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환경적 건강

Search Result 2,470,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근로자 건강이 최우선이다

  • Lee, Sang-Su
    • 건강소식
    • /
    • v.30 no.5 s.330
    • /
    • pp.4-5
    • /
    • 2006
  • 한 사회가 근로자를 어느 정도 잘 보호하고 있는가 하는 문제는 환경 변화에 대한 사회의 능동적 대처 정도를 나타내주는 징표이며, 이 문제는 국가 전체 차원의 중요한 문제이다.

  • PDF

Objectives and Strategies of Government Health Promotion Policy (정부의 건강증진사업 목표 및 추진방향)

  • Lee, Jong-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romotion Conference
    • /
    • 2005.09a
    • /
    • pp.3-32
    • /
    • 2005
  • 정부의 건강증진사업은 국민의 건강수명 연장과 삶의 질 향상에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이는 건강 지지적인 환경을 조성하고 질병을 예방${\cdot}$관리하며 평생 건강서비스를 제공하고 건강한 생활양식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건강증진사업을 위한 기반으로 연구와 개발 강화, 법과 규칙의 조정, 기금과 인력과 같은 자원 확보는 필수적이다. 정부의 건강증진전략은 첫째 자원할당의 우선순위를 확보하는 것으로 건강증진, 질병 및 손상의 예방, 재활관련 사업에 더욱 많은 자원을 할당하는 것이며, 둘째로 국가차원의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행하는 것이다. 포괄적인 생애주기별 건강증진 프로그램(건강증진종합계획)과 모아보건, 학교보건, 산업보건, 그리고 만성질환예방프로그램 등이 포함된 포괄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행하는 것이다. 셋째로, 건강증진기금을 공공보건을 위한 하부기반과 건강증진 프로그램에 투자함으로써 사업의 하부기반을 정비하는 것이다. 건강증진사업을 위한 하부기반으로는 정책과 위임사항을 들 수 있는데, 국민건강증진법과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05년 6월에 서울시 의회를 통과한 건강도시추진위원회를 들 수 있다. 정부의 건강증진사업의 법적 기반은 1995년에 제정된 국민건강증진법이다. 국민건강증진법은 국민들이 건강에 대한 가치를 인식하고 책임의식을 함양하며, 올바른 건강지식을 갖고, 국민들이 건강한 생활양식을 실천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건강증진사업은 대중을 위한 보건교육과 건강상담, 영양관리, 구강보건관리, 질병의 조기발견과 치료를 위한 건강검진, 지역사회 건강문제에 관한 조사와 연구, 담배소비 감소와 건강증진부담금 부과를 통한 국민건강상태의 향상을 위한 사업이다. 훈련과정으로는 보건복지부에서 2005년부터 수행하고 있는 시와 지역을 위한 현장관리 프로그램과 서울시가 수행예정인 지역수준의 지도자 훈련과정이 있다. 건강증진사업의 원활한 진행을 위한 기금조성은 건강증진기금이 담배세로부터 조성되고 있으며 2004년 12월 31일 현재 담배 한 갑 당 500원으로 인상되어 부과되고 있다. 기금의 관리와 운용은 보건복지부가 담당하며, 기금은 건강한 생활양식형성에 대한 지원활동, 국민을 위한 보건교육과 교육자료 개발, 건강증진과 만성질환에 대한 연구, 질병의 조기발견을 위한 건강검진, 구강보건관리활동에 사용되고 있다. 향후 건강증진사업 투자계획은 1단계 (98-02년)에는 사업기반조성기, 2단계(03-06년) 보건소사업발전기, 3단계(07-11년)통합사업정착기로 구성되고 2단계의 인프라구축에 사용될 투자 비율은 30%에서 3단계에 15%로 감소될 예정이며, 사업실행 영역은 50%에서 65%로 확대될 계획이다. 2005년 건강증진사업의 중점목표는 건강증진사업의 지방 분산화, 건강증진사업의 근거마련, 사회적 형평성의 달성에 있다. 건강증진사업의 지방분산화를 위해서는 중앙에 관리센터가 설치되어 기획과 평가, 연구와 개발, 현장관리 훈련을 담당하게 되고, 지역관리센터에서는 자치적인 보건소 중심 건강증진사업의 수행과 평가를 진행하게 된다. 건강증진사업의 근거마련을 위해서 효과가 입증된 사업에 우선순위를 두며, 기획과 평가위원회를 설치하고, 건강증진사업의 평가결과를 환류 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다. 또한 건강증진포럼을 구성하며 현 건강조사 체계를 수정한다. 한편 형평성 제고의 측면에서는 저소득층, 노인, 장애인들과 같은 취약계층의 건강상태 향상을 위한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을 강화하고, 지역간${\cdot}$사회적 집단 간의 건강증진사업관련 형평성을 제고한다.

