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환경챔버

Search Result 430, Processing Time 0.051 seconds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Thermal Analysis Model for Thermal Vacuum Test of Satellite Components (인공위성 탑재품 수준 열진공 시험에 대한 열해석 모델의 개발과 환경시험 결과를 이용한 검증)

  • Kim, Sang-Ho;Seo, Hyun-Suk;You, Jae-Ho;Han, Eun-Soo;Kim, Tai-Kyung;Kim, Hyeong-Dong;Huh, Hwan-I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8 no.8
    • /
    • pp.842-847
    • /
    • 2010
  • Thermal analysis for the simulation of satellite component level thermal vacuum test processes was carried out by considering thermal vacuum test environment condition, thermal vacuum chamber configuration, and satellite's inner thermal environment. The transient analysis results can be obtained for the temperatures of component and thermal vacuum chamber assemblies. The thermal analysis model was verified with the component thermal environmental test results by using enhanced thermal vacuum chamber.

Characteristics of Ozone Production in Photochemical Smog Chamber (광화학챔버를 이용한 오존발생 특성 연구)

  • 홍유덕;한진석;공부주;이상욱;이석조;이덕길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05b
    • /
    • pp.171-173
    • /
    • 2003
  • 광화학스모그 챔버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파장별 광도시험, 광원의 NO$_2$ 광분해 상수, pure air experiment 등 성능실험을 수행하고, VOCs 종류 및 VOCs/NOx 비가 오존생성 및 입자상물질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과 온도, 습도가 오존생성에 미치는 영향 등을 평가하였다. (중략)

  • PDF

Desig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an Indoor Smog Chamber for Atmospheric Aerosol Experiments (대기 에어로졸 실험등 실내 스모그 챔버의 설계 및 성능 평가)

  • 배귀남;송기범;김민철;임득용;진현철;문길주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1.11a
    • /
    • pp.85-86
    • /
    • 2001
  • 스모그는 다양한 경로를 통해 생성된 에어로졸에 의해 시정이 감소되는 현상으로 대도시 대기오염의 대표적인 예이다. 서울 스모그 현상은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1차 오염물질에 의한 런던형 스모그 및 광화학 반응에 의한 로스엔젤레스형 스모그와는 다른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스모그에 관한 연구는 크게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스모그 현상에 대한 현장조사 연구와 스모그 생성과정을 인위적으로 밝혀내기 위한 스모그 챔버 연구로 구분된다. (중략)

  • PDF

Indoor Smog Chamber Study I: Effect of Relative Humidity on the Growth of Atmospheric Aerosols (실내 스모그 챔버 연구 I: 상대습도가 대기 에어로졸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 김민철;배귀남;박주연;임득용;진현철;문길주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04a
    • /
    • pp.167-168
    • /
    • 2002
  • 서울 지역의 스모그 현상은 1차 오염물질에 의해 생기는 런던형 스모그 및 광화학 반응에 의한 LA형 스모그와는 다른 양상을 나타내고 있는데, 그 특성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고 있다. 서울 지역의 스모그 특성을 체계적으로 밝혀내기 위해서는 스모그 현상에 대한 현장조사 연구뿐만 아니라 챔버 실험을 통한 스모그 생성과정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도 필요하다. 시정장애(visibility reduction) 현상을 거치는 대기의 기상 특성을 보면 대부분 상대습도가 높은 조건이 낮에도 지속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중략)

  • PDF

Prediction of Wave Energy Absorption Efficiency and Wave Loads of a Three-Dimensional Bottom-Mounted OWC Wave Power Device (착저식 OWC 파력발전장치의 파에너지 흡수효율 및 파랑하중 계산)

  • Hong, Do-Chun;Hong, Key-Y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13 no.1
    • /
    • pp.47-52
    • /
    • 2010
  • The wave energy absorption efficiency and the first-order and the time-mean second-order wave loads of a three-dimensional bottom-mounted oscillating water column (OWC) chamber structure are studied. The potential problem is solved by making use of a hybrid Green integral equation associated with the finite-waterdepth free-surface Green function outside a twin chamber and the Rankine Green function inside taking account of the fluctuating air pressure inside the chamber. Numerical results of the primary wave energy converting efficiency and the oscillating and steady wave loads of a three-dimensional bottom-mounted OWC pilot plant have been presented.

