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환경생태유량

Search Result 341, Processing Time 0.03 seconds

The Estimation of Sand Dam Storage using a Watershed Hydrologic Model and Reservoir Routing Method (유역 수문모형과 저수지 추적기법을 연계한 샌드댐 저류량 산정)

  • Chung, Il-Moon;Lee, Jeongwoo;Lee, Jeong Eun;Choi, Jung-Ryel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28 no.4
    • /
    • pp.541-552
    • /
    • 2018
  • The implementation of drought measures in the upstream areas of river basins is seldom considered with respect to water supply. However, the demand for such measures is increasing rapidly owing to the occurrence of severe droughts, and interventions on streams and the water supply are needed. Physical interventions are an option to prevent streams from becoming dry and to maintain stream water flow, but dam construction is challenging because of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considerations. Here, a feasibility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potential effects of sand dams, which are widely used in arid regions in Africa. The SWAT-K model, which is a hydrologic model used for Korean watersheds, is used to estimate the flow rate of water in an ungauged watershed. The changes in water storage of the sand-dammed reservoir and in downstream flow rates are estimated for two types of sand dam (natural and dredged). The results show that sand dams are capable of increasing the downstream flow rate during normal conditions and of mitigating water supply problems caused by the withdrawal of water during drought periods.

Seasonal Variations of Nitrifying Bacteria in Agricultural Reservoir (농업용 저수지에서의 질화세균의 계절적인 변화)

  • Lee, Hee-Soon;Lee, Young-Ok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35 no.3 s.99
    • /
    • pp.152-159
    • /
    • 2002
  • The seasonal variations of nitrifying bacterial population sampled from 3 sites in Moon-Chon reservoir were analyzed by in situ hybridization with fluorescently labeled rRNA-targeted oligonucleotide probes from August 2000 until July 2001. In addition, physico-chemical parameters such as temperature, pH, chi-a and DOC were measured to determine correlations between those factors and the size of nitrifying bacterial populations. Total bacterial numbers varied in the range of $0.8{\sim}1.5{\times}10^6\;cells/ml$ independent of sites and had the maximal values in March at all 3 stations. The ratio of eubacteria to total bacteria ranged from 44.9% to 79.5%, and the ratio of each nitrifying bacteria to eubacterial numbers reached only $1.0{\sim}7.4%$. The variations of ammonia-oxidizing bacteria ranged from $1.1{\times}10^4$ to $3.0{\times}10^4\;cells/ml$ without noticeable peak values whereas those of nitrite-oxidizing bacteria varied in $1.3{\sim}5.7{\times}10^4\;cells/ml$ with the increasing tendency in winter regardless of the sites. Moreover it was observed that the numbers of nitrite-oxidizing bacteria were higher than those of ammonia-oxidizing bacteria. Total bacterial numbers correlated with water temperature (r = 0.355, p<0.05) and DOC (r = 0.58G, p<0.01) positively whereas nitrite-oxidizing bacteria correlated with temperature (r = -0.416, p<0.05) and pH (r = -0.568, p = 0.001) negatively. In addition, DOC represented good correlations with eubacterial numbers (r = 0.448, p<0.01).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emperature, DOC and pH might be one of the main factors affecting variations of bacterial populations in the aquatic ecosystem. It was also suggested that FISH method is a useful tool for detection of slow growing nitrifying bacteria.

A Study on the Irrigation Reservoir to prevent Drying Stream (건천화방지를 위한 농업용수 개발방안)

