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환경효율지수

Search Result 408,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ire Safety Index (소방안전지수 개발에 관한 연구)

  • Kim, Seong-Gon;Kim, Jung-Gon;Kim, Tae-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379-380
    • /
    • 2022
  • 사회발전으로 도시화가 진행됨에 따라 화재발생 및 피해 특성은 물론 소방 환경도 같은 지자체 내에서 지역적 차이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한정된 소방자원을 활용하여 화재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소방 환경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통해 정책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을 대상으로 다양한 소방 환경을 종합적으로 비교분석할 수 있는 소방안전지수를 개발한다. 개발된 소방안전지수는 소방환경의 취약지역을 효율적로 파악하고 대책마련을 위한 정책결정에 활용될 수 있다.

  • PDF

Research on Eco-efficiently Evaluation of China Based on DEA-Malmquist Index (DEA-Malmquist 지수를 이용한 중국 환경효율에 관한 평가 연구)

  • YULIN, LU;YAN, HE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20 no.5
    • /
    • pp.375-381
    • /
    • 2022
  • The DEA-BCC model. And the Malmquist index have been used, from static and dynamic perspectives, to measure the eco-efficiency of 30 cities and provinces in China from 2011 to 2020. The results shows that: the average static eco-efficiency of 30 cities and provinces in China is 0.643. Differences exists all over China. While Shanghai and Beijing are ecologically efficient, other 28 cities and provinces are faced with different extents of inefficiency. There are also differences among regions, which generally show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with high efficiency in the eastern regions while low in the western regions. The Malmquist index of eco-efficiency in total 30 cities and provinces shows a healthy growth trend, and the technological progress. Acts as its main driving force. Therefore, eastern regions should enhance the. radiation capacity, strengthen the synergy among regions, give full play to. The advantages of each regions. It is sensible to improve the eco-efficiency by means of optimizing the industrial structure, enhancing the technological level and improving eco-efficiency of China and realizing green development.

Comparative Analysis of OECD Countries Based on the Environment-Economy Efficiency (OECD 국가의 환경-경제효율성 비교)

  • Chung, Young-Keun;Kang, Sang-Mok;Lee, Jun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17 no.1
    • /
    • pp.121-146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imate efficiency and loss of productivity under environmental regulation, and analyze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index empirically. Using the panel data for 20 member countries of OECD during 1985~1999, environmental efficiency index can be constructed by comparing the production processes under alternative assumptions of disposability, by using a hyperbolic measure of productive efficiency. As a result of estimation for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index, EE of OECD countries gradually shows a downward trend. In terms of the treatment of pollutants, Japan, Germany and France are countries that have a considerable burden in getting rid of the pollutants. In case of EE, Korea displayed high environment efficiency, but in the latter half of the 1990's,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of Korea became slightly worse. During the same period, Korea had a burden in dealing with NOx just like the other OECD countries.

  • PDF

A Study on the Compatibility of Urban River Water Quality Evaluation using Water Quality Index (수질지수를 활용한 도시 하천의 수질 평가 적합성 연구)

