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환경생태적 영향

Search Result 2,188,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The Effects of Reactive Nitrogen (Nr) Compounds on the Acidification in Soil and Water Environment Ecosystems and the Mitigation Strategy (반응성 질소화합물로 인한 토양 및 물 환경 생태계의 산성화 영향 및 대응방안)

  • Cho, Youngil;Kang, Hyesoon;Jeon, Eui-Chan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49 no.1
    • /
    • pp.1-10
    • /
    • 2016
  • The increases of industrial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human activities have disturbed the balance of natural nitrogen (N) circulation. These phenomena have induced that large amounts of N are to be present in excess in air, soil and water environment.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excess of reactive nitrogen ($N_r$) compounds on soil and water environment ecosystems through literature and case studies, and suggested the strategy of mitigating the acidification in soil and water ecosystems. $N_r$ moves to air, soil and water media, can be converted to different types, and interacts with other chemical compounds. As an efficient N management plan, the evaluation (application of monitoring and safety index) and the chemical restor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acidification in soil and water environment ecosystems are required to minimize the effects of $N_r$ as well as policies to regulate the various emission sources and amounts of $N_r$.

Fate and transport of PFCs in marine environment using EMT-3D (EMT-3D 모델을 이용한 해양환경중 PFCs의 환경동태 해석)

  • Kim, Dong-Myung;Roh, Kyong-Joon;Jo, Hyeon-Seo;Shiraishi, Hiroaki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07.11a
    • /
    • pp.193-195
    • /
    • 2007
  • 해양생태계로 유입되는 화학물질의 총합적인 평가 및 관리를 위해서는 동 화합물의 해양환경중의 거동 및 운영, 생태계에의 영향, 관리방안에 따른 화학물질의 변화 예측 및 리스크 평가 등을 행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하여는 화학물질에 대한 생태계 모델이 유용한 수단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화학물질에 적용할 수 있으며, 지역특성, 존재 데이터 상황, 대상 수산물의 특성을 고려하여 여러 상태함수 및 프로세스의 추가와 삭제가 가능한 3차원 생태계 모델(EMT-3D)을 사용하여 해양환경중의 PFCs 관련물질을 대상으로 그 적용성을 검토하였으며, 민감도 분석 및 시나리오 분석을 행하여 영향인자를 판별하고 대안에 따른 영향을 평가하였다.

  • PDF

Application of Stable Isotopic Niche Space to Large River Monitoring: Analysi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of the Seongchon Wier (안정동위원소비를 활용한 생태지위면적 분석의 수생태계 평가 가능성 분석: 영산강 승촌보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을 대상으로)

  • Seo, Dong-Hwan;Oh, Hye-Ji;Jin, Mei-Yan;Oda, Yusuke;Kim, Hyun-Woo;Jang, Min-Ho;Choi, Bohyung;Shin, Kyung-Hoon;Lee, Kyung-Lak;Lee, Su-Woong;Chang, Kwang-Hyeon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7 no.6
    • /
    • pp.685-694
    • /
    • 2018
  • We measured ecological niche space (ENS) using carbon and nitrogen stable isotope ratio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to estimate its applicability for large river assessment. In particular, we compared ENSs of selected macroinvertebrates between upper and lower area of Seungchon Weir in Yeongsan River to estimate the impact of weir on biological community. We also measured basic water quality and community indices including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dex (BMI) to estimate their correlations with calculated ENS. ENS was calculated using the Bayesian Stable Isotope in R statistics (package "SIBER"). The results showed that seasonal variations in water quality and community indices were found, but there was no apparent tendency between upper and lower area of the Seungchon Weir in June (before rainy season) and August (after rainy season). However, EN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markedly decreased across the weir in both June and August regardless of changes in water quality. This means the physical change of the stream due to the weir cause decrease of ecological isotopic niche space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regardless of water quality, suggesting physical modification by the weir can affect the interaction between habitat condition and macroinvertebrates. Therefore, the ecological isotopic niche space can be a useful supplementary indicator for the river ecosystem assessment.

