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환경 영역

Search Result 6,140, Processing Time 0.072 seconds

망 분리기반의 정보보호에 대한 고찰

  • Lee, Eun-Bae;Kim, Ki-Young
    • Review of KIISC
    • /
    • v.20 no.1
    • /
    • pp.39-46
    • /
    • 2010
  • 정보 통신의 발전으로 인하여 모든 장소에서 인터넷, 인트라넷을 적용하여 외부와의 업무 연속성을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환경은 계속적인 기업 내의 정보 유출에 대한 위험으로 내부 정보보호를 위해업무 영역과 개인 영역으로 구분된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이를 위한 망 분리는 IT기술의 발전으로 물리적인 망 분리에서 가상화를 접목한 논리적 망 분리가 제시되고 있다. 업무 환경의 보호를 위한 망 분리에 대한 다양한 방안과 그에 대한 장단점을 소개하도록 한다.

감포와 연일 지역 벤토나이트 내 일라이트-스멕타이트 혼합층광물의 팽창성 및 X-선 부합성산란영역크기에 관한 연구

  • 강일모;문희수;유장한
    • Proceedings of the KSEEG Conference
    • /
    • 2003.04a
    • /
    • pp.325-329
    • /
    • 2003
  • 일반적으로 스멕타이트는 온도, 시간, 공극수 내 K 함량 등이 증가하면서 일라이트화 작용을 통하여 일라이트-스멕타이트 혼합층광물(I-S)로 전이된다. 따라서, 벤토나이트(주로 스멕타이트질 광물로 구성된 화산쇄설물의 변질산물)는 지질환경에 따라 스멕타이트 또는 다양한 혼합층비를 갖는 I-S를 함유하게 된다. 이러한 벤토나이트 내 스멕타이트와 일라이트의 혼합층비는 팽창성(expandability)으로 정량화할 수 있다. (중략)

  • PDF

Geometry and Camera Recovery for Indoor Images using Homographies and Image Segmentation (Homography와 영상 분할을 미용한 실내 영상으로부터의 기하정보와 카메라 정보의 추출)

  • 박태준;권대현;오광만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143-146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다수의 실내 영상으로부터 영상을 촬영한 카메라의 속성정보와 실내 환경에 대한 기하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BSP-Tree를 이용하여 주어진 실영상을 각각의 부분 영역이 실제로도 평면 영역에 해당되도록 분할하였으며, 특징점 대응을 통해 각 분할된 영역의 영상간 대응을 찾고 이로부터 각 분할 영역의 homography를 계산하였다 또한 간단한 가정을 통해 계산된 homography로부터 각 분할영역에 대응된 평면의 방정식과 각 영상을 촬영한 카메라의 속성을 찾아낼 수 있믐을 보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은 현재 본 연구팀이 구현 중인 영상기반 모델링 시스템에서 핵심적인 기능을 수행하리라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Vehicle License Plate Recognition System (차량 번호판 인식 시스템에 관한 연구)

  • 한수환;우영운;박성대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2.05c
    • /
    • pp.346-351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차량 번호판에서 추출된 문자영역의 DCT(Digital Cosine Transform) 계수와 LVQ (Learning Vector Quantization) 신경회로망을 이용하여 차량 번호판 인식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입력된 차량영상의 RGB 칼라정보를 이용하여 번호판 영역을 추출하고 추출된 번호판의 히스토그램과 문자의 상대적 위치정보를 병합하여 문자영역을 추출하였다. 이렇게 추출된 문자영역의 명암도 영상에 DCT를 적용하여 얻은 특징 벡터는 LVQ 신경회로망의 입력으로 사용되어 인식 과정을 수행한다. 제안된 시스템의 검증을 위하여 다양한 환경에서 촬영된 109대의 자가용 차량영상에 대하여 실험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번호판 영역 추출율과 인식률을 보였다.

  • PDF

Component-fusion for face detection in color images (컬러 영상에서 구성요소 융합을 이용한 얼굴 검출)

  • 이주현;이윤미;손시영;이경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4b
    • /
    • pp.790-792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컬러 영상에서 얼굴 구성요소 융합을 이용하여 얼굴 영역을 검출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먼저 광범위한 조명 환경과 인종을 포괄하는 피부색의 범위를 이용해 피부 영역을 검출하고. 영역 그룹화로 후보 얼굴 영역을 찾는다. 색 정보를 이용해 얼굴 구성요소(눈, 입)를 검출한 후, 검출된 구성요소와 구성요소 간의 관계를 융합하여 주어진 영상에서 얼굴 영역을 검출한다. 본 논문이 제안하는 구성요소 융합 방법은 구성요소 간의 관계에 대한 불확실성을 고려하고 있어, 구성요소간의 최적의 조합으로 얼굴의 크기와 포즈, 조명의 변화가 어느 정도 허용된 얼굴 검출이 가능하다.

