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환자안전문화

검색결과 136건 처리시간 0.024초

중소 정형외과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 환자안전지식과 환자안전간호수행 (Perceptions of Patient Safety Culture, Safety Care Knowledge and Activity among Nurses at an Orthopedic Hospital)

  • 김미영;은영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4-23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perceptions of patient safety culture, safety care knowledge, and safety care activity among nurses at orthopedic hospital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during Feb. 16 and Feb. 26, 2017, from 195 nurses of 9 small to medium sized orthopedic hospitals. Questionnaires about patient safety culture, safety care knowledge and activity were us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acute{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safety care activ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erceptions of patient safety culture (r=.50, p<.001) and knowledge (r=.48, p<.001). Factors that had influence on the safety care activity were the patient safety culture (${\beta}=.30$, p<.001), age (${\beta}=.27$, p<.001), and knowledge of the safety activity (${\beta}=.21$, p=.004). The patient safety care activity was explained 36.6% by those factors. Conclusion: To enhance the patient safety care activity, it should be provided the environment and open communication for the perceptions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the in service education program for safety care knowledge.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 간호활동 측정도구 개발 (Development of the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Scale for Clinical Nurses)

  • 김화영;류세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9호
    • /
    • pp.207-217
    • /
    • 2018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 간호활동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문헌고찰, 포커스그룹 인터뷰, 내용타당도 검증 및 사전조사를 통해 예비도구를 개발하고, 전국 종합병원급 이상의 병원을 대상으로 비례층화표본추출 방법으로 선정된 28개 병원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도구의 구성타당도는 탐색적 요인분석으로, 준거타당도는 환자안전문화 도구와 상관관계로 분석하였고, 내적일관도는 Cronbach's ${\alpha}$로 검증하였다. 개발된 도구는 최종 10영역 72문항으로 구성된 4점 총화평정척도였고,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총 설명변량은 70.3%이었으며, 요인적재량은 .74이상이었다. 본 도구는 환자안전문화 측정도구와 유의한 상관관계(r=.51, p<.001)를 나타냈으며 Cronbach's ${\alpha}$는 .99였다. 결론적으로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 간호활동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본 도구는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되었고 실무현장에서 유용한 도구가 될 것이다.

중소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 인식과 표준주의지침 수행도의 관계에서 비판적 사고성향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s of Critical Thinking Propensity between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Practice of Standard Precaution of Nurses in Small and Medium Hospitals)

  • 최정현
    • 산업융합연구
    • /
    • 제22권3호
    • /
    • pp.101-110
    • /
    • 2024
  • 본 연구는 중소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 인식, 비판적 사고성향과 표준주의지침 수행도와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자는 S시, C시 소재 3개 중소병원의 간호사로 연구목적을 이해하고 함여 의사를 표시한 대상자는 158명이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0년 1월 5일부터 2020년 3월 31일까지이었고, 수집된 자료의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상관관계, 회귀분석, Sobel test는 SPSS/WIN26.0 Program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간호사의 표준주의 지침 수행도는 환자안전문화인식(r=.524, p<.001) 및 비판적 사고성향(r=.471,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비판적 사고성향은 환자안전문화 인식과 표준주의지침 수행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반복연구가 이루어지고 간호사의 표준주의지침 수행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정신병원 간호사의 낙상에 대한 지식, 태도, 환자안전문화인식이 낙상예방활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Knowledge, Attitude and Perceptions of Patient Safety Culture on Fall Prevention Activities in Mental Hospital Nurses)

  • 장경오;이태진;정민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372-383
    • /
    • 2019
  • 본 연구는 정신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낙상에 대한 지식, 태도 및 환자안전문화인식이 낙상예방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연구방법은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지역의 7개 기관의 정신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153명을 대상으로 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2018년 3월 5일부터 2018년 3월 3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통계방법은 IBM SPSS/win 24.0 프로그램을 t-test, ANOVA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연구 대상자의 면허나 자격에 따라 낙상태도에 차이가 있었고,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환자안전문화인식정도가 높았으며, 근무경력이 많을수록 낙상예방활동이 높았다. 그리고 환자안전문화인식이 높을수록 낙상간호에 대한 태도가 높았으며, 낙상예방활동이 높을수록 낙상태도와 낙상안전문화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자의 낙상에 대한 지식, 태도, 환자안전문화인식이 낙상예방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회귀분석 한 결과, 낙상예방활동에 대한 설명력은 12.5%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정신병원 간호사의 낙상예방활동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계속적인 교육을 통해 지식을 확장하며 낙상태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제공이 요구된다. 또한 병원조직 차원에서 안전에 대한 전반적인 인적, 제도적 환경의 변화 등 다방면의 지원이 요구된다.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안전수행능력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Safety Performance Ability of Patients by Caregivers)

