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환경제어

Search Result 7,461, Processing Time 0.05 seconds

A Design of Greenhouse Control Algorithm with the Multiple-Phase Processing Scheme (다중 위상 처리구조를 갖는 온실 복합환경제어 알고리즘 설계)

  • Daewook Bang
    • Journal of Service Research and Studies
    • /
    • v.11 no.2
    • /
    • pp.118-130
    • /
    • 2021
  • This study designs and validates a greenhouse complex environmental control algorithm with a multi-phase processing scheme that can combine and control actuators according to the degree of change in the greenhouse environment. The composite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is a system in which the complex environmental controller analyzes the information detected by sensors and operates appropriately actuators to maintain the crop growth environment. A composite environmental controller directs control devices driving actuators through a composite environmental control algorithm, which calculates the values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devices. Most existing algorithms carry out control procedures on a single phase by iteration cycle, which can cause abnormal changes in the greenhouse environment due to errors in output. The proposed algorithm distributes control procedures over multiple phases: environmental control, environmental control, and device operation, and every iteration cycle, detects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environmental control phase first, and then combines control devices that can control the environment in the environmental control phase, and finally, performs the controls to derive the actuators in the device operation phase. The proposed algorithm is designe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reenhouse environmental elements and control devices deriving actuators. According to verification analysis, the multi-phase processing scheme provides room to modify or supplement the setting value and enables the control devices to reflect changes in the associated environmental components.

쾌적환경제어 및 에너지 절감제어 응용(쾌적과 에너지 절감의 협조제어, VAV제어, 외기취입제어에 관하여)

  • 조추영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33 no.2
    • /
    • pp.32-40
    • /
    • 2004
  • 지구환경보호 관점에서 건물공기조화도 에너지 절감과 쾌적한 실내환경을 실현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BAS(빌딩오토메이션)로 실현하는 쾌적환경과 에너지 절감제어 응용에 관하여 소개하기로 한다. 쾌적한 에너지 절감제어 쾌적제어 (1) 협조제어 쾌적, 에너지절감, 운영경비절감 등 다양한 목적을 조화롭게 실현하는 제어이다. 예를 들면 쾌적하고 에너지절감제어에서는 여름철 냉방이나 겨울철 난방을 하는 경우에 있어서 무효한 에너지 사용을 억제하면서 실내환경을 유지하는 방법이다.(중략)

  • PDF

A Study on Greenhouse Remote Control using IOT Technic (사물인터넷 기법을 이용한 온실 원격제어에 관한 연구)

  • Cho, You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07a
    • /
    • pp.123-124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사물인터넷 기법을 원격지에서 재배환경을 제어할 수 있는 온실 원격제어시스템을 제안한다. 온실원격제어시스템은 온실내의 환경정보를 계측하여 서버에 저장하고, 이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제어함으로서 최적의 재배환경으로 조절하고, 저장된 재배 환경정보를 활용하여 작물의 최적의 재배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도록 한다. 온실 원격 제어시스템을 웹과 연동하여 각종 기기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제어함으로서 각 사용자들이 온실에 접근하지 않고 원격으로 환경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온실 원격제어시스템은 제어부, 통신부 그리고 계측부로 구성하였으며, 무선인터넷을 통하여 5초마다 제어신호를 확인하여 처리하고, 온도를 측정하여 서버에 저장하여 동작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온실 원격제어시스템은 최적의 생장환경을 지속적으로 제공하여 농가의 생산 효율성을 증대 시킬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

Optimal Control Algorithm for the Growth Environment of Plant Factory (식물공장의 지상부 환경에 대한 최적제어 알고리즘)

  • 홍순호;류관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1995.04a
    • /
    • pp.53-54
    • /
    • 1995
  • 식물공장의 생육환경 제어는 작물의 생장 프로세스에 대한 지식을 이용하여 시설 내부의 환경요인을 경제적 최적 상태로 구현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작물 생장에 대한 생물학적 관점과 환경제어 시스템에 관련된 공학적 관점, 그리고 수확된 작물과 에너지 투입에 대한 경제적 관점이 동시에 고려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식물공장의 지상부 환경에 대한 작물의 생장 모델과 환경제어에 소요되는 에너지 투입 모델을 바탕으로 하여, 효율적인 생육환경 제어 알고리즘을 개발하려는 목적에서 수행되었으며 그 과정 및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중략)

  • PDF

Environment Control of Micropropagation System and its Application to Growth Modelling of Potato Plantlets (미세증식 시스템의 환경제어 및 기내 감자 소식물체의 생육 정량화에의 응용)

  • Lee, Hoon;Son, Jung-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2001.11a
    • /
    • pp.172-173
    • /
    • 2001
  • 기내 환경과 소식물체의 생육간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정밀 환경 제어가 가능한 시스템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CO₂, PPFD, RH등의 환경 제어 시스템을 개발하고 본 시스템 내에서의 소식물체 생육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시스템은 총 5개의 챔버를 부착하여 외부 환경과 밀폐된 조건을 구현하고 독립적으로 제어 가능하도록 설계하였으며, 환경 제어 알고리즘을 완성하였다. (중략)

  • PDF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Environment Control System for Greenhouse (시설원예용 환경제어장치의 규격 표준화에 관한 연구)

  • 전종길;김경원;오병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1999.11a
    • /
    • pp.67-70
    • /
    • 1999
  • 일반적으로 시설원예용 환경제어장치란 온실 내부 환경을 작물생육에 적합한 환경으로 조성시키기 위하여 원예시설에 부착된 환기창이나 냉난방장치, $CO_2$발생기, 양액제어장치 등을 통해 온도, 습도, $CO_2$, EC, pH 등의 각종 환경을 인위적으로 조절해 주는 장치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는 수동스위치 조작에서부터 전자제어, 컴퓨터에 의한 복합환경제어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한 제품이 생산 판매되고 있지만, 상호 제품간 호환성이 없으며, 성능에도 차이가 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중략)