  • Choi, Nag-Weon;Choi, Hyun-Il;No, Hwang-Won;Jee, Hong-K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390-394
    • /
    • 2009
  • 우리나라의 강우특성 및 지형여건상 최근 농촌지역 하천의 건천화가 급속히 진행되어 전통적인 농촌지역 하천의 기능이 줄어들고 있다. 하지만 건천화 원인에 대한 과학적인 분석은 극히 저조하다. 농촌지역 소하천의 건천화 원인은 다양하게 존재하고, 각각의 원인에 따라 방지 대책이 달라야 할 것이다. 그러나 현실은 일률적인 방지책을 시행하고 있어 그 효율성이 불확실한 상태이다. 농촌지역 소하천 건천화 원인으로 추정되고 있는 기존 저수지 유지수량 미확보, 유휴지 난개발, 지하수 과다사용, 무분별한 하천개수, 하천 퇴사 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확한 원인분석 없기 때문에 개략적인 방지 대책이 시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중소하천의 생태환경 건전성을 위해서 농업저수지를 비롯한 농업용수의 하천유지용수 공급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적정한 농업용수의 하천유지유량 공급방안 정립이 필요하다. 또한 농촌 소하천 유역에서 상류에 위치한 농업용 저수지는 우선적으로 농업용수를 공급함에 따라 소하천들은 수문순환 과정이 인위적으로 단절되어 심각하게 건천화되어 가고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안정적인 하천유지용수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농촌 소하천의 건천화에 따른 하천수의 부족은 용수확보의 불가능, 수질오염의 심화 등의 문제를 초래함으로써 경제적인 측면에서 많은 손실을 가져오고 있으며 하천이 갖추어야할 친수공간으로서의 기능도 수행하지 못하기 때문에 많은 주민들이 여가 활용과 휴식공간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 농업용저수지의 시설규모를 확장하여 추가적으로 하천유지용수를 확보함으로써 하천의 건천화를 예방하고 향후 확장 가능한 농업용수 전용저수지의 설계방향을 제시코자 한다. 기존저수지의 지역적 요소 및 환경적 요소를 감안하여 저수지 증고에 의한 재개발 방향을 검토 분석하여 물부족에 의한 하천 건천화를 예방하고 추가 용수량의 확보를 할 수 있도록 노력을 해야겠다.

  • PDF

Characteristics of Hydrogen Generation from Methanol and Ethanol using Cylindrical Barrier Discharge (실린더형 무성방전을 이용하여 메탄올과 에탄올로부터 수소발생 특성)

  • Park, Jae-You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24 no.8
    • /
    • pp.32-39
    • /
    • 2010
  • Hydrogen is sustainable energy without environment pollution. In this study, experiments and analysis of hydrogen generation from gases methanol and ethanol using cylindrical barrier discharge reactor was carried out. The discharge reactor to generate hydrogen molecules used in this work is one type of Non-thermal Plasma (NTP) reactors and neon-transformer as power source to make a plasma was used. Hydrogen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as parameters of applied voltage, concentrations of methanol and ethanol, and flow rates of carrier gases($N_2$). Hydrogen generation increased according to applied voltage and produced largely in case of methanol compared with ethanol. It is thought that the reason is deeply related with those different chemical structures. Energy yield of hydrogen generation in case of ethanol decreases according to increasing applied voltage, but that in case of methanol has a peak at applied voltage of 22[kV] and decreased. Specifically, hydrogen generation increased with increasing applied voltage, but low voltage was better, which is the best parameter in the aspects of energy efficiency.

Comparison of water qualities and pollutants discharged to the East sea of Korea from Namdae and Yeongok stream in the Gangneung city (강릉 남대천과 연곡천의 수질과 동해 연안으로 방류되는 오염물질의 량 비교)

  • Yoon Yi Y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6 no.1
    • /
    • pp.68-77
    • /
    • 2003
  • The Water quality of Namdae and Yeongok stream, located in the Kangnung City, and pollutants discharged to the east sea of Korea were investigated during april to November 2002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stal pollution phenomena. The water qualify grade of Namdae stream vary between II and V of water standard. On the other hand, that of Yeongok Stream is keeping I or II. The temporal and spacial variation of Namdae stream are higher than Yeongok stream. The water pollutants discharged to the east sea of Korea from Yeongok stream are lower 15.5 times for BOD, 2.6 times for COD, 1.7 times for T-N, 6.9 times for T-P than from Namdae stream, of which water flux are 1.4 times higher and contain much more of pollutants than Yeongok stream. It may have some effect on the costal ecosystem according to their pollutant flux.

  • PDF

Impact of Water Temperature Fluctuation due to Hydropeaking on the Downstream (발전방류로 인한 수온의 변동이 하류하천에 미치는 영향 분석)

