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환경적 안전 기준

Search Result 1,073,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제품구매시 소비자의 안전추구행동 분석 : 가정생활 양식유형, 안전의식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 Heo, Gyeong-Ok
    • Proceedings of the KHMA Conference
    • /
    • 2008.05a
    • /
    • pp.87-103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전국에 거주하는 20세 이상 남녀 총 2,000 명을 조사대상으로 한 한국소비자원 (2007)의 "국민소비행태 및 의식구조 조사"자료를 가지고 소비자의 안전추구행동을 조사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소비자안전의식과 가정생활양식 변수가 소비자 안전추구행동에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정리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들은 자동차를 제외하고 농산물 구매에서 안전성보다는 가격, 신선도 등 다른 요인을 중요한 기준으로 고려하고 있어 안전추구행동이 낮은 수준이라고 하겠다. 둘째, 소비자 안전의식은 여성, 젊은 소비자, 가족 수가 3인 인 경우, 농산물 수입개방에 대해 중간적 입장을 취한 소비자의 경우, 미래지향적인 소비자들에게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체로 농산물 구매에 있어서 소비자가 환경지향적이고 농산물 수입개방에 대해 부정적인 소비자 일 수록 안전추구행동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의 경우 남성, 미혼자, 연령이 낮은 경우, 가족 수가 적은 경우 안전성을 중요한 구매기준으로 고려하고 있었다. 대체로 여성, 미혼, 나이가 많은 경우, 가족수가 적은 경우, 환경의식이 높은 경우 술의 소비가 적었으며, 여성, 고졸이하, 나이가 적은 경우, 가족 건강 여가 지향적인 경우 담배를 전혀 소비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대졸, 고소득, 가족 건강지향적, 부정적 농산물수입개방 태도의 경우 수입농산물 구매에서 안전성을 제일 중요한 기준으로 삼고 있었다. 끝으로, 여성, 고졸 소비자, 여가 현재 지향적, 환경의식이 높은 소비자의 경우 안전추구행동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소비자의 안전의식은 안전추구 행동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

A Study of the Development Safety Criteria for Hybrid Electrical Propulsion Fishing Boats (전기복합 추진어선의 안전기준 개발에 관한 연구)

  • Cheol eon Kang;Chul ho Baek;Sung hun Kim;Chan jae L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9 no.2
    • /
    • pp.207-214
    • /
    • 2023
  • Ships emit significant amounts of air pollution. To reduce ship emissions, the government has implemented the Eco-Friendly Ship Act to improve the marine air environment, under which the use of eco-friendly ships that use eco-friendly energy as a power source encouraged and technologies to reduce marine pollution are developed. Therefore, the revision of relevant laws and systems such as inspection and facility standards for the safe operation of eco-friendly ships is urgently needed, especially those for fishing vessels, which account for the majority of domestic coastal vessels. This study defines the core equipment for the application of electric complex propulsion systems to fishing boats and presents a minimum safety standard plan for the adoption and dissemination of eco-friendly fishing boats.

A Study on the Safety standards and design guides for safety facilities on coastal zone (연안역 안전시설의 설치기준 및 국내.외 안전기준 분석)

  • Youn, Sang-Ho;Yi, Gyu-Sei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11a
    • /
    • pp.457-460
    • /
    • 2010
  • 연안역이란 해안선을 기준으로 인접해 있는 육지(연안지역)와 바다(연안해역)를 포함한 개념, 즉 인근 해양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배후 육지와 바다를 합친 자연환경 대이다. 국토해양부는 연안역의 공간이동 효율성을 높이고 부존해양자원의 체계적인 개발과 보전을 위해 "연안역관리법" 특별법으로 관리한다. 하지만 연안역의 안전시설물에 대한 체계적인 설계지침이나 유지관리 등의 지침서가 아직 만들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현재 연안역 설치되어 있는 안전시설물에 대한 현장조사를 하였으며 국내 외도로, 해안, 항만구조물의 안전시설기준을 비교, 분석, 정리하였다. 또한 인간공학을 통해 위험을 감소할 수 있는 청각적 시각적 신호 체계를 분석하여 연안역에 맞는 새로운 신호체계를 마련할 토대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n analysis of field experts' perceptions of the content and format of school safety standards (학교안전기준 내용 및 형식에 대한 현장 전문가의 인식 분석)