  • 김은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3호
    • /
    • pp.43-50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환자 안전에 대한 관리의식, 지식 및 태도의 정도를 확인하고, 요양보호사의 환자안전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 수행 능력증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대상자는 G광역시와 S시 노인요양시설에서 근무하고 있는 요양보호사 142명을 대상으로 실시 하였으며, 2020년 7월 10일에서 7월 28일까지 수집한 자료를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요양보호사의 환자안전수행능력은 교육 횟수가 많을수록, 환자안전관리의식 및 환자 안전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가 높을수록 안전수행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요양보호사의 환자안전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환자안전에 대한 태도, 환자안전관리의식, 최근 1년간 환자안전교육 참여 횟수 순이었으며, 설명력은 26.9%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요양보호사가 이수한 교육의 프로그램을 확인하고, 요양보호사의 교육프로그램에 교육방법 및 설계를 체계화하여 환자안전관리의식 및 태도의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입원환자의 환자안전인식과 환자안전활동 수행 정도 (Awareness of Patient Safety and Performance of Patient Safety Activities among Hospitalized Patients)

  • 김안나;박정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229-240
    • /
    • 2021
  • 본 연구는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환자안전인식과 환자안전활동 수행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환자안전인식과 환자안전활동 수행을 증진시키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D광역시 일 상급종합병원에 입원한 성인 환자 103명이었다. 자료수집은 2021년 2월 22일부터 3월 12일까지 이루어졌고, 환자안전인식과 환자안전활동 수행을 측정하기 위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입원환자의 환자안전인식은 5점 만점에 4.22±0.52점, 환자안전활동 수행은 4점 만점에 3.35±0.48점이었다. 환자안전인식은 환자안전교육 경험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t=4.85, p<.001), 환자안전활동 수행은 결혼상태(t=2.75, p=.007), 환자안전교육 경험(t=3.88,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환자안전인식과 환자안전활동 수행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r=.59, p<.001).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임상에서 적용 가능한 입원환자의 환자안전인식과 환자안전활동 수행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시스템적으로 적용함으로써, 환자안전문화 향상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병원 간호사가 지각하는 환자안전문화와 안전간호활동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Hospital Nurses' Perceived Patient Safety Culture and Their Safety Care Activities)

  • 최정화;이경미;이미애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64-72
    • /
    • 2010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measure hospital nurses' perceived patient safety culture and their safety care activities,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factors. Method: This study was a cross-sectional survey. The participants were 301 nurses working at 4 general hospitals, and data collection was done from June 22 to June 30, 2009 by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s. Results: With a possible score of 5 points, the average score for nurses' perceived patient safety culture was 3.34, and for their safety care activities, 4.25. There were perceived differences in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care activities according to age, position, length of work experience and number of patient safety education sessions attended. All sub-factors in patient safety culture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safety care activities. Factors influencing nurses' safety care activities were number of patient safety education sessions attended, hospital environment, and supervisor/manager. These factors explained 58.2% of the variance. Conclus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patient safety education is very important to improve nurses' safety care activity. So nursing supervisors/ managers should develop strategies encourage patient safety education, and make nurses' working environment safer.

재활전문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안전간호활동 수행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Performance for Safety Care Activity in Rehabilitation Hospital Nurse)

  • 강정미;박정숙
    • 재활간호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2-19
    • /
    • 2016
  • Purpose: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performance for safety nursing activities at rehabilitation hospitals. Methods: This study applied a descriptive research design. Participants were 194 nurses who have provided nursing services for more than 6 months at 4 rehabilitation hospitals located in B metropolitan city.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acute{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awareness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nursing activity.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hospital work environment, experience of education, hospital climate, frequency of reported events, and marital statu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safety nursing activity. Overall, approximately 23.1% of total variability in the safety nursing activity could be explained by the 5 variables ($R^2=0.231$, p<.005). Conclusion: Nurses at rehabilitation hospitals are relatively positive about patient safety culture. Therefore, we need to develop safety education programs at the level of organization in order to improve patient safety through performing effective safety nursing activities in addition to increase awareness of patient safety culture among nurses. Furthermore, we need hospital's strategies at the system level for open communication and outcome reports regarding patient saf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