Analysis of Temperature and Ventilation Characteristics in Tissue Culture System (조직배양 시스템 내의 온도 및 환기특성 분석)

  • Lee, Hoon;Son, Jung-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1999.11a
    • /
    • pp.225-228
    • /
    • 1999
  • 기내 조직배양묘의 생육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주요 환경 요인으로 광, 온도, $CO_2$, 배지 등이 있다. 이중 광, 온도 및 $CO_2$ 가스는 기외로 부터 공급을 받거나 제어 할 수 있는 요인으로써 배양체의 생육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배양 챔버내의 환경 제어는 용이하지만, 배양체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용기내의 환경 계측은 용이하지 않다. 실제 배양체의 생육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용기 내 환경과 배양 챔버의 환경은 큰 차이를 나타내기 때문에 조직배양용기내의 미기상 환경에 대한 분석은 필요하다. (중략)

  • PDF

개방계 측정시스템을 이용한 토마토 호흡속도의 자동측정

  • Lee, Hyun-Dong;Yoon, Hong-Sun;Lee, Won-Ok;Jung, Hoon;Cho, Kwa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ostharvest Science and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Conference
    • /
    • 2003.04a
    • /
    • pp.141-141
    • /
    • 2003
  • 신선농산물의 호홉속도를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인 개방계(open system) 호흡속도 측정시스템은 소정의 농도로 조정된 혼합기체를 측정대상시료에 흘려 보내며 측정하는 방법이다. 개방계 측정법의 장점은 혼합 기체조성 영역에서 정확한 호흡속도를 얻을 수 있으며 방치시간이 필요 없으므로 반복 측정이 용이한 것 등이다. 그러나 개방계 측정법은 공급되는 혼합기체의 농도와 유속이 일정하여야 하며 연속으로 호흡속도 측정용 챔버의 혼합기체 공급측과 배기측에서 기체시료를 수집하여 매우 미세한 기체농도의 차이를 측정할 수 있어야 하고 기체 시료 수집에 상당한 주의가 요구된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개방계 호흡속도 측정 시스템을 자동화하였다. 자동화된 호흡속도 측정 시스템은 혼합기체 발생장치, 온도조절이 가능한 기체기밀용 챔버와 G.C로 구성되어 있다. 환경기체조성을 위한 혼합기체발생장치는 $N_2$, $O_2$, $CO_2$ 압축 실린더에서 공급되는 기체를 압력 조절기를 통해서 일차압력을 조정하고 정밀 압력 조절기를 이용하여 0.1~0.2 kg/$\textrm{cm}^2$의 정압을 유지시켰다. 압력이 일정해진 기체는 metering valve를 이용하여 각 기체의 유량을 소정의 비율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각각의 기체는 gas mixed cell에서 실험 농도의 환경기체조성으로 혼합되어 항온기내의 호흡속도 측정 챔버($25^{\circ}C$)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였다. 호흡속도 측정용 챔버는 개스킷이 장착된 아크릴 재질이며 온도 조절이 가능한 항온기로 구성되어 있다. 호흡속도 측정용 챔버와 G.C간의 기체흐름은 three way solenoid valve에 의하여 제어되며 전원의 on/off에 따라 공급측의 가스와 배기측의 가스가 선택적으로 G.C에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측정 대상 챔버의 기체는 제어된 유로를 따라 multi-position valve를 통과하여 G.C에서 분석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개방계 호흡속도 자동 측정 시스템의 성능 실험에서 혼합기체발생장치에서 조제된 혼합 기체의 농도를 설정치와 비교한 결과 $O_2$$CO_2$의 농도에서 평균오차 0.2%로 정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호흡속도 측정용 챔버의 혼합기체 공급측과 배기측의 가스 농도를 3회 반복 측정한 결과 재현성에서는 0.1%이하의 편차로 나타났다. 개방계 호흡속도 자동 측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환경기체조성하에서 토마토의 호흡속도를 측정하는 실측 실험을 수행한 결과 2$0^{\circ}C$에서 12.7~42.1mg$CO_2$/kg.hr였으며 12$^{\circ}C$에서 2.5~8.2mg$CO_2$/kg.hr로 일반적으로 보고되고 있는 토마토 호흡속도와 일치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 PDF

우주환경모사용 챔버 진공시스템 교체

  • Lee, Sang-Hun;Jo, Hyeok-Jin;Seo, Hui-Jun;Mun, Gwi-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0.08a
    • /
    • pp.39-39
    • /
    • 2010
  • 인공위성이 임무를 수행하는 우주환경은 지상 환경과 달리 고진공 및 극저온의 극한환경으로 지상에서는 제대로 작동하는 것으로 관찰되더라도 우주환경에서는 예상하지 못한 기능장애를 일으켜 위성의 성능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이에 10-5 torr 이하의 고진공과 $-180^{\circ}C$ 이하의 극저온 환경을 지상에서 모사하여 위성체의 안정성 및 신뢰성을 시험한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보유한 각종 우주환경모사용 챔버들은 설치 후 10년 이상 가동한 노후 장비들로 적정 성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기본이 되는 진공 펌프들의 교체 작업을 수행하였다. 특히, 기존 사용하던 저진공펌프 중 oil type의 rotary vane 펌프를 dry 펌프로 교체하였으며, 배기 전 준비과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cryo 펌프를 turbo-molecular 펌프로 교체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펌프 교체 전 적정 사양 선정을 위한 준비과정 및 펌프의 교체 및 그 결과에 대해 기술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