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환경성

Search Result 51,271, Processing Time 0.066 seconds

Vulnerability Assessment to Urban Thermal Environment for Spatial Planning - A Case Study of Seoul, Korea - (공간계획 활용을 위한 도시 열환경 취약성 평가 연구 - 서울시를 사례로 -)

  • Eum, Jeong-He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4 no.4
    • /
    • pp.109-120
    • /
    • 2016
  • This study aims to assess vulnerability in urban thermal environments of Seoul by using indicators frequently used in previous studies as well as effective indicators for spatial planning like urban and environmental planning. For this purpose, fifteen indicators that influence urban thermal environments such as heat waves, urban heat island effects, and urban micro-climates were identified based on literature reviews. Indicators for presenting urban structure and spatial properties were included; for example, building volume as 'exposure to climate', buildings completed before 1980 as 'sensitivity', and green space areas as 'adaptive capacity'. Among them, twelve indicators were applied to assess vulnerability in urban thermal environments of Seoul by using a GIS spatial analysis combined with fuzzy logic. The results show that the Gangnam area is identified as more vulnerable to a heat environment as compared to the Gangbuk area. In the Gangnam area, Seocho-gu, Gangnam-gu, Dongjak-gu, Yeongdeungpo-gu, Gangseo-gu were relatively high in vulnerability, while Dongdaemun-gu, Gangbuk-gu, Gwangjin-gu, Jungrang-gu were relatively high in the Gangbuk area. Gwanak-gu, Dobong-gu, Eunpyeong-gu, and Nowon-gu, which include forested areas, have low vulnerability in the sectors of 'exposure to climate' and 'sensitivity' due to the impact of Gwanaksan and Bukhansan. However, some areas with high vulnerability like Seocho-gu and Gangnam-gu may have lower vulnerability if the indicator 'status of air conditioning' from the sector of 'adaptive capacity' is used. This study could support the establishment of a practicable thermal environment policy and spatial planning to reduce heat-related risks in the field of urban and environmental planning.

Research on Monitoring System of Costal Environment Using Remote Sensing Technique (인공위성을 활용한 연안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연구)

  • Choi, Minha;SunWoo, Wooyeon;Kim, Hyeong-Rok;Lee, Jong-Hyeok;Lee, Jae-Hu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256-256
    • /
    • 2015
  • 해양환경에 관한 정보는 효율적인 연안 해역 관리를 위해 필수적이며, 해양환경요소에 대한 분석을 위해 현장 실측자료뿐 아니라 과거자료, 현재자료, 예측자료 등이 요구된다. 또한 연안환경 관리자뿐 아니라 해상관련 종사자, 어민 등이 해양환경 정보에 빠르게 쉽게 접근할 있는 기반이 마련되어야 한다. 최근에는 물에 관련된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제공해야 하는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물정보학(Hydroinformatics)이 크게 관심을 받고 있으며, 학술지 발간 및 학술회의 개최 등을 통해 이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연안환경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체계적인 연안환경 분석을 위해서는 방대한 시공간 자료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며,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위한 통합시스템이 요구되므로 다양한 관측방법 적용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위성을 활용하여 연안환경 변화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국외의 연구사례들을 분석하고, 우리나라 연안환경에 적합한 위성을 조사함으로써 연안환경 분석과 관련하여 관측 가능한 인자들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연안환경 모니터링을 보다 체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인공위성 기법의 특징들을 이해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향후 서해안지역의 연안 환경 변화 탐지를 위한 알고리즘을 구축하여 한반도 연안환경분석을 위한 인공위성의 유용성을 검증할 계획이다.