`단계별 의사결정 모형` 통해 생태위해성 평가 - 컷-오프$\cdot$단계적 의사결정$\cdot$확률론적 모형 등 3단계로 평가 - 초기$\cdot$정밀$\cdot$통합평가 자료량=영향평가, 개발입장 진퇴양난

  • 이성규
    • Agrochemical news magazine
    • /
    • v.23 no.5 s.178
    • /
    • pp.10-13
    • /
    • 2002
  • 농약은 농산물 생산에 있어서 병해충 및 잡초를 방제함으로써 생산성을 높이는데 필수적인 농업자재로 인식하고 있다. 그런데 모든 화학물질이 그러하듯이 농약도 두 가지 양면성을 지니고 있다. 즉, 약효와 독성이다. 일반적으로 농약은 뿌려진 농약의 $0.1\%$이하만이 목표물이라고 할 수 있는 해충 및 잡초, 이병작물에 떨어지고 그 외는 비표적 생물 및 환경매체에 떨어짐으로써 생태계에 영향을 준다고 한다. 약효는 농약으로서 지녀야 하는 당연한 기능이지만 독성은 가능한 줄여야 할 기능이기 때문에 농약회사에서는 약효는 높으면서 사람과 생태계에는 좀 더 안전한 농약을 개발하기 위해 애쓰고 있다. 우리나라는 전세계적으로 볼 때 농약을 비교적 많이 사용하는 나라로 알려져 있으나 경제규모 및 사용량에 비해서 생태계에 대한 농약관리는 앞서가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농약의 생태위해성 평가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이번호부터 연재를 통해 생태위해성에 대한 기본개념을 소개함과 동시에 국내외 농약등록제도에서의 생태위해성 의사결정 과정을 비교하고 마지막으로는 국내 농약관리제도에 있어서 생태독성분야의 의사결정에 대하여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 Range Due to the Dam Operation at the Downstream (댐 운영이 하류하천에 미치는 영향권 범위 설정에 관한 연구)

  • Park, Bong-Jin;Kim, Hyeon-Sik;Jung, Kwan-Sue;Ji, Hong-K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444-448
    • /
    • 2008
  • 본 연구는 댐이 하류하천에 미치는 영향권 산정을 위한 지표를 선정하고, 계층분석기법을 적용하여 선정된 평가지표의 중요도를 조사하였다. 댐의 영향권을 산정하기 위하여 수리 수문적, 지형적, 환경 생태적, 사회적 영향이라는 4개 지표와 댐계획홍수량 등 38개 평가항목을 선정하였다. 계층분석법을 적용 전문가 집단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4개 지표와 38개 항목의 중요도를 조사하였다. 평가지표는 수리 수문적 영향권이 1순위, 환경 생태적 영향권이 2순위, 지형적 영향권 및 사회적 영향권이 각각 3순위와 4순위 이었으며, 평가항목은 댐설계방류량이 1순위, 하천의 기본 및 계획홍수량이 2순위, 계획홍수량비가 3순위, 유역면적비가 4순위, 하류댐 배수위가 5순위로 조사되었다.

  • PDF

우리나라 물환경의 일부 의약품과 항생제의 생태위해성평가

  • Kim, Yeong-Hui;Park, Su-Jeong;Jeong, Jin-Yong;Park, Jeong-Im;Kim, Pan-Gi;Choe, Gye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Health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169-174
    • /
    • 2005
  • 의약품은 일반적으로 치료를 목적으로 제조되었기 때문에 독특한 약리학적 작용을 띤다. 의약품잔류물이 환경 중으로 배출되어 비표적 생물(non-target organism)에 노출될 경우 의도하지 않은 독성영향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널리 사용되는 10개의 의약품(4종의 일반 의약품 acetaminophen, carbamazepine, diltiazem, cimetidine과 6종의 설파계 항생제 sulfamethoxazole, sulfamethazine, trimethoprim, sulfachloropyridazine, sulfadimethoxine)을 대상으로 환경중 예상잔류농도와 생태 무영향농도를 예측하여 대상의약품의 생태위해성을 평가하였다. 연구대상 의약품의 예측환경농도는 0.14 ${\sim}$ 16.5 ppb이었으며, 예측환경농도와 예측무영향농도비(PEC/PNEC ratio)를 산출한 결과 acetaminophen과 suifamethoxazole이 각각 1.8과 6.3으로 나타나 이 의약품들이 물생태계에 미치는 위해성에 대한 정밀한 추가연구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 PDF

The Effects of Capital and Ecological Variables on Volunteering Among Older Adults (자본 및 생태환경 요인이 노인자원봉사활동에 미치는 영향)

  • Kim, Myeong-Suk;Ko, Jong-Woo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4 no.11
    • /
    • pp.236-248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uman, social and cultural capital and ecological variables on volunteering among older adults. In this study, three variables of education, income and physical health were examined as human capital factors, two variables of formal and informal interaction as social capital factors, three variables of religion, cultural organization participation and quality of life as cultural capital factors, and three variables of existence of spouse, housing tenure and residence area as ecological factors. In addition, two variables of volunteering participation and continuous volunteering participation intention were considered as dependent variables. For this study, "Senior Job Replacement Project Participants" data collected by the Korea Labor Force Development Institute for the Aged were used and analyzed employ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echnique. This study found that three human capital variables(education, income, physical health) had positive effects on volunteering participation and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ion among older adults; of the two social capital variables, informal inter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both volunteering participation and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ion, whereas formal inter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ly on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ion; three cultural capital variables(religion, cultural organization participation, quality of life) had positive effects on both volunteering participation and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ion; and of three ecological variables, housing tenure and residence area had positive effects on volunteering participation and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ion, whereas existence of spouse had no significant effects on dependent variables.

