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환자분류체계

검색결과 136건 처리시간 0.027초

한국형 재활환자분류체계 버전 1.0 개발 (The Development of Korean Rehabilitation Patient Group Version 1.0)

  • 황수진;김애련;문선혜;김지희;김진휘;하영혜;양옥영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89-304
    • /
    • 2016
  • Background: Rehabilitations in subacute phase are different from acute treatments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and required resource consumption of the treatments. Lack of accuracy and validity of the Korean Diagnosis Related Group and Korean Out-Patient Group for the acute patients as the case-mix and payment tool for rehabilitation inpatients have been problematic issues.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the Korean Rehabilitation Patient Group (KRPG)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rehabilitation inpatients. Methods: As a retrospective medical record survey regarding rehabilitation inpatients, 4,207 episodes were collected through 42 hospitals. Considering the opinions of clinical experts and the decision-tree analysis, the variables for the KRPG system demonstrating the characteristics of rehabilitation inpatients were derived, and the splitting standards of the relevant variables were also set. Using the derived variables, we have drawn the rehabilitation inpatient classification model reflecting the clinical situation of Korea. The performance evaluation was conducted on the KRPG system. Results: The KRPG was targeted at the inpatients with brain or spinal cord injury. The etiologic disease, functional status (cognitive function, activity of daily living, muscle strength, spasticity, level and grade of spinal cord injury), and the patient's age were the variables in the rehabilitation patients. The algorithm of KRPG system after applying the derived variables and total 204 rehabilitation patient groups were developed. The KRPG explained 11.8% of variance in charge for rehabilitation inpatients. It also explained 13.8% of variance in length of stay for them. Conclusion: The KRPG version 1.0 reflecting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rehabilitation inpatients was classified as 204 groups.

한국형 외래환자분류체계의 개발과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Korean Ambulatory Patient Groups)

  • 박하영;강길원;고영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7-40
    • /
    • 2006
  • With the prospect of rapidly growing health insurance expenditures, particularly spending for ambulatory care, the introduction of a case-based payment method is discussed as an alternative to the current fee-for-service based method. A system to measure case mixes of providers is a core component of such payment system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 classification system for ambulatory care, Korean Ambulatory Patient Group (KAPG) based on the U.S. APG version 2.0 and to evaluate the classification accuracy of the system. A database of 64,258,386 records was constructed from insurance claims submitted to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HIRA) during three months from August 2002. A total of 41,347,307 records with a single visit was used for the development and 7% random sample of the database was used for the evaluation. Additional groups were defined to include both physician and hospital fees in the classification, age splits were added to classify the entire population as well as the population older than 65, and the definition of medical groups used by the HIRA was adopted. The variance reduction in charges achieved by KAPGs was computed to evaluate the accuracy of classification. A total of 474 KAPGs was defined compare to 290 groups in the U.S. APG. The variance reduction for charges of all visits ranged from 20% to 37% depending on the type of provider, and ranged from 22% to 42% for non-outliers, that were better than those achieved by the system currently used by the .HIRA for its internal review purpose. Although further study is required to improve the classification for complicated care in larger hospitals, the results indicated that KAPGs could be used for better management of costs for ambulatory care.

가상현실기술을 적용한 국내 장애인재활프로그램 연구동향 (Research trends in rehabilitation program for disabled applying virtual reality technology in Korea)

  • 김미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2호
    • /
    • pp.381-391
    • /
    • 2015
  • 본 연구는 장애인 재활을 위해 최신 공학기술과 재활프로그램을 융합한 가상현실 기술의 효과에 관련된 연구동향을 분석한 문헌연구이다. 2000~2014년에 발표된 국내 논문 60편을 대상으로 P.I.C.O방법을 준용하여 분석한 결과, 주로 성인 노인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가상현실을 적용한 장애인 재활 프로그램 관련 연구가 많았으며, 가상현실 구현을 위해 투사형 시스템이 자주 사용되었다. 중재효과 확인을 위한 종속변수로는 균형, 상지기능, 보행이 주로 사용되었고 이를 ICF의 구성요소로 재해석하여 도출한 연구주제로는 이동이 가장 많았다. 반면 교육, 직업, 여가 등 참여영역을 다룬 연구는 매우 적었다. 향후 장애인의 실생활에 유용한 가상현실 중재를 위해서는 사회적 관점에 초점을 두어야하며, 동시에 가상현실 기술의 개발 시에도 적용방법과 비용 측면에서 용이한 접근을 염두에 두고 공학기술과 재활서비스가 융합되어야 할 것이다.