  • PDF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Integrated Watershed Soundness Index (통합 유역건전성 평가지수 개발 및 평가)

  • Ahn, So Ra;Jung, Chung Gil;Lee, Ji Wan;Kim, Seong 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320-32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자연환경, 수생태환경과 관련된 모니터링자료 및 수문/수질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모델링 자료를 이용하여 유역건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지수를 개발하고, 한강유역($34,148km^2$)을 대상으로 표준유역단위 유역건전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 EPA(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의 유역건전성 분석 사례를 개선하여 우리나라에 유역 특성에 맞는 통합 유역건전성 평가지수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하고자 하는 유역건전성은 유역이 본래 가지고 있는 자연적인 건전성을 평가하고자 하는 것으로, 평가를 위한 지표로 자연토지피복, 하천환경, 수문, 수질, 서식지, 수생태 관련 요소를 각각 선정하였다. 자연토지피복 및 하천, 서식지 유역건전성 평가를 위해서 DEM, 토지이용도, 하천도, 저수지, 습지자료를 이용하였고, 수생태 유역건전성 평가를 위해서는 6년간(2008년~2013년) 모니터링 된 TDI, BMI, FAI 자료로 이용하였다. 수문/수질 유역건전성 평가를 위해서는 SWAT 모형의 장기모의 결과를 활용하였으며, 30년간(1985년-2014년) 모의된 강수량, 총유출, 지표유출, 침투, 토양수분, 중간유출, 침루, 지하수 충진, 기저유출, Sediment, T-N, T-P 결과를 이용하였다. 각 평가지표로부터 표준유역별 sub-index를 도출하였으며, 6가지 sub-index를 이용하여 통합 유역건전성 지수를 산정하였다. 산정된 지수는 0부터 1까지의 값으로 나타나며, 1에 가까울수록 유역건전성이 좋은 유역을 의미한다. 연구결과 한강유역의 통합 유역건전성은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건전성이 안 좋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특정 표준유역에 대하여 자연환경, 수문, 수질, 수생태환경 각각의 유역건전성을 평가할 수 있었다.

  • PDF

Application of InVest-Habitat Quality Model for Assessing Watershed Health (유역 건전성평가를 위한 InVest-Habitat quality 모형의 적용)

  • Lee, Jiwan;Park, Jongyoon;Woo, Soyoung;Lee, Younggwan;Kim, Seo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51-451
    • /
    • 2021
  • 인간활동으로 인해 서식처의 변화, 서식처의 파편화를 비롯하여 기후변화, 토지이용의 변화 등으로 생태계 생물 다양성은 빠르게 손실되고있는 상황이다. 특히 생물 다양성은 생태계 복원력에 중요한 인자로서 유역의 건전성 회복을 위해 생물 다양성을 중요한 인자로 고려하려는 경향이 커지고 있다. 유역 건전성은 주로 큰 하천에서의 친수성, 서식처, 유량 및 수질 등에 적용되어왔고 국내에서는 최근 들어 유역 건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수량 및 수질관리, 환경문제 등의 해결을 위해 유역관리 차원에서 접근하려는 시도가 시작되었으나 어떠한 수단을 통해 생물다양성과 서식처 관리를 접근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20년 동안 도시화, 댐 건설 등 토지이용변화가 크게 발생한 금강유역(9,865 km2)을 대상으로 InVest 모델 중 서식처 가치평가 모델 (Habitat Quality Model)을 이용하여 유역의 서식처 가치를 평가하고 이를 수생태계 건강성 모니터링 자료와 비교하여 모형의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 PDF

호알칼리성 미생물의 산업적 이용

  • 고영희
    • The Microorganisms and Industry
    • /
    • v.14 no.2
    • /
    • pp.4-9
    • /
    • 1988
  • 대부분의 생물은 온화한 환경조건 즉 중성부근의 pH, 30~37 .deg.C, 1 기압하에서 적당한 농도의 영양과 염류를 함유한 환경속에서 생활을 영위하고 있으나 하등생물인 미생물 중에는 특수환경 즉 강알칼리성 또는 강산성 pH, 고온, 고압하에서 생육하며 고농도의 염을 요구하는 것이 있다. 이러한 특수환경 미생물은 자신의 환경조건에 적응할 수 있도록 생체 system을 구성하기 위하여 독특한 효소나 물질을 생성하므로 이를 산업적으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여러가지 특수환경 미생물 중 여기서는 호알칼리성 미생물의 산업적 이용면을 간단히 기술하고자 한다.

