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환기제어

Search Result 268,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 Study on the Active Noise Control in Duct (닥트내 소음의 능동제어에 관한 연구)

  • Lee Chai-Bong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v.7 no.3
    • /
    • pp.130-135
    • /
    • 2006
  • There have been experiments dealing with the possibility of the actualization of the ANC system by means of operating the DSP adaptation filter. This filter is composed of various filters(including X-LMS algorithm, Filter-U algorithm, and Full-Feedback-Filter-U algorithm) that use ventilation fans and loudspeakers as a primary source in a circular duct as an experimental device. In this operation, the ANC system using the X - LMS algorithm was found to be more effective in reducing noise than without such system. When applying the input signal of the DSP board Full Feedback-Filtered-U algorithm system while having in mind that the additionally installed second control signal was gone through feedback and mixed into the detection microphone installed near the ventilation fan when using the first ventilation fan, the system was not emitted, but maintained stable during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filter. At this point, noise tended to decrease at a maximum of l0dB compared to other algorithms at the frequency band of 170-250Hz.

  • PDF

난방운전의 최적제어방안 중심 공동주택의 열성능 향상 방안

  • 이승언;안태경;강재식
    • 월간 기계설비
    • /
    • s.46
    • /
    • pp.74-89
    • /
    • 1994
  • 현재 범국가적 차원에서 지속적인 국가 경제 발전과 국제수지 개선을 위하여 추진되고 있는 정부의 에너지 절약사업에서 건물부문이 차지하는 에너지절약 효과는 막중하다. 특히 전체주택에서 공동주택이 차지하는 비율은 1990년에 32.1$\%$, 서울시의 경우 51.3$\%$로 전체 주택의 과반수를 넘어섰으며, 수도권의 대단위 아파트단지의 개발과 함께 공동주택의 증가추세는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본 연구는 공동주택의 최적난방 운전기법 개발을 위한 1차년도의 연구로서 현행 공동주택의 난방운전 실태를 조사, 분석하고 각 난방법에 따른 문제점 및 최적제어 알고리즘의 개발을 위한 자료 도출을 주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1차년도에 수행된 연구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공동주택의 난방에너지 소비현상은 단지에 따라 최대 3배이상의 열사용량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사용량의 차이는 건축의 기본 열성능, 설비시설의 수준 및 노후화정도에 영향을 받으나 동일 연대의 단지들에서도 최대 80$\%$이상의 열사용량이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며 이는 기계실 및 각 세대의 난방운전방법 및 제어수준에 따른 것으로 평가되었다. 세대의 층별, 위치별 열사용량 분석에 의하면 층별 열사용량차이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특히 최상층부와 최하층부의 열사용량이 뚜렷이 많이 나타나 단열성능의 강화가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샘플단지에 대한 측정 데이터를 통해 적정 열량공급시간대의 설정과 외기온의 변화에 따른 적정 온수공급온도의 설정조건 및 유량제어 효과등에 대한 분석 및 검토를 하였으며, 이를 통해 2차년도의 개발목표인 최적운전제어 방안의 제시를 위한 자료를 구축하였다. 또한 각 세대의 기밀성능이 공동주택의 열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도출하기 위하여 샘플단지에 대해 트레스가스 측정법과 Blower Door법에 의하여 환기 및 기밀상태를 평가 하였으며 측정주호에 대한 환기를 예측할 수 있는 환기예측평가식을 제시하였다.

  • PDF

Modeling the Controllable Parameters of Radon Environment System with Dose Sensitivity Analysis (실내 라돈환경계의 선량감도분석에 의한 제어매개변수 모델링)

  • Zoo, Oon-Pyo;Chang, Yi-Young;Kim, Kern-Joong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v.16 no.2
    • /
    • pp.41-54
    • /
    • 1991
  • This paper aimed to analyse dose sensitivity to the controllable parameters of indoor radon $(^{222}Rn)$ and its decay products (Rn-D) by applying the input~output linear system theory. Physical behaviors of $^{222}Rn\;&\;Rn-D$ were analyzed in terms of $(^{222}Rn)$ gas -generation, -migation and -infiltration to indoor environments, and the performance output-function, i. e. mean dose equivalent to Tracho-Bronchial (TB) lung region, was assessed to the following extented ranges of the controllable paramenters; a) the ventilation rate $constant({\lambda}_v)\;:\;0{\sim}50[h^{-l}].\;b)$ the attachment rate $constant({\lambda}_a)\;:\;0{\sim}500[h^{-l}].\;c)$ the unattached-deposition rate constant (${\lambda}^u_d)\;:\;0-50[h-l]$. A linear input-output model was reconstructed from the original models in literatures, as follows, which was modified into the matrices consisting of 111 nodal equations; a) indoor $^{222}Rn\;&\;Rn-D$ Behaviour; Jacobi-Porstendoerfer-Bruno model.

