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환상적 공간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35초

<판의 미로>에 나타난 환상성과 미궁의 모티프 (The Fantastic and Labyrinth Motif in Pan's Labyrinth)

  • 노시훈
    • 대중서사연구
    • /
    • 제25권4호
    • /
    • pp.135-158
    • /
    • 2019
  • 본고의 목적은 기예르모 델 토로의 <판의 미로>(2006)를 환상영화로 평가하게 해주는 특성과 그것에 밀접하게 결부되어 나타나는 미궁의 모티프의 의미와 기능을 고찰하는 데 있다. 츠베탕 토도로프는 '환상적인 것'을 현실에 침입한 초자연적인 사건에 직면하여 자연적 해석과 초자연적 해석 사이에서 겪는 망설임이라고 정의하였는데, <판의 미로>는 그 망설임이 사라져 환상적인 것이 '기이'장르나 '경이'장르로 들어가도록 하지 않고 그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도록 하기 때문에 이 영화에서는 환상성이 계속해서 잘 드러난다. 이때 미궁은 환상계로 들어가는 통로이자 그것을 대표하는 공간으로서 예술을 상징한다. 로즈메리 잭슨은 환상이 "문화적 속박으로부터 비롯된 결핍을 보상하려고 하는 욕망의 문학"이어서 무의식적 제재들을 반복적으로 다룬다고 보았는데, 델 토로의 영화는 환상 세계에서 가족 로맨스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욕망의 표현으로서의 환상의 특성을 잘 보여준다. 이때 미궁은 욕망의 장소로서 마음을 상징한다. 캐스린 흄은 환상이 미메시스와 같이 현실에 대한 반응이자 '일치된 현실로부터의 이탈'이라고 정의하였는데, 이 영화는 '비전'장르로서 '대조'의 방법을 통해 환상계가 현실계를 비추도록 함으로써 그 정의를 충족시키고 그것이 가진 환상성을 돋보이게 한다. 이때 미궁은 현실계의 거울로서 세계를 상징한다. 이처럼 <판의 미로>는 환상적인 것이 매우 효과적으로 기능한다는 점에서 환상영화를 대표할 만하며, 이 영화에 나타난 미궁은 예술, 세계, 마음의 세 가지를 모두 상징하여 의미가 충만한 모티프라고 평가할 수 있다. 본고의 의의는 위와 같은 고찰을 통해 한 모티프가 특정 장르에서 작용하는 방식을 조명한 데 있다.

빛과 공간예술에서 빛에 의한 공간의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sign Characteristics of Artistic Space effected by Light in 'Light and Space Art')

  • 서정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35-44
    • /
    • 2005
  • Light is the essential and symbolical entity In architecture. But the meaning of light has been changed as time has passed, and today it has plural meaning and more sophisticated role. Since 1960's 'Light and Space Art' has accomplished many successful experiments through light and space as artistic media, and they have changed the understanding of light from the electrical source to the phenomenological energy and sensual medium. And also the role of space in their works takes the more human-oriented field constituted from the coherent relationship of internal parts including human being. Light could be 'an object' and 'material' under 'Light and Space Art' artists' persistent efforts. They revealed another realm of spatial experiences such as extension-the metaphysical space, heterogeneous relationship-the complex space, and dematerialization-the illusionary space. The secondary and inclusive effects by 'Light and Space Art' can be found In the phenomenological architecture, the post-modern architecture, and the immaterial tendency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However, the more close connections between 'Light and Space Art' and the specific architectures are still left as a portion aside for the further research.

하부 유로단면적이 수직 환상공간 내부 풀비등열전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ottom Inflow Area on Pool Boiling Heat Transfer in a Vertical Annulus)

  • 강명기;유주식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1권7호
    • /
    • pp.604-610
    • /
    • 2007
  • To investigate effects of the inflow area on pool boiling heat transfer in a vertical annulus, the inflow area at its bottom has been changed from 0 to $1060.3mm^2$. For the test, a heated tube of 34 mm diameter and water at atmospheric pressure have been used. To elucidate effects of the inflow area on heat transfer results of the annulus are compared to the data of a single unrestricted tube. The change in the inflow area at the bottom of the annulus results in much variation in heat transfer coefficients. When the inflow area is $113.1mm^2$ the deterioration point of heat transfer coefficients gets moved up to the higher heat fluxes because of the convective flow at the bottom regions.

간격이 균일한 수평타원 환상공간에서의 자연대류에 관한 이론적 연구 (A Theoretical Study of Natural Convection in the Anmuli between Two Horizontal Elliptic Cylinders with Uniform Gap)

  • 이재순;서정일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8권4호
    • /
    • pp.351-359
    • /
    • 1984
  • 본 연구에서는 열전달계수의 이와같은 변수의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그리고 이론적 연구가 수행되지 않는 기하학적 형태에 대한 열전달 계수의 Rayleigh수 와 간격비 및 Prandtl수에 관한 간단한 상관관계식을 제시하였다.