  • PDF

환경정책 - 생물다양성 보전 및 지속가능한 이용 정책과 방향

  • Kim, Jong-Ryul
    • Bulletin of Korea Environmental Preservation Association
    • /
    • s.411
    • /
    • pp.4-7
    • /
    • 2014
  • 환경부에서는 지난 3월 제3차 국가 생물다양성 전략을 수립하였다. 2050년까지 "생물다양성을 풍부하게 보전하여 지속가능하게 이용할 수 있는 대한민국을 구현"하는 장기 비전과, 2020년까지 "생물다양성 보전과 생태가치 제고를 통한 창조경제 견인"하는 중기 비전을 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6대 전략과 18개 실천목표를 마련하였다.

  • PDF

월경성 대기오염 규제 동향 : 유럽 및 북미 <1>

  • 기준학
    • Environmental engineer
    • /
    • s.167
    • /
    • pp.22-25
    • /
    • 2000
  • (1) 월경성 대기오염물질 규제협약의 배경 - 유럽지역 내 강산성 강수 피해지역의 확대되면서 스칸디나비아 반도의 산성 강수 피해는 유럽대륙과 영국으로부터 발생한 대기오염 물질에 의한 것임이 밝혀져 국가간 공동 노력의 필요성이 대두됨. (2) 협약의 목적 및 의의 - 협약의 목적 o (인접국의 환경보전) 대기오염물질의 장거리 이동에 따라 지역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위해효과를 줄여 자국뿐 아니라 인접국가의 자연환경을 보존하는데 있음. - 협약의 의의 o (

  • PDF

친환경농업 육성과 농산물 안전성 확보대책

  • 최병국
    • 물만먹고자라요
    • /
    • no.16
    • /
    • pp.41-44
    • /
    • 2005
  • 친환경농업은 농업과 환경의 조화로 지속가능한 농업생산을 유도해 농가소득을 증대하고 환경을 보전하면서 농산물의 안전성도 동시에 추구하는 농업으로 유기농업을 포함하여 저투입농법까지를 포괄하는 보다 환경친화적 농업을 의미한다. 즉 농업의 경제적 생산성만을 주로 고려하는 관행농업에서 탈피하여 농업과 환경, 식품안전성을 동시에 고려하는 농업이다.

  • PDF

Environmental Support of Independent Elderly Households in Senior Housing Cooperatives (미국 노인전용 조합주택의 거주환경 평가)

  • Lee, Hyunjeong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 /
    • v.14 no.5
    • /
    • pp.57-64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건설된 노인전용 조합주택으로 입주한 노인가구를 대상으로 거주자 측면에서의 주거환경 평가이며, 아울러 미국 조합주택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설문지를 통해 수집한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총 171가구가 본 조사에 참여하였다. 조사대상 가구주의 평균 연령은 76세였으며 교육 수준은 높았고, 가족형태는 부부나 독남가구가 대다수였다. 조사에 참여한 가구들은 저렴한 주택비용, 안전성, 주택유지 및 관리의 용이성, 주거 내의 접근용이성을 현 주거환경의 선택 동기로 손꼽았다. 현 주거환경의 평가를 물리적 환경, 사회적 환경, 그리고 거주자 참여방식의 관리에 대한 만족도로 크게 3가지로 나뒀으며, 물리적 환경 관련 요소가 주거환경 평가와 관련한 만족도에 가장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장기적인 주택관련 비용의 저렴화와 노인의 독립성을 위한 지원성이 강화된 물리적인 환경의 구축이 무엇보다 주거환경 평가시 중요하므로, 향후 노인전용 대안주택 계획시 이점에 대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유닉스 환경에서의 네트워크

  • Lee, Sang-Hun
    • 정보화사회
    • /
    • s.87
    • /
    • pp.12-17
    • /
    • 1995
  • 개방형 시스템의 표준 운영체계인 유닉스는 클라이언트 서버 컴퓨팅 환경의 중심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유닉스를 근간으로 네트워크를 구축할 경우 다양한 이점이 있다. 개방성, 확장성, 이식성, 상호운용성 등 유닉스가 갖고 있는 특징으로 대변되는 유닉스 환경에서의 네트워크에 대해 살펴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