  • PDF

The Study of Digital Servo Controller for LBLDCM Drives Based on TMS320F2812 (TMS320F2812를 이용한 LBLDCM의 디지털 서보제어기 개발에 관한 연구)

  • Cho, Hoon-Hee;Ahn, Jae-Young;Kim, Kwang-Heo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5.07a
    • /
    • pp.770-773
    • /
    • 2005
  • 최근 산업 분야에 걸쳐서 고속, 고정밀도의 요구사항에 따라, 회전 모터와 볼 스크류, 벨트를 이용한 직선구동방식보다 빠르고 정확하며, 효율이 높은 직접구동 방식의 리니어모터 및 컨트롤러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 고속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의 사용이 불가피하며, 기존의 칩들은 A/D변환기, PWM발생장치 등이 내장되지 않아 제어장치의 부품 수증가 및 복잡성을 피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SVPWM(Space Vector Pulse Width Modulation) 및 QEP(Quadrature Encoder Pulse) 회로와 PWM 발생기, 12bit의 고속 A/D변환기, 파워 드라이버보호회로 등을 내장한 TMS320F2812 DSP를 사용하여 반도체장비분야, 자동화분야 등에 사용되는 LBLDCM의 제어를 가능하게 만들었다. 또한, 기존의 DSP 시리즈 보다 연산속도가 고속화되어 고속연산에 의한 시간적 제한을 극복 할 수 있게 되었고, 제어에 필요한 하드웨어적인 기능들을 내장하고 있어서 주변회로가 필요 없게 되었다. 따라서 하드웨어의 간소화와 개발 시간의 단축 및 신뢰도의 향상과 모터 효율의 향상을 가져오도록 하였다. 제안된 제어장치는 제작되어, 실험을 통하여 그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 PDF

Roof Ventilation Structures and Ridge Vent Effect for Single Span Greenhouses of Arch Shape (아치형 단동온실의 지붕환기구조 및 천창효과)

  • Nam, Sang-Woon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 /
    • v.28 no.2
    • /
    • pp.99-107
    • /
    • 2001
  • It is difficult to install a ventilation window on the roof of single span greenhouses of arch shape. Investigation on the roof ventilation structures for those greenhouses was conducted. In small greenhouses with spans of 5 to 8 m, circular or chimney type ridge vents made of plastic were employed. In large greenhouses with spans of 12 to 18 m, even span roll-up ridge vents made of steel pipe were employed. The effect of roof ventilation was evaluated by comparative experiments between greenhouse installing ridge vents and having controlled side vents only. Roof ventilation contributed greatly to restraint of temperature rise and maintenance of uniform temperature distribution in greenhouses. And ventilation efficiency was analyzed by experiments on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ridge and side vent. There were no temperature differences according to opening and closing sequence of ventilation window. But for greenhouse temperature control by ventilation, it is desirable to open side vents after ridge vents and to close ridge vents after side vents.

  • PDF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Environment Control System for Greenhouse (시설원예용 환경제어장치의 규격 표준화에 관한 연구)

  • 전종길;김경원;오병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1999.11a
    • /
    • pp.67-70
    • /
    • 1999
  • 일반적으로 시설원예용 환경제어장치란 온실 내부 환경을 작물생육에 적합한 환경으로 조성시키기 위하여 원예시설에 부착된 환기창이나 냉난방장치, $CO_2$발생기, 양액제어장치 등을 통해 온도, 습도, $CO_2$, EC, pH 등의 각종 환경을 인위적으로 조절해 주는 장치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는 수동스위치 조작에서부터 전자제어, 컴퓨터에 의한 복합환경제어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한 제품이 생산 판매되고 있지만, 상호 제품간 호환성이 없으며, 성능에도 차이가 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