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환자안전간호활동

Search Result 87,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 study on environmental status, FIM and Illness intrusiveness of home stayed stroke patients (재가 노졸중 환자의 환경상태, 기능적 독립, 질병으로 인한 장애영향에 관한 연구)

  • Kim, Keum Soon;Roh, Kook Hee
    • 한국노년학
    • /
    • v.25 no.2
    • /
    • pp.143-154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nvironmental status, FIM(Function Independence Measure), Illness intrusiveness of home stayed stroke patients. Data were collected on 145 patients living in K city and the neighborhood located in southern part of Korea.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SPSS program. Results : In assessment of environmental safety, 46.2%(67) felt unsafe around their residential area. The most dangerous facilities in their residence was stairs(58.2%), gas/electric facilities(14.9%). For sanitary problems, 28.2%(41) felt they have problems at their home. The most important problems were outdoor polluted toilet(22.0%) and scattered and dirty residential circumstances(22.0%). The average FIM score was 74.52(4.14) of total score 126(7). In motor area FIM was lowest at stair walking(3.01) and bathing(3.16). In cognitive area FIM was lowest at social activities(3.36). The mean score of Illness intrusiveness was 58.86(4.52) of total score 91(7). The major area largely impacted by stroke were health(5.61), working(5.68), active leisure activities(5.56). There was significant reverse correlation between FIM and illness intrusiveness(r=-0.66, p=0.00). Conclusion : It was needed environmental improvement and rehabilitation program for stroke patients, and repeated follow up study.

Nurses' patient safety activities observed by nursing students (간호학과 실습생이 관찰한 간호사의 환자안전 간호활동 수행 정도)

  • Kim, Jee-Yoon
    • Quality Improvement in Health Care
    • /
    • v.22 no.1
    • /
    • pp.71-90
    • /
    • 2016
  • Purpos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often nurses to perform patient safety activities. Methods: 521 observations were collected in 9 hospitals by 107 nursing students. Nurses' patient safety care activities were measured 0 (not at all) to 10 (all the time) scores.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 way ANOVA,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used to analyse data. Results: Items like 'Initial nursing assessment', 'drug management bring on', 'preparation for radiology test', 'falls assessment', 'nursing record' got high scores. But, scores of 'patient identification', 'verbal order management', 'hand hygiene' were lower than others. Each scores were different significantly according to institutions and departments. Within a same institution, the variance of scores, especially in 'patient identification', 'hand hygiene' were great. Scores of activitie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institutions like type, location, number of beds, teaching hospital, number of accreditation, JCI accreditation. Predictors influencing nurses' patient safety activities were type, location and accreditation. These predictors account for 19.4% of variance. Conclusion: Performance of nurses' patient safety activities were different significantly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institutions. The important items like 'patient identification', 'hand hygiene' had achieved lowest performance. Further researches are needed to improve the basic safety activities.

Differences in Health Status-related Characteristics Before and After Falls in Adult Hospitalized Patients (성인 입원 환자의 낙상전후 건강상태 관련 특성의 차이)

  • Kim, Myo-Youn;Lee, Mi-Joon;So, Hye-Eun;Youn, Byoung-Sun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 /
    • v.20 no.10
    • /
    • pp.51-59
    • /
    • 2022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health status of inpatients before and after a fall accident, and it is a retrospective study using data from 328 inpatients who fell from January 1, 2016 to December 31, 2020, reported to the patient safety reporting system. The average age of the study subjects was 68.57(±14.13), and those in their 70s accounted for the most at 30.49%. Falls occurred on average 13.86(±25.03) days after hospitalization, and the time when the most falls occurred was between 22:30 and 06:59 with 42.99%. Before and after a fall during hospitalization, bowel problems (x2=314.0, p<.001), urination problems (x2=284.0, p<.001), intravenous fluid therapy (x2=85.16, p<.001), and walking (x2=69.77. p<.001), bedridden state (x2=51.60, p< .001), mental state and performance (x2=17.52, p<.001) patient's attitude (x2=220.17, p<.001),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appropriate method and education program for fall prevention in hospital by considering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inpatient.

Perceived Usefulness and Attitude toward Smart-glass for First-aid Remote Support among Coast Guards in Korea (응급처치 원격지도용 스마트글래스 사용에 대한 한국 해양경찰의 인지된 유용성 및 태도)

  • Choi, Jongmyung;Kim, Sun Kyung;Lee, Youngho;Yoon, Hyoseok;Go, Younghye;Byun, Kyung Seok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26 no.4
    • /
    • pp.1-9
    • /
    • 2021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ypes of emergencies transported by the Southwestern Coast Guard, the need for telemedicine guidance, and the perception and attitude of smart glasses as a communication method targeting 31 coast guards. A relatively high frequency and training requirement were confirmed for bleeding, abrasion, and abdominal pain. The demand for telemedicine guidance on medication and triage was higher, and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attitude scores for the use of smart glasses were 3.76±0.61 and 3.64±0.45, respectively. A moderate correlation between perceived usefulness and attitude toward smart glasses was confirmed (r=.630, p<.01).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it is time to actively introduce new devices such as smart glasses.

