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환경위해성평가

Search Result 4,787,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황복을 이용한 연안 지역 생물독성평가 기술 개발

  • 이규태;이정석;김동훈;김진형;한경남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Toocicology Conference
    • /
    • 2003.10a
    • /
    • pp.156-157
    • /
    • 2003
  • 지금까지 국내에서는 해양과 하천, 호소 둥을 포함한 수생환경의 오염을 평가하기 위하여 COD 등 20여 가지의 일반수질항목을 조사하는 이화학적 분석 기술만을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이화학적 분석 결과는 중금속이나 유기화합물 등 다양한 유해물질의 생태계에 대한 위해성을 정확하게 반영하는 데에 많은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선진국에서는 생물을 이용하여 환경내 유해물질의 위해성을 평가할 수 있는 다양한 생물검정법을 개발하여 널리 이용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최근 여러 종류의 생물검정법을 개발하여 오염평가에 이용하고자하는 노력이 있어왔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본 연구진은 다양한 국내산 생물을 이용하여 수생환경내 유해물질의 생물독성 평가기술을 개발하고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수역 어류인 황복의 독성평가 시험생물로서의 적합성을 평가하고 이 생물을 이용한 독성평가기술의 표준화를 위하여 다양한 유해 물질에 농도별로 실험 생물을 노출하는 일련의 급성 독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 PDF

A study on priority ranking of air pollutants in Seoul (서울 지역에서 대기오염물질의 관리우선순위 선정에 관한 연구)

  • 김예신;임영욱;박화성;이용진;신동천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11a
    • /
    • pp.403-404
    • /
    • 2002
  • 미국 환경보호청이나 세계보건기구를 포함한 유럽 등의 환경관리 기관에서는 1980년대 이후부터, 환경오염물질로 인한 인체 피해 정도를 위해도라는 확률의 개념을 도입하여 표현하고, 그 결과를 이용하여 오염물질 관리를 위한 기준치 등을 설정해 오고 있다(EPA, 1993). 국내에서도 이와 같은 위해성평가 연구가 10여년 이상 진행되어 왔고, 최근에는 환경오염물질의 위해성 평가나 관리정책의 중요성을 공히 인식하면서 이들 개념이나 연구결과들이 적절히 활용되고 있다. (중략)

  • PDF

Guidance on Estimating Soil Persistence and Degradation Kinetics from Environmental Fate Studies on Veterinary Pharmaceuticals for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동물용의약품의 환경 중 위해성 평가를 위한 토양 잔류성 시험법 가이드라인)

  • Kwon, Jin-Wook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 /
    • v.30 no.1
    • /
    • pp.68-75
    • /
    • 2011
  • BACKGROUND: To assess and prevent the environmental impacts and risks by veterinary pharmaceuticals, Guidance on Estimating Soil Persistence and Degradation Kinetics from Environmental Fate Studies on Veterinary Pharmaceuticals for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was proposed. METHODS AND RESULTS: Proposed guidance was coined by VICH, EU guideline, OECD guideline and soil dissipation studies for the purpose of international harmonizing. Guidance was also modified from pesticide soil persistence testing guidelines of US, EU, and Korea, with practical approaches adopting in-use test guideline for Korea. CONCLUSION(S): Proposed guidance are consisted of three parts; Laboratory Soil Experiment, Field Soil Dissipation Study, and Estimation of $DT_{50}/DT_{90}$. Proposed guidance is to be available for the requirement for registration of veterinary pharmaceuticals with fit for purpose in Korea.