입원환자의 낙상발생 연구 자료원으로서의 국제간호실무분류체계 기반 전자간호기록의 유용성 (Exploring the Utility of the ICNP based Electronic Nursing Records as a Research Source for Inpatients' Falls)

  • 조인숙;박인숙;김은만
    •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 /
    • 제5권1호
    • /
    • pp.33-43
    • /
    • 2008
  • Objective: This study explored the reuse of data captured into an electronic nursing record system using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for Nursing Practice to support nursing research of inpatient's falls. Methods: Risk factors relevant to inpatients falls ;n an acute setting were identified from the literature review. Four risk assessment tools and two risk identification studies were selected. To examine the availability of coded data in an electronic nursing record system for the identified fall fisk factors, we reviewed 11.319 hospital-day records of 118 patients who were reported by the self-report system. Results: We identified 24 fall risk factors of five categories from the literature review, which were used to identify the standard nursing statements addressing fall risks. One hundred thirty five nursing statements were searched from the hospital's nursing data dictionary of statements and were matched with 14 fall fisk factors. Using the 135 statements. we found that mental status, catheter of drip in situ, abnormal gait, insomnia, surgical procedure. and dizziness/vertigo appeared frequently in the nursing records of inpatients with fall s. Also we found 6 risk factors more through the record review. Conclusion: The electronic records would be a good research source for inpatients' falls. Specifically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for nursing practice based nursing record system has the potential for promoting clinical researches.

  • PDF

응급실 유형에 따른 흉부외상환자의 특성과 간호중재분류체계를 활용한 간호중재 분석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Thoracic Injury Patients and Nursing Interventions Using Nursing Intervention Classification by Emergency Room Type)

  • 김기웅;김윤희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23권4호
    • /
    • pp.257-266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ntent of nursing interventions applied to patients with thoracic injury who visited a trauma emergency room (TER) or an emergency room (ER). Methods: Of 3,938 trauma patients admitted to this hospital between January 1, 2019 and December 31, 2020, 320 adult patients with thoracic injury (94 to TER, 226 to ER) who met the inclusion criteria were enrolled. Patients' data were acquired from their electronic medical records. General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se subjects along with nursing interventions were analyzed. Resul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ngth of stay, treatment outcome, and level of consciousness between thoracic injury patients who visited TER and ER. Average thoracic Abbreviated Injury Scale score and average Injury Severity Score of thoracic injury patients who visited TER were 3.13 and 13.54, respectively, which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patients who visited ER. The numbers of nursing actions applied was 4,819 for TER and 3,944 for ER, which were classified into five domains, 18 classes, and 56 interventions. The most domain of interventions carried out in both TER and ER was physiological: complex. Classes including Crisis management and Thermoregulation were not carried out in ER. On average, 16 more types of interventions were carried out in TER than in ER.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characteristics of thoracic injury patients and nursing interventions by emergency room type. Based on results of this study, standardized nursing interventions need be applied to thoracic injury patients visiting TER and ER.

성문상부암의 방사선치료 -국소종양 제어율과 생존율을 중심으로- (Radiotherapy in Supraglottic Carcinoma - With Respect to Locoregional Control and Survival -)