Environmental spatial data-based vegetation impact assessment for advance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환경공간정보를 이용한 식생부문 환경영향평가 고도화 방안 연구)

  • Yuyoung Choi;Ji Yeon Lee;Hyun-Chan Sung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40 no.1
    • /
    • pp.99-111
    • /
    • 2022
  • Vegetation is the basis for biodiversity conserv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IA), which is the most direct and efficient policy measure to prevent degradation of nature, vegetation-related assessment has limitations as it is not based on quantitative and scientific methods. In addition, it focuses on the presence of protected species; hence, it does not take into account the role of vegetation as a habitat on a wide-area scale. As a way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quantification and advancement of future EIA on vegetation. Through the review of previous studies, core areas, connectivity, and vegetation condition were derived as the items to be dealt within the macroscopic aspect of vegetation impact assessment. Each item was spatially constructed using land cover maps and satellite imageries, and time series change analysis was perform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vegetation has been continuously deteriorating due to development in all aspects, and in particular, development adversely affects not only the inside of the project site but also the surrounding area. Although this study suggested the direction for improvement of the EIA in the vegetation sector based on data analysis, a more specific methodology needs to be established in order to apply it to the actual EIA process. By actively utilizing various environmental spatial data, the impact of the development on the natural ecosystem can be minimized.

An Advanced Methodology of Landscape Character Assessment (진보된 경관특성평가 방법론)

  • Kim Keun-H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3 no.3 s.110
    • /
    • pp.1-17
    • /
    • 2005
  • 오늘날 지속가능한 발전의 주요 목적으로서 환경의 효과적 보호와 신중한 자연자원의 이용이 강조된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성취하기 위해서 종합적인 경관 정보가 필수적이다. 한국의 경우, 도시화는 전통적인 농촌 경관 변화, 산림 손실과 단편화 등 많은 환경 문제를 야기했다. 특히 산림이 높은 생물 다양성 가치를 갖고 있는 한국으로서는 산림 손실과 단편화는 생태관점에서 보면 아주 치명적이다. 현재 개인 또는 공공 부분 개발 프로젝트를 위한 환경 영향 평가의 일부분으로 시각 경관 영향 평가가 요구된다. 그러나 이런 시각 경관 영향 평가는 단지 전체 경관의 일부분의 경관 정보만을 제공하고, 특히 현재 경관 평가에서는 경관의 생물 다양성 가치를 평가하지 않는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극복하고 한국 상황에 맞는 지속가능한 경관 계획을 위한 필수적인 종합 경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경관 특성과 생물 다양성 가치 평가를 위한 생태 이질성 지수를 결합한 진보된 경관 특성 평가 방법론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방법론을 통해 경관 특성 평가에서 12가지 경관 특성 유형(type)을 분류하였고 그것의 분포, 경관 특성적 형태, 경관 특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개발 압력 등을 분석하고 서술하였다. 분석 결과, 주택과 산업 단지 개발, 농지 형질 패턴 변경, 수변 공간 개발 등이 주요 개발 압력으로 나타났다. 경관 생태 이질성 평가 결과에서는 도시근교 지역과 농촌 경관 특성 유형 지역에서 잠재적 생물 다양성 가치가 높았다. 산림 지역 경관 특성 유형에서는 잠재적 생물 다양성 가치가 중간 수치로 나온 반면 도시 경관 특성 유형에서의 잠재적 생물 다양성 가치는 아주 낮았다. 비록 제한된 데이터와 경관 생태 이질성 지수 사용으로 인한 문제점들(스케일 종속적, 변화 패턴이 예측하기 힘든 지수, 자의적인 분류시 다른 결과 발생, 더 종합적인 생물 다양성 잠재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다른 경관 생태 지수 필요 등)이 제기되었지만, 이 연구에서 제시된 진보된 경관 특성 평가 방법론을 통해 얻은 종합적인 경관 정보가 지속가능한 경관계획을 할 때 어떻게 잘 활용되어질 수 있는지 예로써 증명하였다. 그 결과 진보된 경관 특성 평가 방법론이 지속가능한 경관 계획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