Study on an Unplanned Extubation Prevention Program (UEPP) for Intubated Patients in Intensive Care Unit (비계획적 발관 예방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적용효과)

  • Kang, Kyung-Ja;Yu, Mi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2 no.3
    • /
    • pp.331-338
    • /
    • 2014
  • Unplanned extubation prevention program (UEPP)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intubated patients hospitalized in a medical intensive care unit (ICU). The number of unplanned extubation was 29 during the preliminary investigation and 23 cases during the prevention intervention program. The general features of the patients and nurses who experienced UE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periods, with only the number of new nurses in the ICU being significantly different (p=.039). Although the number of new nursing staff in the ICU was high, the mean rate of unplanned extubation, which is the number of UE days per 1000 intubation days, was 8.8 during the prevention intervention program, which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12.3, the mean rate of UE during the preliminary investigation (t=-2.333, p=.040). The results provide a prevention program that could contribute to the safety of patients by actively preventing unplanned extubation in intubated patients in ICU.

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Model of Disaster Management in Korea Based on the Result of Response to Sampung Building Collapse (1995), - Disaster Law, and 98 Disaster Preparedness Plan of Seoul City - (우리나라 사고예방과 재난관리 모형 개발을 위한 연구)

  • Lee, In-Sook
    • Research in Community and Public Health Nursing
    • /
    • v.11 no.1
    • /
    • pp.289-316
    • /
    • 2000
  • 우리나라의 경우 지역사회 재난 관리계획과 훈련이 보건의료적 모형이라기 보다는 민방위 모형에 입각하기 때문에 사고 현장에서의 환자 중증도 분류, 합리적 환자배분 및 이송, 병원 응급실에서의 대처 등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지역사회가 이에 즉각적으로 반응할 수 없다. 본 연구는 삼풍 붕괴사고 시에 대응방식과 그 후의 우리나라 응급의료 체계를 분석함으로써 대형사고 예방과 재난관리를 위한 우리나라 응급의료체계의 개선방안과 간호교육에서의 준비부분을 제시하고자 한다. 1 삼풍 사고 발생시에는 이를 관장할 만한 법적 근거인 인위적 재해에 관한 재난관리법이 없었다. 따라서 현장에서는 의학적 명령체계를 확보하지 못했기 때문에 현장에서의 응급 처치는 전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현장에서의 중증도 분류. 응급조치와 의뢰, 병원과 현장본부 그리고 구급차간의 통신 체계 두절, 환자 운송 중 의료지시를 받을 수 있도록 인력, 장비, 통신 체계가 준비되지 못하였던 점이 주요한 문제였다. 또한 병원 응급실에서는 재난 계획이 없거나 있었더라도 이를 활성화하여 병원의 운영 체계를 변환해가지 못하였다. 2. 삼풍백화점 붕괴사고 한달 후에는 인위적 재해에 대한 재난관리법이 제정되고, 행정부 수준별로 매년 지역요구에 합당한 재난관리 계획을 세우도록 법으로 규정하였다. 재난 관리법에는 보건의료 측면에서의 현장대응, 주민 참여, 응급 의료적 대처, 정보의 배된. 교육/훈련 등이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그러나 법적 기반이 마련된 이후에도 한국 재난 계획 내에는 응급의료 측면의 대응 영역은 부처간 역할의 명시가 미흡하며, 현장에서의 응급 대응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운영 지침이 없이 명목상 언급으로 그치고 있기 때문에 계획을 활성화시켜 지역사회에서 운영하기는 어렵다. 즉 이 내용 속에는 사고의 확인 /공고, 응급 사고 지령, 요구 평가, 사상자의 중증도 분류와 안정화, 사상자 수집, 현장 처치 생명보존과 내과 외과적 응급처치가 수반된 이송, 사고 후 정신적 스트레스 관리, 사고의 총괄적 평가 부분에 대한 인력간 부처간 역할과 업무가 분명히 제시되어 있지 못하여, 사고 발생시 가장 중요한 연계적 업무 처리나 부문간 협조를 하기 어렵다. 의료 기관과 응급실/중환자실, 시민 안전을 책임지고 있는 기관들과의 상호 협력의 연계는 부족하다. 즉 현재의 재난 대비 계획 속에는 부처별 분명한 업무 분장, 재난 상황에 따른 시나리오적 대비 계획과 이를 훈련할 틀을 확보하고 있지 못하다. 3. 지방 정부 수준의 재난 계획서에는 재난 발생시 보건의료에 관한 사항 전반을 공공 보건소가 핵심적 역할을 하며 재난 관리에 대처해야 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러므로 보건소는 지역사회 중심의 재난 관리 계획을 구성하고 이를 운영하며, 재난 현장에서의 응급 치료 대응 과정은 구조/ 구명을 책임지고 있는 공공기관인 소방서와 지역의 응급의료병원에게 위임한다. 즉 지역사회 재난 관리 계획이 보건소 주도하에 관내 병원과 관련기관(소방서. 경찰서)이 협동하여 만들고 업무를 명확히 분담하여 연계방안을 만든다. 이는 재난관리 대처에 성공여부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다. 4 대한 적십자사의 지역사회 주민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은 연중 열리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교육주제는 건강증진 영역이며. 응급의료 관리는 전체 교육시간의 8%를 차지하며 이중 재난 준비를 위한 주민 교육 프로그램은 없다. 또한 특정 연령층이 모여있는 학교의 경우도 정규 보건교육 시간이 없기 때문에 생명구조나 응급처치를 체계적으로 배우고 연습할 기회가 없으면서 국민의 재난 준비의 기반확대가 되고 있지 못하다. 5. 병원은 재난 관리 위원회를 군성하여 병원의 진료권역 내에 있는 여러 자원을 감안한 포괄적인 재난관리계획을 세우고, 지역사회를 포함한 훈련을 해야 한다. 그러나 현재 병원은 명목상의 재난 관리 계획을 갖고 있을 뿐이다. 6. 재난관리 준비도를 평가할 때 병원응급실 치료 팀의 인력과 장비 등은 비교적 기준을 충족시키고 있었으나 병원의 재난 관리 계획은 전혀 훈련되고 있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우리나라 재난 관리의 준비를 위해서는 현장의 응급의료체계, 재난 대응 계획, 이의 훈련을 통한 주민교육이 선행되어야만 개선될 수 있다. 즉 민방위 훈련 모델이 아닌 응급의료 서비스 모델에 입각한 장기적 노력과 재원의 투입이 필요하며,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대응 준비와 이의 활성화 전략 개발, 훈련과 연습. 교육에 노력을 부여해야 한다. 7. 현장의 1차 응급처치자에 대해서는 법적으로 명시하고 있는 역할이 없다. 한국에서는 응급구조사 1급과 2급에 대한 교육과 규정을 1995년 이후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고 있다. 이 교육과정은 미국이 정하고 있는 응급구조사 과정 기준과 유사하지만 실습실이나 현장에서의 실습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덧붙여 승인된 응급구조사 교육 기관의 강사는 강사로서의 자격기준을 충족할 뿐 아니라 실습강사는 대체적으로 1주일의 1/2은 응급 구조차를 탑승하여 현장 활동을 끊임없이 하고 있으며, 실습은 시나리오 유형으로 진행된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의 경우 응급 구조사가 현장 기술 인력으로 역할 할 수 있도록 교과과정 내에서 실습을 강화 시켜야하며, 졸업생은 인턴쉽을 통한 현장 능력을 배양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8. 간호사의 경우 응급전문간호사의 자격을 부여받게 됨에 따라, 이를 위한 표준 교육 지침을 개발함으로써 병원 전 처치와 재난시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보완해야 한다. 또한 현 자격 부여 프로그램 내용을 고려하여 정규자격 간호사가 현장 1차 치료자(first responder)로 역할 할 수 있도록 간호학 교과과정을 부분 보완해야한다.