  • PDF

건강 나이 측정법

  • KOREA ASSOCIATION OF HEALTH PROMOTION
    • 건강소식
    • /
    • v.30 no.6 s.331
    • /
    • pp.32-33
    • /
    • 2006
  • 건강 나이라는 개념을 정리하여 대중적으로 알리기 시작한 사람은 미국 시카고 프리츠크의대의 마이클 로이젠 교수이다. 그는 2만 5,000여 건의 임상 연구를 토대로 질병, 습관, 유전, 환경 등 인간 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125가지 기준을 선정하여 건강 나이 계산법을 만들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서울백병원 가정의학과 김철환 박사가 미국의 자료와 우리나라의 임상 자료를 토대로 우리 실정에 맞는 '건강 나이 측정법'을 고안하여 보급하였다.

  • PDF

MEDICHECK - 속 편한 세상을 위한 소화기 정밀검진

  • 한국건강관리협회
    • 건강소식
    • /
    • v.39 no.9
    • /
    • pp.4-5
    • /
    • 2015
  • 현대인들은 각종 스트레스와 격무, 불규칙한 생활습관과 대기환경의 오염 등으로 각종 질병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따라서 미리미리 건강상태를 체크해볼 필요가 있다. 특히 소화기계통 질환은 현대인들이 가장 우려하는 질환 가운데 하나로, 이에 대한 정밀검진이 정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PDF

건강영향평가 및 건강도시 인증제 도입

  • Nam, Eun-Woo;Song, Ye-Ri-A;Park, Myeong-Bae;Mun, Ji-Yeong;Kim, Geon-Yeop;Park, Jae-Seong;Go, Kwang-Uk;Lee, Mu-C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romo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07-120
    • /
    • 2006
  • 연구 배경: 시민의 건강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건강한 도시환경의 조성이 필요하다. 건강도시 사업 계획을 위해서는 도시의 건강 수준 측정이 필요하다. 이때에, 도시 전반의 현실적 상태를 가장 잘 대표할 수 있는 지표를 선정하고, 선정된 지표가 도시건강의 개념을 충분히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이를 활용한 건강도시 인증제도의 도입을 통하여 건강도시사업을 활성화시키고 시민의 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연구 목적: 의료 건강생활실천 안전 환경 사회경제적 요인 등 각 지역사회의 건강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건강도시지표를 개발하고, 이를 통해 건강도시 평가 및 인증사업을 실시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연구 내용 및 범위: 국내 건강도시 사업 추진에 대한 현황 파악과 보건복지부에서 고려중인 건강도시 인증 방안에 대하여 국내외 동향을 파악한다. 이를 위해, 건강도시 인증에 필요한 지표를 개발하고, 건강도시 평가방안을 마련하여 이를 통한 인증 방안을 제시하도록 한다. 연구 방법: 관련 국내외 문헌 고찰 및 각종 자료를 분석한다.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국내 건강도시 현황을 파악함으로서 지역사회중심적인 건강증진사업의 새로운 모델로서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건강도시에서 사업을 개발 추진시 필요한 목표관리적인(Management by Objective) 건강도시사업에 대한 방안을 제시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국내 건강도시 인증사업의 지침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Effects of Neighborhood Environment on Residents' Subjective Health -A Case study of Changwon (지역주민들의 주관적 건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근린환경요인 분석 -창원시를 대상으로)

  • Lee, Kyunghwa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4 no.8
    • /
    • pp.4019-4027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neighborhood environment that have influence on residents' subjective health in Changwon. In the study, neighborhood's socio-economic environment, landuse, bicycle use environment and other personal socio-demographic variables were used as explanatory variables, and a statist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by applying multi-level analysis. Analysis shows that a high level of business density lowers the residents' health, and a high level of quality of bicycle facilities, safety of bicycle use and accessibility to main facilities have a positive effect on residents' health. Therefore, bicycle-friendly neighborhood will improve the residents' health, quality of bicycle facilities, safety of bicycle use and accessibility to main facilities should be used for planning factors to make a healthy neighborhood.