  • Lee, Sang Ung;Jo, Bu Geon;Kim, Chan Hui;Kim, Young D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170-170
    • /
    • 2022
  • 최근 기후변화 및 환경변화로 인해 하천으로 유입되는 오염물질의 변화로 하천 오염원의 다양화가 발생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BOD, T-P 항목으로 수질을 관리하고 있으나, 중·소하천에서는 다양한 오염원의 영향이 나타나 BOD, T-P 항목의 관리는 한계가 발생한다. 따라서 수질오염 영향인자들을 고려한 하천의 종합적인 수질 평가 기법의 도입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한강 유역의 경기도 지역은 인구밀도 및 불투수면적이 높고 중소하천의 분포가 넓은 유역으로 다항목 수질의 종합적인 평가가 필요하다. 국내·외에서는 하천의 종합적인 수질을 평가하고자 수질지수(Water Quality Index, WQI)를 점수 및 등급으로 산정하여 하천의 수질을 평가하였다. 수질지수는 평가 목적 및 계산 방법, 평가되는 수질 항목, 등급 체계의 차이로 다양한 종류의 수질지수가 개발되었다. 국내에서는 통계분석과 수질지수를 활용하여 하천의 시공간적 변화를 파악하고 하천 생활환경기준과 비교를 통해 수질지수의 적용성을 검토하는 효율적인 수질관리에 대해 연구 되고 있다. 국외에서는 주요 오염원 및 영향인자를 식별하기 위해 수질지수를 활용하여 하천의 수질 변화를 평가하였다. 하천의 주요 영향인자는 유역특성에 따른 차이가 발생하여 유역 특성에 적합한 수질지수를 활용한 맞춤형 수질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하천의 효율적인 수질관리에 기여하고자 유역 특성을 반영한 수질지수를 활용하여 도시하천의 종합적인 수질을 평가하고자 한다. 군집분석을 활용하여 도시 유형을 분류하고 요인분석으로 도시하천의 수질 인자별 관계성을 도출하여 유역의 도시 현황별 영향인자를 파악하고자 한다. CCME WQI, NSFWQI 등 기존 국내·외에서 개발된 수질지수를 도시하천의 주요 영향인자로 산정하여 도시하천의 종합적인 수질을 평가하고자 한다. 산정된 수질지수의 점수 및 등급과 하천 생활환경기준의 적용성을 검증하여 도시하천에서 발생되는 수질오염 관리 및 대응의 의사결정 도구로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Improvement of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Post-environment Impact Survey Reports Using Marine Environment Assessment Indices (해양환경 평가지수를 활용한 환경영향평가서 및 사후환경영향조사결과 통보서 개선 방안 연구)

  • Lee, Eojin;Kim, Taeyun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30 no.2
    • /
    • pp.61-74
    • /
    • 2021
  • In this study, we used marine environment assessment indices to evaluate impacts of various development projects on the marine environment. TheWaterQuality Index (WQI) was applied in the field of marine water quality and the Cleanup Index of Harmful Chemicals (CIHC), the Cleanup Index of Eutrophication (CIET), the Enrichment Factor(EF) were used in the field of marine sediment. In the field of marine benthic organisms, the Benthic Health Index (BHI) and the Benthic Pollution Index (BPI) were utilized. Each assessment index was calculated using the data observed in the development project, and its characteristics and usefulness were evaluated. The assessment method and criteria were clearly defined for WQI, CIHC, and BHI. Furthermore, through these indices, an integrated environment impact analysis was possible. Apart from the indices presented in this study, there are various indices that can be used for evaluating the marine environment.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utilize appropriate indic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roject.

Recent International Development on the Technical and Operational Measures of IMO's CO2 Emission Control From Ships (IMO의 선박기인 CO2 배출 규제 동향 및 고찰)

  • Jung, Rho-Tae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14 no.1
    • /
    • pp.65-71
    • /
    • 2011
  • Since 2003, policies and practices related to the reduction of CO2 gas emission from ships has been discussing by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The representative emission index and indicator are the EEDI (Energy Efficiency Design Index) for the new ships and EEOI (Energy Efficiency Operational Indicator) during the voyage. For the CO2 emission monitoring system, the SEEMP (Ship Energy Efficiency Management Plan) is also on the table. This global preparations to reduce theCO2 emission is not except for the surface transportation. This research report elucidates the recent stream on the IMO CO2 emission from ship and detail explanation on the EEDI and EEOI.

항로표지 배치 효율화를 위한 가시거리에 기반한 인지 지수 모델링

  • Hwang, Tae-Hyeon;Gong, In-Yeong;Kim, Yeon-G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10a
    • /
    • pp.377-37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항로표지(aids to navigation) 배치를 효율화하기 위한 정량적인 성능 지수(performance index)를 제시한다. 제안된 성능 지수는 항로표지에 대한 항해자(navigator)의 시각적 인식에 기반하였다. 인지 성능 지수는 시각적 인식의 구성요소로서 관찰자, 환경, 그리고 광원에 해당하는 선박 특성, 해상환경, 그리고 항로표지 특성을 반영하여 모델링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효과적으로 항로표지를 배치할 수 있는 수치적 지표를 획득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향후 항로배치에 대한 현실적 데이터를 바탕으로 제안된 모델링의 유효성을 검증할 계획이다.

