300병상 미만 중소병원과 300병상 이상 병원 및 종합병원 모두, 환자안전과 의료의 질, 조직문화와 병원경영활동은 변수 간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안전과 의료의 질, 병원경영활동 사이에 조직문화가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과효과가 높았다. 따라서 의료기관인증제도 도입에 따른 환자안전과 의료의 질 향상 활동은 병원경영활동을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다 여겨진다.

의료기관 인증제도가 요양병원의 조직문화, 직무만족, 경영성과 및 환자안전에 미치는 영향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Hospital Accreditation Program to the Organizational Culture, Job Satisfaction, Financial Performances and Patient Safety at Geriatric Hospital : About Busan Metrocity)

  • 신문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0호
    • /
    • pp.455-466
    • /
    • 2014
  • 본 연구는 의료기관 인증평가 후 요양병원 직원들의 조직문화, 직무만족, 경영성과 및 환자안전에 대한 인식 및 태도의 변화를 알아보고 의료기관 인증평가의 효과를 확인하고 이 제도를 통한 요양병원의 질 향상을 도모하고자 시행하였다. 이를 위해 요양병원의 의료기관 인증평가를 받은 부산의 8곳의 요양병원 직원을 대상으로 2014년 4월 1일에서 2014년 7월 20일까지 설문조사를 하여 283부의 설문지를 연구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인증평가 후 요양병원 직원들의 조직문화, 직무만족, 경영성과 및 환자안전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변화가 있었고, 둘째, 조직문화, 직업만족 및 경영성과 및 환자안전 등 변수들 간의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셋째, 조직문화, 직업만족 및 경영성과는 환자안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요양병원의 의료기관 인증평가 과정에서 직원들의 직무만족을 더 높이고 완전한 환자안전을 보장하는 양질의 의료를 구현할 수 있도록 요양병원 인증제도와 같은 외부평가와 병원의 자발적인 내부평가를 유기적으로 함께 발전시켜야 하겠다.

간호사의 전문직 자율성과 공감능력이 환자안전문화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Convergence Influences of Nurses' Professional Autonomy and Empathy on Patient Safety Culture)

  • 이성수;최혜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2호
    • /
    • pp.231-241
    • /
    • 2019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전문직 자율성과 공감능력이 환자안전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서울의 종합병원에서 일하는 191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SPSS/WIN 24.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환자안전문화는 전문직 자율성(r=.26, p<.001), 공감능력의 하위 영역인 관점 취하기(r=.30, p<.001), 공감적 관심(r=.27,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환자안전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공감의 하위 영역인 관점 취하기(${\beta}=.27$, p<.001), 전문직 자율성(${\beta}=.20$, p=.004), 11년 이상의 총 임상 경력(${\beta}=.17$, p=.012)이었고, 세 개의 변수의 설명력은 15%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환자안전문화 증진의 영향요인인 간호사의 전문직 자율성과 공감능력을 증진 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향후 다양한 표본 집단에서의 반복연구를 제언한다.

병원간호사가 지각하는 조직건강과 환자안전문화가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ospital Nurses'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Health and Patient Safety Culture on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 한미영;정면숙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27-138
    • /
    • 2017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health and patient safety culture on nursing activities for patient safety as perceived by hospital nurses. Methods: A self-report survey was administered to staff nurses of one advanced general hospital and two general hospitals in South Korea. Of the questionnaires, 188 were analyzed. Results: Organizational health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patient safety culture (r=.52, p<.001) and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r=.31, p<.001). Conclusion: The findings in this study indicate that among the factors influencing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organizational factors were more important than individual factors, and organizational health had a big effect on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 관리 활동 구조모형 (Model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for Nursing Students with Clinical Experience)

  • 오재우
    • 산업융합연구
    • /
    • 제22권3호
    • /
    • pp.121-135
    • /
    • 2024
  • 본 연구는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환자안전사고관리 활동을 설명하고 Ajzen의 계획된 행위이론 및 안전문화 풍토-안전행동모형을 개념적 기틀로 하고, 문헌고찰을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사고관리활동의 가설적 모형을 제시하고, 수집된 자료를 통해 모형의 적합도와 가설을 검증하는 구조방정식 모형 구축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간호대학생 251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결과 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수로 환자안전관리 태도, 환자안전문화 및 안전동기임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환자안전관리활동을 향상을 위해서는 임상 실습 현장에서부터 졸업 후 임상에 나가기 전까지 간호대학생이 올바른 환자안전 관리행위를 올바르게 수행할 수 있도록 간호대학생 대상 효과적인 환자안전 사고관리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며 이러한 교육 프로그램이 실무현장까지 연속성있게 이어지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