Application of Immunological risk accessment method for evaluating risk levels of Gabchun and Mankyung river up and down streams and seasonal change of the risk (수계환경 위해성 평가를 위한 면역학적 평가방법의 응용: 갑천과 만경강 상ㆍ하류의 위해성 평가 및 계절적 변화)

  • 심규정;정세영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Toocic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130-130
    • /
    • 2001
  • 산업사회의 발달로 말미암아 발생되는 여러 가지 문제 중 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막대하다 하겠다. 특히 환경오염물질의 하수누출은 생태계뿐만 아니라 인간의 생명을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위협하고 있다. 이러한 심각성을 인식하고 최근에 환경영향평가의 방법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방법으로는 환경오염물질이 미치는 독성은 아직 미지수로 남아 있다. 이러한 분위기에 편승하여 환경독성 평가방법 중 어류 또는 포유류의 면역계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는 방법을 개발하여 환경오염평가에 활용하고 있다. (중략)

  • PDF

제초제저항성 GM 들잔디(JG21)의 포장시험을 통한 생물학적 안전성평가

  • Bae, Tae-Ung;Gang, Hong-Gyu;Jeong, Ok-Cheol;Song, In-Ja;Seon, Hyeon-Jin;Go, Seok-Min;Im, Pyeong-Ok;Song, Pil-Sun;Lee, Hyo-Yeo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0.10a
    • /
    • pp.3-3
    • /
    • 2010
  • GM 들잔디의 환경위해성평가는 유전자변형생물체의 국가간이동등에 관한 법률 (2008년)에 안전관리 및 시험평가가 수행되었다. 일반적으로 GM 작물의 환경위해성평가는 도입 유전자의 안정적 발현여부,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온 식물과의 실질적 동등성, 화분비산에 의한 유전자이동성 검정, GM재배작물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 GM작물 및 유전자의 인체 및 동물에 대한 안전성 평가, 위해성 관리 등이 있다. 본 발표에서는 제초제저항성 GM 들잔디를 실용화 하기위한 환경위해성평가의 내용을 소개하기 위하여 GM 들잔디의 안전성평가를 수행한 포장시험에 대해서 간략히 발표하고자 한다. GM 들잔디는 제초제저항성 유전자가 식물체내에 1개의 복제수를 갖으며, 후세대에서도 안정적으로 발현되었다. 또한 TAIL PCR을 통한 도입 유전자의 삽입 부위를 확인하였고, 주변염기서열을 이용한 JG21 들잔디 만의 특이적 염기서열을 얻었다. GM 들잔디의 실질적 동등성검정은 격리온실 수준과 격리포장 수준에 생물학적, 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고, 일반 들잔디와 큰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GM 들잔디의 화분은 일광조건하에서 약 1시간 이내에 불활성 되었고, 실내의 실온조건에서는 3시간까지 활성이 유지되었다. GM 들잔디 재배포장 ($12m{\times}6m$ 크기)으로부터 화분비산 밀도는 3 m 이내에서 높게 나타났고, 9 m 이상의 거리에서는 낮은 빈도로 일정하게 나타났다. 화분비산에 의한 GM 들잔디 유전자이동성은 근접거리에서 약 15%가 관찰되었고, 반경 3 m 이내에서 거리에 따라서 2 ~ 0.12%의 유전자이동성이 관찰되었다. 각각의 시험모형에 따른 GM 들잔디와 일반들잔디 간의 교잡율을 조사한 결과 들잔디 교잡율은 GM 잔디의 면적과 거리에 의존적이었고, GM 들잔디 면적에 따라서 6-21%의 교잡율이 나타났다. GM들잔디의 인체위해성평가는 독성 및 알레르기 반응성을 검정하였고, 도입유전자 산물인 PAT 단백질은 독성 및 알레르기 반응성이 없음이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GM들잔디의 독성 및 알레르기 반응성을 검토한 결과 아플라톡신 등의 독성은 검출되지 않았으나, GM과 일반 들잔디 모두에서 화분 알레르기 반응성이 양성으로 나왔다. 그러나 GM들잔디에 도입된 유전자에 의한 알레르기 반응이 아닌 일반들잔디 화분에 가진 알레르겐에 의한 반응성이라 할 수 있다. GM들잔디의 비의도적 방출가능성을 조사하기위하여 시험포장외부의 자연환경에 대해서 환경모니터링을 수행한 결과 GM 들잔디의 유출 및 유전자이동 의한 제초제저항성 들잔디는 나타나지 않았다.