  • Cho, Yong;Lee, Byoung-Ho;Han, Jong-Guk;Park, Youn-Ju
    • The Journal of Sustainable Desig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Research
    • /
    • v.22 no.3
    • /
    • pp.14-29
    • /
    • 2023
  •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the content and format of school safety standards to clarify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schools in realizing school safety. Toward this end, difficulties in operating school safety standards at various sites were classified into four small groups with a total of 26 educational administrators, superintendents, and researchers to listen to the opinions of experts in the field and analyze related data. As a result, we comprehensively analyze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respondents who are working at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regarding the proposed school safety standards. We also analyzed the necessity of developing these standards and examining the appropriateness of their content and format. Results were derived from four aspects, including the field applicability of such standards. The study draws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it focuses on setting the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school safety standards. Second, it highlights the exploration of the system and content of these standards. Third, it pertains to the preparation of a draft of these standards.

Hot Issue - 화평법 및 화관법 주요 내용

  • (사)한국포장협회
    • The monthly packaging world
    • /
    • s.262
    • /
    • pp.94-104
    • /
    • 2015
  • 환경부는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화평법)'과 '화학물질관리법(화관법)' 시행규칙을 공포하고 지난 달부터 시행했다. 환경부에 따르면 두 법안은 화학물질의 체계적인 관리로 사전에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국민건강과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제정됐다. 화학물질의 생산 유통 등 모든 과정의 안전관리를 강화하는 것이 골자다. 우선 화평법 시행에 따라 모든 신규 화학물질과 연간 1톤 이상 제조 수입되는 기존 화학물질에 대한 등록이 의무화되고 등록 신청 기준도 강화된다. 다만 제조 수입량이 연간 1톤 미만일 경우 등록 신청 제출 자료를 정식 등록 9개보다 적은 4개로 간소화하고 등록기간도 30일에서 3~7일로 줄였다. 또 유해물질 함유제품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생활화학 제품 15종을 우려제품으로 지정해 안전 표시기준을 준수하도록 했다. 관리대상 품목은 세정제 합성세제 표백제 섬유유연제 코팅제 접착제 방향제 탈취제 방청제(금속부식 방지제) 김서림방지제 물체염탈색체 문신용염료 소독제 방충제 방부제 등이다. 화관법에서는 유해 화학물질 취급 때 공통 적용되는 46개 준수사항을 규정하고 물질별로 구체적인 취급기준을 고시하도록 했다. 취급시설의 설치 관리기준도 시설 종류별로 구체화했다. 새로 도입되는 장외 영향평가는 취급시설 설치자가 화학사고 발생 시 사업장 주변지역 사람이나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사전에 평가해 시설을 안전하게 설계 설치하도록 규정했다. 과징금과 행정처분 기준도 구체화했다. 행정처분은 2년 내 위반 횟수에 따라 경고 개선명령 영업정지 허가취소로 차등화하고 사고가 일어나면 사상자와 사업장 밖 피해액을 기준에 따라 산정해야 한다. 본 고에서는 두 법률의 주요 내용과 함께 주요 문의 사항을 살펴봄으로써 이해를 도우고자 했다.

  • PDF

Analysis on Research Trend of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해양환경안전학회지"의 연구경향 분석)

  • Kim, Sang-Goo;Lee, Won-I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6 no.4
    • /
    • pp.415-420
    • /
    • 2010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is representative scientific journal about ocean environment and ocean safety in Korea. This study analyzed research trend of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through review of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s for 10 years tram 2000 to 2009. On the basis of the pursuit of learning and academic constitution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criteria items of analysis for research trend such as authors institution of employment, region of authors' institution, form of participation in research, article's educational nature, article's method of study, article's area of study, etc. were set up and applied to 310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for 10 years.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valuation Criteria and Methods for Improving Safety Level in the Laboratory (연구실 안전수준 향상을 위한 평가기준 및 방법 개선 연구)