  • 남택근;정웅기;조재식;안성자;나병식;오윤경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0권2호
    • /
    • pp.108-115
    • /
    • 2002
  • 목적 : 성문상부암에서 방사선 단독치료 또는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방사선치료의 역할을 국소종양제어율과 생존율을 중심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6년 1월부터 1995년 10월까지 134명이 성문상부암으로 진단되어 방사선단독 또는 수술 후 방사선치료가 시행되었고 이 중 계획된 방사선량을 조사 받은 11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1997년의 AJCC 병기 분류체계에 의하여 재분류하였고 병기 I, II, III, IVA, IVB의 환자 수는 각각 $6\;(5\%),\;16\;(14\%),\;53\;(45\%),\;32\;(27\%),\;10\;(9\%)$이었다. 전체 환자 중 80명은 근치적 목적의 방사선치료로 원발병소에 $61.2\~79.2\;Gy$ (평균 : 69.2 Gy), 경부림프절에 $45.0\~93.6\;Gy$ (평균:54.0 Gy)를 조사하였다. 전체 환자 중 병기 I과 IVB 환자는 모두 방사선 단독치료를 시행하였다. 37명의 환자에서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받았고 원발병소 절제부위에 $45.0\~68.4\;Gy$ (평균:56.1 Gy), 경부림프절에 $45.0\~59.4\;Gy$ (평균:47.2 Gy)를 조사하였다. 수술방법으로서 33명은 전후두적출술(${\pm}$경부림프절 청소술), 3명은 부분후두적출술(${\pm}$경부림프절 청소술), 나머지 1명은 원발병소만의 절제술이었다. 결과 : 전체환자의 5년 생존율은 $43\%$이었다. 병기 I+II와 III+IV의 5년 생존율은 $49.9\%,\;41.2\%$이었으나(p=0.27), 병기 I (n=6) 환자의 종양특성생존율은 $100\%$이었다. 수술 후 방사선치료군(S+RT)과 방사선단독 치료군(RT)의 5년 생존율은 병기 II에서 $100\%$$43\%$, 병기 III에서 $62\%$$52\%$이었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u=0.17, p=0.32), 병기 IVA에서 $58\%$$6\%$로 S+RT군의 생존율이 유의한 차이로 양호하였다(p<0.001). 전체 환자의 국소종양 제어율은 $57\%$이었다. 병기별 국소종양제어율은 병기 I, II, III, IVA, IVB에서 각각 100, 74, 60, 44, $30\%$이었다(p=0.008). S+RT 군과 RT군의 국소종양제어율은 병기 II에서 $100\%$$68\%$, 병기 III에서 $67\%$$55\%$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p=0.29, p=0.23), 병기 IVA에서는 $81\%$$20\%$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방사선 단독치료를 받은 80명의 환자 중 방사선치료반응에 따른 국소종양제어율은 완전관해, 부분관해, 부분관해미만 군에서 각각 76, 20, $0\%$이었다. (p<0.001). 전체환자에서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는 다변량 분석을 시행한 결과 N 병기, 수술 여부, 나이였고 국소종양 제어율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인자는 N 병기, 수술 여부, ECOG 활동도였다. 방사선 단독치료군에서 다변량 분석결과 생존율과 국소종양제어율 모두에 유의한 인자는 방사선치료 후 종양반응과 N 병기였다. 결론 : 조기 병기의 성문상부암에서는 통상적인 방사선단독치료로 후두기능을 보존하면서 수술군과 대등한 종양제어율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진행된 병기의 경우에는 수술과 방사선치료의 병용요법 또는 후두기능의 보존적 측면에서의 동시적 항암화학방사선요법이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진행된 림프절 병소에 대해서는 가능한 한 방사선치료 전 또는 유도화학요법 후 계획된 경부림프절 청소술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인 성인 남자에게 구순열 및 구개열의 유병률에 관한 연구 (THE PREVALENCE OF CLEFT LIP AND/OR CLEFT PALATE IN KOREAN MALE ADULT)

  • 백형선;김재훈;김동준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63-69
    • /
    • 2001
  • 구순열 및 구개열은 두개 악안면 부위에서 가장 자주 발생되는 선천성 기형으로 적절한 의료진의 확보와 의료 정책의 수립을 위해서 정착한 환자 수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국내 발생률 추정 연구는 표본선정의 문제점과 이 질환이 갖는 높은 유산율과 사산율 및 다양한 형태로 인한 분류의 어려움과 한국 내에서의 특수성 중 하나인 장애아들의 해외 입양으로 인해 정확한 환자 수의 파악이 어려웠다. 따라서, 한국인에서의 체계적인 유병률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되며, 대부분의 구순열 및 구개열 환자에서 필요한 교정 치료의 수혜 정도를 파악할 필요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 성인 남자에서 구순열 및 구개열 환자에 대한 유병률과 이들에 대한 교정치료 수혜율을 조사하고자, 1998년도 병무청 징병 검사자 중 1979년도에 출생한 자만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서울, 광주, 대구 부산의 성인 남자 218,322명에 대해 3단계 검사를 실시한 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1979년 생 한국 성인남자에서 구순열 및 구개열 환자의 유병률은 1000명당 0.65명이었다. 2. 전후방적 심도에 따라 1000명당 각각의 유병률은 구순열이 0.26명, 구순구개열이 0.36명,구개열이 0.03명이었다. 구순열과 구순구개열은 비슷한 정도의 유병률을 보였으나, 구개열은 이에 비해 낮은 유병률을 보였다. 3. 횡적 심도에 따라 1000명당 각각의 유병률은 좌측 파열이 0.35명, 우측 파열이 0.16명, 양측 파열이 0.12명이었다. 좌측 파열은 우측 파열에 비해 매우 뚜렷하게 높은 유병률을 보였으며, 양측 파열은 편측 파열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4. 구순열 및 구개열 환자 중 성인남자에서의 한국 내 교정치료 수혜율은 $35\%$였으며, 구순열, 구개열, 구순구개열의 순으로 $28\%,\;29\%\;67\%$였다. 구순열이나 구개열과 같이 단독 발생된 경우보다 파열의 심도가 심한 구순구개열의 경우에서 교정치료 수혜율이 높게 나타났다.