  • PDF

Analysis of Riparian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with River Environment Index (하천환경지수를 활용한 하천환경특성분석)

  • Choi, Su-Min;Park, Tae-Sun;Heo, Bo-Young;Lee, Seung-O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81-181
    • /
    • 2011
  • 최근 정부에서는 자연형 하천정비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나 정비방안이나 정비공법을 선정하기 위한 하천의 환경특성분석은 기술적 관점에서 주관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하천정비를 위해서는 객관적이고 계량적인 지표를 이용한 구간별 하천환경 특성분석이 필요하다. 그러나, 적절한 구간구분기준과 하천환경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합리적 판단방법이 마련돼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천환경지수라는 계량적 지표를 개발하여 국가하천을 대상으로 구간별 하천환경특성을 분석하였다. 하천환경지수는 하천의 형태적 특성, 생태 환경적 특성, 이 치수적 특성, 사회 문화적 특성과 관련된 여러 인자들 중에서 인자선정원칙과 자료의 구득성을 고려하여 선정된 16개 인자로 구성하였고, 하천환경지수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합리적인 하천구간 구분기준도 제시하였다. 아울러 국가하천에 대한 GIS 정보와 선정된 하천환경지수 및 구간구분기준을 적용하여 국가하천에 대한 하천환경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구간별 하천환경 정비사업 우선순위 및 정비방안을 설정하고자 할 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Study on Operational Index Calculation for Water Management of the Region (지역의 물관리를 위한 운영지수 산정에 관한 연구)

  • Gwon, Yong Hyeon;Jung, Sung Eun;Jung, Ji Won;Yum, Kyung Tae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641-641
    • /
    • 2015
  • 수자원 관리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스마트워터그리드가 이슈화되고 있다. 스마트워터그리드는 현재 직면해 있는 물 문제를 ICT기술을 활용하여 효율적으로 관리 및 운영할 수 있는 기술이다. 가뭄과 홍수 등을 대응하기 위한 분산형 수자원, 그리고 수량과 수질등의 통합 관리를 지향하는 물관리 패러다임과 ICT와 물산업을 융복합화하여 양방향 실시간 운영을 통한 네트워크 구성, 그리고 대규모 수원개발과 장거리 수송방식으로부터 지역단위의 부존된 수자원인 다중수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이들 수원의 최적 블랜딩 기술 및 멀티워터루프를 이용한 수요자 중심의 물관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의 부존된 수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운영지수를 산정함으로써 지역의 평상시 물관리 운영과 상수공급차단, 다중수원에 오염물질 유입, 가뭄발생 등 비상시 상황에 물관리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스마트워터그리드에서 사용되는 물관리 운영지수는 비상시 지역간 플랫폼에 정상적으로 물공급이 어렵거나, 예상되어 유량 확보가 필요시 원활하게 유량 확보가 가능하도록 주변 지역간의 운영지수를 산정하여 최적의 조건을 도출하여 우선순위를 시나리오에 나타내어 사용자가 플랫폼에 물공급이 가능하도록 제시한 운영지수이다. 물관리 운영지수는 중회귀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종속변수에 선형적인 영향을 미치는 유량, 수질, 이송거리, 전력비용, 경제적인 영향 등을 고려하여 종속변수의 값을 예측하고 통계적인 기법으로 유량, 수질, 이송거리, 전력비용, 경제적인 영향 등에 대한 장래추정치를 부여하여 회귀모델을 구축하여 물관리 운영지수를 산정하였다. 이를 활용하여 평상시에는 물수요 공급량을 정확히 관리하여 지역간의 수자원 불균형을 해소하고 비상시에는 상황을 대처하여 지역의 물부족 문제를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veloping Drowning Management Index from the Absolute Number of Drowning and Probability of Exposure in Drowning Environment in Public (익사자수와 익사환경 노출인구 백분율을 이용한 익사관리지수 개발)

  • Kang, Dae Young;Heo, Jun Haeng;Cho, Won Cheol;Lee, Tae Shi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 /
    • v.6 no.1
    • /
    • pp.73-78
    • /
    • 2013
  • This study aims to develop Drowning Management Index (DMI)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drowning management in a region. In order to develop practical index to evaluate drowning management, downing contributors are examined. Drowning exposure rate is collected by survey. DMI is generated from South Korea and Australia for comparison. South Korea and Australia indicate similar number of drowning per 100 thousand people (1.7 South Korea, 1.4 Australia) but in DMI it turned out 9 times difference between two countries (15.5 South Korea, 1.67 Austral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