The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Grit on Learning Satisfaction: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y Strength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대학생의 그릿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가족건강성의 매개효과)

  • Ryu, Hyunsook;Kim, Jiyoung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12 no.4
    • /
    • pp.31-37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family strength as a paramete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learning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The grit scale, family strength scale and learning satisfaction scale were applied to data from surveys conducted on 194 students recruited from a university in G gun, C province.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family strength in relation to grit and learning satisfaction using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family strength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in the between grit and learning satisfaction. Therefore, it seems that grit directly and indirectly affect learning satisfaction through family strength.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importance of family strength for learning satisfaction and suggest that family strength should be included in developing learning satisfaction improvement program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e Environmental Health Engagement Profile (환경적 건강 관여 측정도구의 확인적 요인 분석)

  • Kim, Hyun-Kyoung
    • Korean Parent-Child Health Journal
    • /
    • v.17 no.1
    • /
    • pp.37-45
    • /
    • 2014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review measurements of environmental health behavior and assess the construct validity of Environmental Health Engagement Profile (EHEP)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ethods: The literature review was performed for selection of measurement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ith AMOS 19.0 was used for validation of EHEP. Results: The model fitness was not appropriate in the one-factor model; $x^2=91.11$ (df=5, p<.001), Comparative Fit Index (CFI)=8.19, Non Normed Fit Index (NNFI)=6.39, and 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 (RMSEA)=0.20. The model fitness was appropriate in the two-factor model; $x^2=3.19$ (df=1, p=.074), CFI=9.95, NNFI= 9.71, RMSEA=0.07. A modification of scale was found to be the most suitable for use in the investigation of environmental health behavior.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s that a two-factor model underlies the concept of environmental health behavior. The review of measurements can help nurses and researchers to assess the environmental health behaviors.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Health Damage Relief Regulation due to Environmental Hazardous Factors (환경유해인자로 인한 건강피해 구제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고찰)

  • Baek, Woonsuk;Shim, Younggyoo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 /
    • v.12 no.1
    • /
    • pp.75-100
    • /
    • 2013
  • Health damages such as pneumoconiosis and kidney damage, caused by environmental hazardous factors are being reported in health impact assessment conducted on environmentally vulnerable areas, including cement factories and refineries. Current legal system for relieving the environmental victims is not effective enough because the environmental health act does not specify the environmental hazardous factors to be considered for the relief.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system by making empirical analysis on health damages and afflicted people as well as on cases when afflicted people were able to be covered by remedy system. The results show that, insufficiencies of the relief system are due to the following reasons: First, current Environmental Health Act does not act well as a remedy system. Second, due to its unique nature of environmental health damage, it is hard to identify and prove the cause of health damage and unlawful actions of violators in the process of environmental dispute conciliation and lawsuits against polluters. This paper suggests following solutions on above mentioned problems. First, in defining the range and definition of environmental diseases, negative system should be used alongside with the current positive system. Second, we suggest adding the nature of public law to relief system, in order to ease the legal burden of proof. Third, in case when it is hard to identify the polluters and one cannot expect reliefs for their damage, it is possible to elevate the effectiveness of the relief measure by expanding scope of the search for possible environmental hazardous factors that caused the health damage. It is urgent to improve the relief system so as to secure the environmental rights of Koreans.

  • PDF

한국에서의 건강영향평가 도입방안

  • Han, Sang-Uk;Kim, Im-Sun;Han, Yeong-Han
    • Environmental engineer
    • /
    • v.24 s.256
    • /
    • pp.23-25
    • /
    • 2007
  • 건강영향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증가함에 따라, 본 연구는 건강영향평가의 최적 도입방안을 연구하는데 목적을 둔다. 한국의 지난 30년 동안 환경영향평가(EIA)를 수행하고 있다. EIA내의 스크리닝, 스코핑, 분석, 영향평가, 협의, 보고서 검토, 의사결정 및 모니터링 과정들은 HIA의 필수적인 부분이 될 것이다. 스크리닝 및 스코핑 과정은 아직 EIA내에 포함되어 있지는 않지만, 기존 EIA 과정내로 HIA를 통합하는 것은 한국에서 매우 효율적인 방안이 될 수 있다. 나아가, EIA내의 기존 공중-위생 항목을 보건 영향을 고려하기 위해 충분한 결정인지를 지닌 환경-보건항목으로 교체 및 확장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국의 경우, HIA의 초기 시행을 고려할 때 사회과학 및 심리학에 기초한 전향적 및 정량적 접근법이 보다 적합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체크리스트와 툴키트가 개발되었으며, HLA의 적용 및 보급에 있어 매우 유효한 지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