  • PDF

전.의경의 방사선 검사를 통한 근골격계 질환 현황 조사 (Survey of the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Riot Police and Conscripted Policeman in Radiologic Examination)

  • 조재환;강맹진;석종민;전성준;임윤식;정재교;김현주;주명식;동경래;박철수;이진;이해각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5권6호
    • /
    • pp.315-324
    • /
    • 2011
  • 본 연구는 전 의경에 대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인적자원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로써의 성격을 갖는다. 우선 전 의경과 경찰관을 대상으로 방사선 검사 중 단순 X-선검사, CT 검사, MRI 검사를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질환별 분류에 있어서는 신체부위별로 일반 질환과 근 골격계 질환으로 분류하였다. 근 골격계 질환은 다시 검사 부위별로 세분화하여 분석하였다. 경찰관과 전 의경의 정량적 비교에 있어서는 단순 X-선검사, 전산화 단층 촬영술, 자기공명영상검사의 부위별 평균 인원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전 의경은 단순 X선 검사, CT 검사, MRI 검사 등 세 검사 모두 Lower extremity 검사가 다른 부위에 비해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으며 Lower extremity 검사 중에서 특히 Knee 검사 비율이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다.

병원간호인력의 수요추정에 관한 연구 -환자분류체계에 의한 간호인력 수요추계의 방법을 중심으로- (A Study of Staffing Estimation for Nursing Manpower Demand in Hospital)

  • 김유겸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08-122
    • /
    • 1986
  • Changing concepts of health care, are stimulating the demand for health care, thereby orienting society to health care rights to such an extent that they are deemed as fundamental ones inalienable to man. Concomitantly, qualitative as well as quantative improvement is being sought in the nursing service field. Today, efforts are being made in various areas, especially to qualitatively improve nursing services. A second issue concerns proper staffing. It is important to study staffing, in as much as it continues to be the most persistent and critical problem facing hospital nursing administrators today. It involves quantity, quality, and utilization of nursing personnel. A great deal of attention has been focused on this problem since mid 1930's when nursing services began to be felt as an important segment of hospital operation representing the largest single item of hospital budgets. Traditionally, the determination and allocation of nursing personnel resources has relied heavily on gloval approaches which make use of fixed staff-to-patient ratios. It has long been recognized that these ratios are insensitive to variations between institutions and among individual patients. Therefore,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point to the urgent need for the development of methodology and criteria suited to the reality of Korea. The present research selected one place, the W Christian Hospital, and was conducted over a period 10 days from January, and nurses who were them on duty in their unit. The total num-her of patients surveyed was 1,426 and that of 354. The research represents many variables affecting the direct patient care time using the result from the direct observation method, then using a calculation method to estim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tients care time and selected variables in the hospital setting. The amount of direct patient care time varies with many factors, such 89 the patients age. diagnosis and time in hospital. Differences are also found from hospital, clinic to clinic, ward to ward, and even shift to shift. In this research, the calculation method of estimating the required member of nursing staff is obtained by dividing the time of productive patient care activity(with the time of patient care observed), by the sum of the productive time that each the staff can supply, i.e., 360 minutes, which is obtained by deducting the time for personal activities. The results indicate a substantial difference between the time of productive patient care observed directing and the time of the productive patient care estimated using calculating method. If we know accurately the time of the direct patient care on a shift, there required number of staff members calculated if the proper method can be determinded should be able the time of the direct patient care be estimated by the patient classification system, but this research has shown this system to be in accurate in Korea.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recommended time of productive patient care and the required number of nursing staff depending upon which method is used. The calculated result is not very accurate, so more research is needed on the patient classification system.