  • Choi, Byungwoong;Choi, Sung-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18-122
    • /
    • 2016
  • 하천은 하천에 서식하는 동 식물뿐만 아니라 인간에게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인간의 활동과 산업화에 의해 많은 인위적인 교란을 받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수자원의 이용/발전에 의해 건설된 댐과 저수지를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댐과 저수지는 하천 상 하류간의 생태학적 단절을 초래하여 생물 서식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하류하천에 서식하는 생물들에 대한 영향을 고려하지 않고 건설되는 실정이다. 특히, 발전방류로 인한 급격한 유량의 변화와 온도의 변화는 댐 하류하천의 수생태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댐에서의 온도 차이를 가지는 방류로 인해 국내에서의 운문댐, 보령댐 등 일부 댐에서는 벼 수확량 감소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댐 발전방류로 인한 수온의 변동이 하류하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발전방류로 인한 하류하천의 수리분석과 수온 변화를 모의하기 위하여 CMS-Flow 모형을 사용하였다. 괴산댐 하류에 위치한 달천의 2.3 km구간을 대상구간으로 하였으며, 달천 상류에 위치한 괴산댐은 빈번하게 발전방류를 발생시키고 있다. 발전방류로 인한 수온의 변동이 하류하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1년 동안의 발전방류 조건에 대하여 모의를 수행하였다. 봄, 여름, 가을, 겨울 총 4계절로 구분하여 발전방류로 인한 수온의 변동이 미치는 범위를 거리에 따라 분석하였을 때, 봄은 1.73 km, 여름은 1.92 km, 가을은 1.74 km, 겨울은 2.01 km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류되는 수온과 하류하천의 수온 차이가 크게 발생하는 여름과 겨울의 경우가 봄과 가을에 비해 영향을 미치는 범위가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댐 발전방류로 인한 하류하천의 수온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댐 하류하천에서 서식하는 생물들을 고려한 댐 운용 계획을 수립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Velocity Fields in the vicinity of Step Weir (계단형 보 주변 유속장 분석)

  • Ryu, Yong Uk;Kang, Joon Gu;Yeo, Hong Koo;Lee, Nam Joo;Kim, Ji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454-454
    • /
    • 2016
  • 하천의 치수안정성 확보 및 수심유지, 생태복원 등과 같은 다양한 요구를 충족하기 위한 보의 성능 개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계단형 보는 재료에 의한 폭기효과 및 서식처 효과 등의 환경적요소를 내포하고 있다. 기존 연구는 표면류 흐름특성을 검증하고 유량변화에 따른 하류단 도수발생위치 변화를 분석하는 등 계단형 보에 대해 수리특성을 정량화한 연구가 대부분이며 흐름변화에 따른 유속장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능성 친환경 횡단 구조물 유형 중 하나인 계단형 보의 안정성 검토를 위한 수리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함으로써 구조물 안정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자체 및 하류 보호공 주변의 유속 분석을 통한 흐름 특성을 검토하고 설계시 외력 고려를 위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계단형 보모형에 대해 수리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폭 0.24 m, 총 길이 3.70 m, 높이 0.30 m인 순환실험수로를 이용하였으며, 계단형 보 모형은 5단으로 단 높이 2 cm와 단 길이 5 cm이며, 보 높이는 10 cm, 보 길이는 25 cm 모형으로 실험하였다. 하류에 전도식 게이트를 설치하여 하류 수위를 증가시키면서 보 하류부에서 발생하는 완전도수부터 하류수심이 보 높이를 초과하는 잠김흐름 조건에 대해 실험하였다. 측정기법은 입자영상측정계(Particle Image Velocimetry; PIV)를 이용하였으며, 상류영역부터 하류영역에 대해 보 주변 흐름의 순간적 유속분포를 확인하였다. 또한 측정된 전반적 흐름 양상에 대해 통계적 수리분석을 수행하였다. 흐름특성에 대한 연구는 향후 계단형 보의 물받이 길이 및 보의 적정 규모 설계시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Analysis of Water Quality and Aquatic Ecosystem Improvement Effect According to TMDL in Jinwi River Watershed (진위천수계의 오염총량관리에 따른 수질 및 수생태계 개선 효과 분석)

  • Im, Jihyeok;Kong, Dongsoo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30 no.6
    • /
    • pp.355-360
    • /
    • 2021
  • As the domestic water management policy shifted from concentration-oriented water management to load management-centered Total Maximum Daily Load (TMDL), water quality and aquatic ecosystems brought changed. However, it was difficult to determine whether the water quality and the health of the aquatic ecosystem improve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TMDL due to changes in pollutant sources and discharge fluctuations ect, so the effect was analyzed using a log-linear model and biological indicators (Benthic Macroinvertebrates). As a result, BOD and T-P concentrations in the Jinwi River Watershed were reduced by 30% and 35%, showed the effect of improving water quality, however the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dex (BMI) downgraded from grade D to grade E. Therefore, efforts to cultivate ecologicalrivers are necessary to upgrade the health of the aquatic ecosystem in the river watershed.