  • PDF

관심영역 화질개선을 위한 HEV C 전처리 방법

  • Lee, Jae-Rin;O, Gyo-Hyeok;Jeon, Byeon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9.06a
    • /
    • pp.112-113
    • /
    • 2019
  • 유무선 정보통신환경에 맞춰 제한된 비트율로 압축된 CCTV 영상의 화질은 좋지 않을 수 있다. 본 논문은 제한된 비트율로 압축된 영상내 관심영역의 화질개선을 위해, 영상압축을 수행 하기 전의 카메라 센서로 획득한 영상에 전처리를 수행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관심영역 및 비관심영역에 차등적 필터를 적용하여 화소 별 공간적 상관도를 향상시킨다. 제안된 방법을 사용한 결과 관심영역에서의 텍스처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었으며 전처리 과정을 적용하지 않은 영상과 비교하여 객관적 화질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 PDF

A Map-Based Boundray Input Method for Video Surveillance (영상 감시를 위한 지도기반 감시영역 입력 방법)

  • Kim, Jae-Hyeok;Maeng, Seung-Ryol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5 no.1
    • /
    • pp.418-424
    • /
    • 2014
  • In this paper, we propose a boundary input method for video surveillance systems. Since intrusion of a moving object is decided by comparition of its position and the surveillance boundary, the boundary input method is a basic function in video surveillance. Previous methods are difficult to adapt to the change of surveillance environments such as the size of surveillance area, the number of cameras, and the position of cameras because those build up the surveillance boundary using the captured image in the center of each camera. In our approach, the whole surveillance boundary is once defined in the form of polygon based on the satellite map and transformed into each camera environment. Its characteristics is that the boundary input is independent from the surveillance environment. Given the position of a moving object, the time complexity of its intrusion detection shows O(n), where n is the number of polygon vertices. To verify our method, we implemented a 3D simulation and assured that the input boundary can be reused in each camera without any redefinition.

Reverse Skyline Query Processing for Region Objects (영역객체를 위한 리버스 스카이라인 질의 처리)

  • Han, Ah;Li, Zhong-He;Park, Young-Bae
    • Journal of KIISE:Databases
    • /
    • v.37 no.4
    • /
    • pp.185-196
    • /
    • 2010
  • Existing methods to compute reverse skyline queries are not correct to process the queries in dataset with region objects which have conditions like a price is 5~7 dollars and a distance to beach is 1km~2km, since they consider datasets with only point objects. To solve the problem, we propose a novel method to process reverse skyline queries for region objects in this paper. It has advantages. First, it is expected to get a good performance, because it is extended from efficient reverse skyline (ERSL) algorithm which is a best algorithm to computing reverse skyline queries in datasets with point objects. Second, it can give a right of choice unlike the others to a person requesting the query. That is because results of reverse skyline have a difference preference according to proposed pruning methods and overlap relations. This algorithm is a first for supporting region objects. Therefore there are not any other algorithms to compare their performance. For that reason, our experiment to prove the efficiency of proposed algorithm is focused what conditions give an effect to its performance and result and how much time it needs to process the query.

Accuracy Analysis for Velocity Measurement of Microwave Water Surface Current Meter Considering Yaw Angle and Illuminated Area (편각과 측정영역을 고려한 전자파표면유속계의 유속 측정 정확도 분석)

  • Son, Geunsoo;Kim, Dongsu;Kim, Kyungdong;Kim, Seo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00-100
    • /
    • 2016
  • 전자파표면유속계는 대표적인 비접촉식 계측기기로 최근 유량조사를 위해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다.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전자파표면유속계는 평수기 저유속에서도 측정이 가능하고 편각 측정이 가능하도록 개발되어 한 측정 지점에서 다 지점의 유속이 측정이 가능해 평수기 홍수기에 비교적 적은 인원으로 빠른 시간에 유량측정이 가능하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전자파표면유속계가 과연 얼마만큼의 정확한 유속을 측정하는지에 대한 분석이 다소 부족한 실정으로 특히, 실제 하천에서 정확한 분석은 수행되지 않은 상태에서 유량 측정에 사용되고 있다. 전자파표면유속계를 실제 하천에서 사용할 경우 발생 할 수 있는 오차의 요인으로는 교량과 같이 높은 지점에서 측정을 수행할 경우 측정영역(Footprint or Illuminated area)에 따른 오차가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고, 동일 측정 지점에 대해 수직각과 편각에 변화에 따른 유속 측정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개발된 Mutronics사의 전자파표면유속계(MWSCM; Microwave Water Surface Current Meter)에 레이저포인터를 부착하여 표면유속 약 0.5m/s ~ 1m/s의 자연 하천과 매우 유사한 실제 소하천 규모의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안동실험센터 직선하천에서 수직각(Tilt angle) 및 편각(Yaw angle)을 변화시켜가며 유속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측정된 결과를 활용하여 수직각과 편각의 변화에 따른 전자파표면유속계의 측정영역을 검토하였고, 동일한 측정 지점에 micro-ADV를 이용해 측정된 연직유속분포를 외삽하여 산정된 표면유속과 비교하여 전자파표면유속계의 측정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수직각(Tilt angle) 15도 이하에서는 유속 측정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편각(Yaw angle)이 커질수록 측정영역이 커지게 되어 변동 계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전자파표면유속계의 측정 오차는 측정영역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나 실제 전자파표면유속계를 이용한 유량측정 시 측정영역을 고려한 측정이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