  • PDF

Exploratory Study of Person Centered Care Practice in Korean Long-term Care Facilities using DCM(Dementia Care Mapping) as a tool (DCM(Dementia Care Mapping)을 활용한 한국 요양시설에서의 사람중심케어 실천의 탐색적 연구)

  • Kim, Dongseon
    • 한국노년학
    • /
    • v.41 no.2
    • /
    • pp.197-215
    • /
    • 2021
  • This study aims to evaluate Person Centered Care practice and characteristics of care services in Korean long-term care facilities using Dementia Care Mapping as a tool. DCM, systematic observational evaluation tool for measuring dementia patients' QOL, was transformed into self-report rating scale. The process of transforming DCM into a scale of 34 items involves operationalization of DCM concepts and it's adaptation into Korean long-term care practices. Review by research team of Bradford university was added to maintain DCM concept and meaning in this scale. The scale with Cronbach alpha of .88 was surveyed on 343 care workers. Survey result shows PCC value practiced by them is 3.77(of 5 likert scale) and values on each categories of PCC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care in Korean facilities; attachment(4.02), comfort(3.95), inclusion(3.89), identity(3.67) and occupation(3.41). Dementia care in Korean facilities focuses on recipients'safety, comfort but lacks individualistic care and the meaningful and fulfilling occupation for patients. Looking at the organizational and individual factors influencing DCM values, the small facilities showed higher PCC values and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CC values between public and private facilities. Managers and care workers with career of 1~2 years showed higher PCC values compared to other career ranks and lengthes. This study suggests care practice should be centered on personhood of patient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for which introduction of unit care and education of PCC for service providers including support personnel are needed. DCM and Korean DCM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are suggested for the PCC-based assessment on care qu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