  • PDF

Evaluation of sensor and control interface modules for greenhouse environment control (온실환경 제어를 위한 센서 및 제어 인터페이스 모듈의 성능평가)

  • Lee, Won-Jae;Duc, Ngo Viet;Sung, Nam-Seok;Seo, Young-Woo;Kim, Yong-Joo;Chung, Sun-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137-137
    • /
    • 2017
  •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온실 환경제어시스템의 S/W 및 H/W는 서로 호환이 되지 않아 농민들이 원하는 맞춤형 복합 환경 제어시스템을 운영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양한 제어알고리즘 및 장비를 적용시킬 수 있는 호환성이 향상된 온실 환경 제어인터페이스 모듈 성능평가를 목표로 한다. 센서 및 제어 인터페이스 모듈 성능평가를 위해 사용된 제어 시스템은 8 bit MCU가 적용된 전용 개발보드를 사용하였고, RS-232 통신 케이블을 사용하여 온실 환경 측정 데이터 값을 PC에서 수신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창개폐기, 환풍기를 사용하여 온실 내부 온/습도 환경조성을 하였다. 실험은 정오부터 제어장비를 작동시킨 후 1시간 간격으로 총 3시간 동안의 온실 내 온/습도의 변화량을 계측하였다. 3시간 중 1시간동안의 온/습도 값의 변화량을 계측한 결과 평균값은 각각 $33.21^{\circ}C$, 34.94%이었고 표준편차는 각각 $1.44^{\circ}C$, 2.74% 이었다. 제어 알고리즘은 단순한 ON/OFF 방법을 사용 하였고 총 2가지 제어장비를 사용하였으며 모두 정상 작동 하였다. 1시간동안 온실의 온도는 $30^{\circ}C{\sim}35^{\circ}C$사이를 유지하였으며, 습도는 30%~ 40% 사이로 최초 실험 목표였던 온실 내부의 온/습도 범위를 유지하였다. 이번 실험은 ON/OFF 방법의 제어 알고리즘을 사용하였지만 더욱 정밀한 온실 환경제어를 위하여 PID, 퍼지 제어 알고리즘을 추가하여 기상환경에 따른 제어범위를 더욱 세밀화 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면 제어장비에 대한 효율성이 향상될 것이라 기대한다.

  • PDF

The Floor Control for Cooperative Authoring In a Distributed Multi-session Environment (분산 다중세션 환경에서의 공동 저작을 위한 플로어 제어)

  • Shin, Shung-Woon;Oh, Sam-Kw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05b
    • /
    • pp.1089-1092
    • /
    • 2003
  • 공동저작 환경에서는 원활한 저작을 위해 저작의 결과물인 객체들을 공유해야 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이러한 공유 객체들을 여러 저작자들이 문제없이 공유하려면 경쟁상태를 최소화하고 공유 객체를 보호하기 위한 플로어 제어 기법이 필요하다. 단일 세션 내에서의 플로어 제어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있어 왔지만 다중세션 환경에서의 공유 객체에 대한 플로어 제어에 대한 연구는 거의 되어 있지 않다. 본 논문은 다중 세션환경에서의 공유객체 사용 시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플로어 제어와 공유객체 관리 모듈간의 연동구조를 제시한다. 플로어 제어는 플로어 할당 정책과 플로어 제어 메커니즘으로 구성된다. 플로어 할당 정책으로는 다중세션 환경에서 비교적 규모가 근 공동작업 환경에 적합한 관리자를 둔 의장형 방식을 사용하였다. 플로어 제어 메커니즘은 다양한 종류의 공유객체들의 제어를 위해 잠금 입자도를 고려한 잠금 기법을 사용하였다.

  • PDF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의 식별 및 접근제어

  • Jang, Eun Young
    • Review of KIISC
    • /
    • v.24 no.6
    • /
    • pp.31-36
    • /
    • 2014
  •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는 자원 공유와 가상화 기술 및 자원의 서비스화 등 기존 컴퓨팅 환경과 다른 특성으로 인해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 적합한 식별/접근제어 기술 및 보안 통제 사항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기존 컴퓨팅 자원을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으로 변경하는 서비스 제공자나 클라우드 서비스로 이동하는 서비스 사용자는 특정한 보안 요건을 검토해야 한다. Cloud Security Alliance에서 배포한 Cloud Control Matrix와 ISO/IEC 27001을 비교 분석하여,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특별히 요구되는 식별 및 접근제어의 보안 통제 요건을 확인하였다. 또한, 주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인 아마존의 AWS, 구글의 Google Cloud Platform과 VMware의 vCloud 서비스의 식별 및 접근제어 기술을 조사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의 식별 및 접근제어 기술에서 필요한 보안 요건을 확인하였다.

Requirements Analysis for Access Control Model on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의 접근제어 모델을 위한 요구사항 분석)

  • Oh Sejong;Park Jeho
    • The KIPS Transactions:PartA
    • /
    • v.11A no.7 s.91
    • /
    • pp.563-570
    • /
    • 2004
  •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requires strong security and privacy. Access control is one of security areas. Access control on Ubiquitous computing is different from it on traditional information systems so that traditional access control models are not suitable for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This research defines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as an access control point of view, and shows requirements to consid-er for developing access control model for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It also brings up three implementing types of access control on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