A Economic Feasibility Study on Environmental Ecology Flow Supply Plan using Agricultural Reservoir - Focused on Dongbok River - (농업용저수지를 이용한 환경생태유량 확보방안 경제성 비교 연구 - 동복천을 중심으로 -)

  • Park, Jin-hyeon;Ko, Jae han;Sung, Mu-hong;Jung, Hyoung-mo;Park, Tae-sun;Kwak, Yeong Cheol;Choi, Woo-young;Boem, Jina;Jeung, Minhyuk;Yoo, Seung-hwan;Yoon, Kwang-si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
    • v.61 no.5
    • /
    • pp.33-47
    • /
    • 2019
  • The environmental ecological flow (EEF) of stream or river will be designated according to the enforcement of the Water Environment Preservation Act. Previous researches by Ministry of Environment have proposed agricultural reservoirs as alternative resources to secure river flow where multi-purpose dam does not exist. However, agricultural reservoirs are constructed for the supply of agricultural water, and in fact, there is not a sufficient amount of water to be supplied to rivers as EEF.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economic feasibility of securing EEF through the remodeling or construction of agricultural reservoirs. We investigated water balance of reservoir through simulation of three types of water supply demands such as agricultural water, agricultural water and river maintenance flow, and agricultural water and environmental ecology flow. The economics analysis was conducted on water supply demands and corresponding remodeling or construction of reservoir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method of securing through heightening existing reservoir enhancement is economically feasible. However, it was not possible to secure all the amount of the EEF due to the size limitation of existing reservoirs or constrain of the watershed for newly built reservoir. Therefore, in order to secure all of the EEF, the utilization of other alternatives as well as agricultural reservoirs should be considered. This study demonstrated the method of economical feasibility study of securing river maintenace flow and EEF using agricultural reservoirs and other considerations.

Flow Characteristics through the Singok Submerged Weir in Downstream of the Han River (한강하류 신곡수중보의 흐름특성)

  • Kim, Su 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0-20
    • /
    • 2020
  • 신곡수중보는 한강종합개발사업(1982년~1986년) 중 하도정비로 인하여 상시 수위가 저하됨으로써 조수의 과도한 역류 등으로 발생하는 이수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상류에 설치된 잠실수중 보 사이의 수위유지 및 하천 공간 이용의 극대화, 연안 농경지의 용수공급 및 하천환경 보전을 목적으로 건설되어, 「잠실 및 신곡수중보 관리규정(1986)」 및 「신곡수중보 운영 매뉴얼」에 의해 관리·운영되고 있다. 신곡수중보는 준공된 이래로 한강하류의 흐름 해석에 있어 중요한 기준과 경계로서 이와 관련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신곡수중보로 인한 흐름의 변화가 하상과 생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와 하구역에서의 조위 및 흐름특성과 밀도류의 거동에 관한 1, 2차원 수치해석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1, 2차원 수치해석연구로 한정되었던 신곡수중보 흐름특성에 관련하여 실제 수문 운영 방식을 반영한 3차원 수치해석을 수행하여 구조물의 상·하류에서 발생하는 와류 및 이차류와 같은 3차원적 흐름 구조와 이에 따른 지형의 침식·퇴적 및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 등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우선, 신곡수중보 운영 매뉴얼과 실제 가동보 운영시스템을 비교하여 수문개방 시기, 유량 기준의 수문 운영 방법, 수위 변화에 따른 수문 운영 방법, 수문개방 순서를 분석하고 신곡수중보 주변 흐름에 대한 3차원 수치해석모형 구축을 위한 경계조건을 산정하였다. 수치해석에는 상용프로그램인 FLOW-3D를 사용하였으며, 경계처리기법 및 난류해석을 위해 FAVOR 기법과 RNG k-ε 모델을 적용하였다. 수문 동시개방 개수, 수문 개방 위치 및 순서, 개방 높이에 대한 조건을 변화시켜 구성한 시나리오에 대해 수치해석 후, 유속, 난류에너지, 이차류 등의 흐름특성을 분석하고 상·하류 수위차에 따른 방류량을 산정하여 시설물의 관리안을 도출하고 운영 매뉴얼의 개정안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