  • Yang, Yun-Young;Shin, D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279-280
    • /
    • 2022
  • 연구실안전법에 따라 모든 연구실은 주기적으로 안전점검과 정밀안전진단을 통해 안전을 확보하고 안전환경 상태에 따라 미흡한 평가등급을 받으면 연구 활동에 제약을 받는 제도가 시행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의 점검 및 진단제도는 안전분야별 각 점검항목에 대해 양호, 주의 및 불량 등 이상 3가지로만 평가하고 있으며 각 점검항목에 대해서도 안전에 미치는 영향에 따른 가중치가 고려되지 않아 평가 대상 연구실에 대한 종합적인 안전수준을 확인하는 데 한계가 있다. 이에 연구실 안전전반에 관한 점검항목을 추가하고 평가기준도 가중치를 고려하여 평가결과가 정량적인 점수로 도출될 수 있도록 개선하여 연구주체자가 평가점수를 향상해감으로써 연구실 안전수준을 향상해 갈 수 있도록 방법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Policy Execution Analysis of Industrial Safety Health Criteria (산업안전보건기준의 정책집행분석에 관한 연구)

  • 전운기;송수정;강경식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01.11a
    • /
    • pp.181-186
    • /
    • 2001
  • 산업재해로 인한 개인·사회·국가적 손실이 막대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산업재해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산업안전보건정책의 결정과 집행과정에 대한 분석·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며, 유사한 성격의 사회정책으로서 공정거래제도나 환경분야보다도 훨씬 뒤떨어 져 있다 본 논문은 산업안전보건기준이라는 정책과제를 중심으로 산업안전보건정책의 집행 과정의 성공과 실패요인의 분석에 필요한 연구분석들을 제시하고자 하며, 향후에 이를 바탕으로 실증적인 적용실태연구를 통해 산업안전보건정책방향의 일단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플레저보트 검사기준 개선 현황

  • Choi, Kyong-il;Seo, Gwang-Cheol;Lee, Seoung-Tae;Jeong, Gyu-Gwon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17.11a
    • /
    • pp.10-10
    • /
    • 2017
  • 해양수산부에서 추진중인 해양레저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규제개선 과제 21가지 중 마리나선박의 선박검사기준 개선을 중심으로 해양레저선박 검사기준 개선사항과 시사점을 개략적으로 제시하여 보고자 한다.

  • PDF

Estimation of Resilient River Water Use Criteria Using Margin of Safety(MOS) (안전율(MOS) 개념을 고려한 탄력적 하천수 사용허가 기준유량 산정)

  • Ryoo, Kyong Sik;Park, Jung Eun;Lim, Kwang Suop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59-359
    • /
    • 2017
  • 하천관리청은 유량변동이 큰 환경에서도 평상시 하천의 기능을 유지하고 안정적인 용수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천수 허가관리를 수행하고 있다. 이때, 하천수 사용허가 검토시 기준으로 사용되는 유량은 자연상태의 기준갈수량에서 하천유지유량을 감안하여 적용하고 있는데, 이는 하천유량의 변동에도 최대 용수수요를 만족할 수 있게끔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최대 사용량일 때의 물의 과부족을 계산하여 허가 여부를 결정한다. 본 연구에서는 Park et al.(2016)이 제안한 시기별(홍수기/이수기, 비관개기/관개기 고려) 하천수 사용허가 기준유량 설정방법을 기반으로, 수질오염총량제(Total Maximum Daily Loads, TMDLs)에서 적용하는 안전율(Margin of Safety, MOS)의 개념을 접목하여 허가기준유량의 불확실성을 정량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허가기준 유량은 수문모델에 의해 자연상태의 모의유량을 유황분석하여 도출하게 되므로 유량의 연도별 변도성(Margin of Variability, MOV)과 예측모델 매개변수의 불확실성(Margin of Uncertainty, MOU)을 고려하는 Walker Jr.(2003)의 안전율 산정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금호강 유역을 대상으로 시기별 자연유량 산정시 고려한 SWAT 모형결과를 기반으로 하였으며, 모의자료의 변이계수를 산정하여 시간적 변동성에 의한 불확실성을 도출하고 SWAT-CUP모형을 활용하여 모형의 불확실성을 도출하여 안전율을 계산하였다. 단, 기준갈수량이 허가기준유량으로 사용되는 기간(1월 1일~3월 31일)에는 안전율까지 고려할 경우 지나치게 보수적이라고 판단되어 적용에서 제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불확실성을 고려한 하천수 관리방법론은 시기별 하천수 허가기준유량 설정에 대한 의사결정자들의 판단을 지원하는데 기여함으로써 정책적 활용도를 높일 뿐만아니라 탄력적인 하천유량관리를 위한 기초연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타 분야 기술과의 융합이라는 점에서도 의의를 가질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