  • PDF

A Case Study on Health Impact Assessment of Hazardous Air Pollutants in Industrial Complex Development Plan (산업단지 계획 시 유해대기오염물질에 대한 건강영향평가 사례 연구)

  • Kim, Sang-Mok;Son, Eun-Seong;Seo, Young-Kyo;Baek, Sung-Ok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8 no.6
    • /
    • pp.616-625
    • /
    • 2019
  • Health impact assessment is implemented within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for the purpose of minimizing health damage by predicting the impact on human health following implementation of the development project. In health impact assessment, manual revision is required due to the lack of consistency in the method of estimating hazardous air pollutants emissions. This study estimated the emissions by calculating the emissions of hazardous air pollutants based on the actual industrial complex development cases and completed health impact assessments. As a result of risk assessment based on exposure concentration using CALPUFF model, the risk assessment results were different for each of the emission estimation methods, and manual improvement on the emission estimation method is needed.

Ecological Risk Assessment of 4,4'-Methylenedianiline (4,4'-Methylenedianiline의 환경매체별 위해성평가)

  • Hyun Soo Kim;Daeyeop Lee;Kyung Sook Woo;Si-Eun Yoo;Inhye Lee;Kyunghee Ji;Jungkwan Seo;Hun-Je Jo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 /
    • v.49 no.6
    • /
    • pp.334-343
    • /
    • 2023
  • Background: South Korea's Act on Registration and Evaluation, etc. of Chemicals (known as K-REACH) was established to protect public health and the environment from hazardous chemicals. 4,4'-Methylenedianiline (MDA), which is used as a major intermediate in industrial polymer production and as a vulcanizing agent in South Korea, is classified as a toxic substance under the K-REACH act. Although MDA poses potential ecological risks due to industrial emissions and hazards to aquatic ecosystems, no ecological risk assessment has been conducted.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ecological risk of MDA by identifying the actual exposure status based on the K-REACH act. Methods: Various toxicity data were collected to establish predicted no effect concentrations (PNECs) for water, sediment, and soil. Using the SimpleBox Korea v2.0 model with domestic release statistical data and EU emission factors, predicted environmental concentrations (PECs) were derived for ten sites, each referring to an MDA-using company. Hazard quotient (HQ) was calculated by ratio of the PECs and PNECs to characterize the ecological risk posed by MDA. To validate the results of modeling-based assessment, concentration of MDA was measured using in-site freshwater samples (two to three samples per site). Results: PNECs for water, sediment, and soil were 0.000525 mg/L, 4.36 mg/kg dw, and 0.1 mg/kg dw, respectively. HQ for surface water and sediment at several company sites exceeded 1 due to modeling data showing markedly high PEC in each environmental compartment. However, in the results of validation using in-site surface water samples, MDA was not detected. Conclusions: Through an ecological risk assessment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K-REACH act, the risk level of MDA emitted into the environmental compartments in South Korea was found to be low.

Soil Investigation Strategies for Soil Risk Assessment (토양위해성평가를 위한 합리적 토양조사방안 연구)

  • Jeong, Seung-Woo;An, Youn-Joo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
    • v.12 no.1
    • /
    • pp.36-43
    • /
    • 2007
  • The objectives of soil investigation in risk assessment of contaminated sites are to characterize the level and area of contamination, and provide the important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contaminated sites for later exposure assessment. This study suggests two soil investigation strategies to be considered in the soil risk assessment in Korea. First, soil investigation for characterizing soil properties is additionally required to the current investigation method that has focused on chemical analysis. Second, application of statistical concepts to soil investigation plan and soil data analysis are required for confidential decison-making on contamination and determining the exposure soil concentration. This study provides a practical soil investigation strategy to involve the current Korean soil analysis guidance with the minimum sample number required for satisfying statistical limi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