한국 전통공간디자인의 도상해석학적 접근에 관한 연구 - 지역적 원형과 창조적 환상의 개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conological Approach of the Korean Traditional Space Design - Focusing on Regional Prototype and Creative Fantasy -)

  • 박경애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7권6호
    • /
    • pp.120-127
    • /
    • 2008
  • Korean space design image is a kind of writing as well as one of the sign that dissembles itself as a direct transcript of what it represents. Moreover it is pictorial representation and notions such as mental and perceptual imaginary. Significance of Iconology lies in how we transform image and the imagination that produces it into power of trust and respect. From this point of view, the process of this study is illustrated as follows: At first, this study search out concept of archetype, collective unconsciousness and collective representation that found principles on basic theory for interpretation of korean space icon. Secondly, it mentions theoretical background of iconological contents and structure. And it clarifies Iconology as a method that is applicable logic for Korean space design. Finally, as an analysis of korean space design, this study analyse in three steps that are pre-iconological description, iconological analysis, iconological interpretation each in terms of modernization at regional korean space design. In the step of the pre-iconological description, it describe visual representative style based on era and place. In the step of the iconological analysis, the typical structure is classified in status, vernacular, ethnic, traditional. In the step of the iconological interpretation, connotation is categorized into allegory, multivalence, potential. Through this process, this study suggest that iconology is an appropriate analysis system of Korean space design images that represent symbols combined with our collective emotion.

헤테로토피아 관점에서 본 필립스탁의 공간표현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Philippe Starck from the Perspective of Heterotopia)

  • 서수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2호
    • /
    • pp.375-381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4차 산업혁명의 시대와 함께 코로나19라는 감염병의 시대를 힘겹게 살아가고 있는 현대인들의 시대적인 배경 속에서 헤테로토피아적 관점에서 본 필립스탁의 공간표현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은퇴 후 더욱 활발히 활동하는 2015년부터 현재까지 인테리어 공간의 완공작품을 중심으로 총 11곳을 선정하여 문헌 및 사례 연구를 통하여 공간표현 특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결과로는 공간만이 가지고 있는 서사성의 공간표현 특성이 가장 빈도가 높았으며, 장소를 표현하기 위한 시간의 중첩의 형태인 상상의 공간과 환상성의 특성이 상호연관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서사성과 환상성, 상상의 공간 특성을 사용하는 필립스탁의 디자인 방법은 헤테로토피아적 특성을 충분히 나타낸다고 볼 수 있으며 새로운 공간의 설계 시 또 다른 디자인 방법론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본다.

물 표면의 시공간성 변형에 대한 연구 1 -빌 비올라의 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ransformation of the Time and Space for Water Surface in Bill Viola's )

  • 이예린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년도 제64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9권2호
    • /
    • pp.643-644
    • /
    • 2021
  • 최근 가상 디지털미디어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시대적 상황에서 물의 다양한 속성에 관한 시공간적 표현은 동시대 매체 미술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본 연구는 물의 표면을 경계(boundary)로 그 경계면의 상하 공간, 경계면과의 거리감, 물그림자, 물의 투영성 등을 통한 시공간 표현에 관한 것이다. 대상 작품으로는 빌 비올라의 을 중심으로, 레안드로 에를리치의 설치 작품, 데이비드 호크니의 회화를 사례로 제시한다. 다양한 미술 매체를 통해 변형된 시공간성은 물 표면이라는 매개체와의 관계적 특성 안에서 이미지의 환상성을 부각한다.

  • PDF

수평타원 환상공간에서의 자연대류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natural convection in the annuli between two horizontal elliptic cylinders)

  • 이재순;서정일;이택식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28-35
    • /
    • 1988
  • 본 연구는 이중벽용기에서 볼 수 있는 환상공간에 관한 자연대류 연구로서 용기속에 들어있는 유체의 열차폐를 위한 최적의 가스두께를 측정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식을 얻기위한 열전달 연구이다.

애니메이션에서 리얼리티의 역사적 변용 (Metamorphosis of Reality in Animation)

  • 이재규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9호
    • /
    • pp.220-234
    • /
    • 2005
  • 이 논문에서는 애니메이션에서 리얼리티의 문제를 살펴보았다. 초기 애니메이션은 판타지를 기반으로 형성되었다. 디즈니는 애니메이션에 실사영화의 내러티브 구조와 스타일, 연기 등을 과감히 도입함으로써 실사에 근접하는 하이퍼 리얼리티한 애니메이션의 기초를 닦았지만, 그 결과 자유스러운 이미지의 실험을 통해 환상성을 창조하던 여타의 애니메이션 장르들은 주변화되고만다. 디즈니의 하이퍼 리얼리티한 세계관과 이후 발전한 3D 컴퓨터 애니메이션 기술의 결합은 가상의 공간, 가상의 인물들을 진짜보다 더 진짜같이 만들어내기에 이르렀고, 원본없는 복제물인 시뮬라크르의 매트릭스를 창조해가고 있다.

  • PDF

애니메이션 사운드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Animation Sound)

  • 임운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127-134
    • /
    • 2007
  • 애니메이션에서 사운드의 가장 큰 목적은 관객과의 커뮤니케이션이다. 애니메이션 사운드는 환상적, 사실적인 작품의 시대적, 공간적 배경을 음악을 통해서 보다 자연스럽게 관객에게 전달하고 캐릭터의 연기동작에 따라 리듬과 운율을 사용하여 캐릭터의 성격묘사와 특색, 분위기를 관객에게 친근하게 전달한다. 본 연구는 애니메이션 영상에 사운드가 미치는 역할과 기능의 중요성을 파악하기 위해 관련 문헌 자료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논문은 노먼 멕라렌과 커트 런던의 이론을 바탕으로 애니메이션 사운드 제작과정에서 영상과 잘 조화되어 작품에서 전체적인 분위기를 내러티브의 구조에서 사건의 진행을 매끄럽게 연결해주고 영상과 사운드의 상호작용을 원활하게 하여 관객에게 전달하는가에 초점을 맞추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