  • PDF

영국의 중의학: 의사, 의사가 아닌 시술자, 중국인 시술자

  • Stollberg, Gunnar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4-15
    • /
    • 2003
  • 중의학은 서양의 의료 다원주의의 한 부분이 되었다. 특히 침과 같이 서양의 개념과는 분명히 다른 의료 기법에 있어서는 두드러진다. 그밖에 뜸, 안마, 기공, 중약 및 복합 처방들도 있다. 서양에서 전문직업인화는 보건의료 관련분야에서 중심적인 인력양성 방법이 되었다. 이는 대학이 기반을 다진 중세까지 거슬러 올라가는데, 19세기에는 법인들이 전문직업인 모임으로 바뀌어 가면서 개인적 환경을 변화시키고 직업의 체계를 개발하였다. 변호사, 교사, 사제, 의사가 그 예이다. 의료에 있어서 학교교육을 통해 수련된 의사들이 조산사나 안마사들을 지배하게 되었는데 이런 경향은 1950-60년대에 극에 달한다. 그러다가 이들의 지배는 대중매체, 환자, 다른 주변 의료 보조인력들에 의해 도전을 받는다. 이와 비슷한 양상을 이단적인 의료에서도 관찰할 수 있다. 전문직업인의 우세와 시점이 비슷한 생물의학의 우월적 지배는 많은 다양한 의료에 의해 도전을 받는다. 그러나 생물의학의 우월함의 약세가 시술자들의 전문직업인화 까지를 포함하지는 않았다. 실제로 침술과 같은 치료술들을 전문직업인인 의사나 의사가 아닌 시술자들이 함께 쓰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직능간의 분쟁을 야기할 가능성이 높다. 이단적 개념을 기존 의료계로 통합하는 것이 전문직업인들인 의사들의 노력으로 이해되었다. 이 견해는 두 가지 문제를 내포하고 있는데, 첫째 의사들을 단일한 속성으로 보고 있다는 것인데, 실제로 현대의학을 배우고 가르치는 나라들 사이에도 매우 다양한 차이가 있음을 간과하고 있다. 둘째로 의료인이 아닌 시술자들도 다양한 분야로 통합되었는데, 통합은 어쩌면 하급의 전문인들의 노력의 결과로 설명되어야 하는 것이 더 알맞을 수 있다. 그러나 이들도 전문직업인의 조직구조를 가져야 만 하고, 그렇지 않으면 파편으로 남을 것이다. 전문직업인주의는 언제나 과학과 연계하고 있는데, 독일 정부와 직업인 조직은 의료과학 집단에게 이단적 시술들의 임상효과를 검증하게 하였다. 이것은 이단 의료계에 우호적인 단체나 적대적인 단체 모두에게 적용되었다. 매우 강한 힘을 가진 냉소적인 조직 가운데 하나는 National Committee of SHI-Physicians and Sickness Funds(Bundesausschuss der Arzte und Krankenkassen).2 인데, 2001년에, 이 단체에서 출판한 자료에는 침의 효용성은 침을 시술하는 사람에 달린 것 일뿐 시술자의 수련이나 침 시술의 배경 개념에 달려있는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침은 무작위 표본추출 대조군 실험을 통해 효과를 검증받지 못한 다른 치료법들의 범주에 머물러 있다.(cf. Bundesausschuss 2001: 8). 1990년대, 무작위 표본추출 대조군 실험은 생물의학이 아닌 의료의 효과를 검증하는데 알맞지 않고 비윤리적이라고 강한 비판을 받았다. 한편 1995년에 WHO는 침의 유효성 평가를 위해 이 실험기법을 추천하며, 이어 2001년에, the International Council of Medical Acupuncture and Related Techniques(ICMART)는 침연구와 시술을 위한 헌장(Acupuncture Charter Berlin an Evidence Based Medicine (EBM)3 for acupuncture)을 채택 공표한다. 독일 보험 회사들도 침의 효과와 효율성을 검증하기 위해 대규모 실험을 시작했다. 100,000 명이 넘는 환자들이 무작위 표본추출 대조군 실험을 통해 평가되고 있는데 이 실험은 병원이나 일차의료기관의 외래에서 진행되고 있다. 영국에서는 이 분야의 유력한 Edzard Ernst가 위의 개념과 비슷한 구도를 설정 공표하는데 보완의학 분야의 많은 다른 전문가들의 견해를 무릎 쓰고, 그는 증거기반 의학에 대한 그의 신념을 표방한다. "무작위 표본추출 대조군 실험이 보환의학 분야의 시술을 검증하기 위한 알맞은 방법이 아니라고 끝없이 주장하지만 우리는 거의 모든 치료법을 포괄하는 분야에 이들 실험을 발견하였으니, 이는 보완의학도 엄정한 방법으로 검증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Ernst et al. 2001: xiii). 적어도 독일에서 진행중인 효과 검증 연구가 향후 아시아 의학의 기반 마련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영국에서는 이에 대한 정치적 수렴이 전문 직업인화에 달려 있을 것이다. 여기에서 나는 아시아에서 유래한 의료의 서양에서 어떻게 사회학적 관찰의 대상으로 분류되고 정의되는지 소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