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환경보전 효과

Search Result 264,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Pollution-Free Approaches of Research Works on Forest Products Field (공해(公害)를 줄이기 위한 임산학(林産學) 연구(硏究)의 방향(方向))

  • Cho, Nam-Seok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21 no.3
    • /
    • pp.7-21
    • /
    • 1993
  • 임산공업으로부터 발생되는 폐기물은 오염원으로서 그 위험도가 그다지 크지 않으나, 많은 공장들이 주거지와 인접해 있기 때문에 심한 오염원을 제공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오늘날의 임산공업은 공장설립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사항으로서 환경에 미치는 충격을 최소로 하는 방향이며, 기본적으로 무공해 측면에서 공장의 설계 및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임산공업으로부터 발생되는 오염원의 종류와 각각의 오염원들이 환경에 미치는 효과를 개관하였으며, 이들 오염원으로부터 환경을 지키려는 최근의 기술개발 및 연구 현황을 검토하였다. 환경오염을 줄이는 방법은 막대한 경비가 소요되기 때문에 원자재의 사용량을 줄이거나, 에너지 이용효율 등을 높이는 방향에서 노력하고 있지만 폐기물처리를 위한 효과적인 대안은 없다. 그러나 정부 및 산업체가 환경을 보전한다는 차원에서 어느정도의 처리수준이 적절한지에 과한 검토를 계속하고 있다. 그리고 폐기물의 회수 및 재이용이 환경을 보전하는데 큰 역할을 한다는데 정부, 지역사회, 산업체 및 개인간에도 그 인식이 커가고 있다.

  • PDF

Development of Eco-Friendly Eco-Mat for the vegetation-Restoration (생태복원을 위한 친환경적 식생매트 개발)

  • Park, Hyun-Jun;Kim, Sun-Joo;Kim, Chang-Bae;An, Min-woo;Choi, Kyoung-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2112-2116
    • /
    • 2009
  • 최근 자연환경보전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대두로 하천환경의 보전과 개선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기 시작하였으며, 하천의 환경적 기능을 고려하는 관리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이를 반영하는 것이 최근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하천기능 복원기술의 개발이다. 이는 하천정비나 관리에 있어서 하천의 생태적 기능에 초점을 맞추는 것으로 1990년대 이후 확산된 환경기능을 고려한 하천정비 및 관리보다 구체화된 하천의 생태환경기능의 회복을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내구성이 강화된 식생매트를 개발함에 있어 라텍스를 이용한 친환경 코팅 매트를 개발하여 식물의 정착효과를 비교분석하여 효율적인 저수호안공법을 제시 하였다.

  • PDF

폐포장재 재활용 동향 및 향후 발전방향

  • Kim, Su-Chan
    • Bulletin of Korea Environmental Preservation Association
    • /
    • s.419
    • /
    • pp.17-19
    • /
    • 2015
  • 폐포장재의 재활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수 있었던 것은 분리수거의 체계화, 선별의 효율화, 재활용 기술발전이라는 삼박자가 조화를 이룬 결과라 할 수 있겠다. 특히, EPR제도를 통한 지원확대는 재활용의 양적 성장은물론 기술개선 등의 질적 성장에도 큰 효과를 가져 왔다. 포장재 재질별 특성에 맞게 적정 재활용 방법 및 체계가 구축되었다고 할 수 있겠다.

  • PDF

POLICY & ISSUES 기획특집_2 - 국내 배출권거래제 세부 운영방안 마련을 위한 과제

  • Lee, Sang-Yeop
    • Bulletin of Korea Environmental Preservation Association
    • /
    • s.403
    • /
    • pp.19-21
    • /
    • 2013
  • 국내 배출권거래제는 2015년 1월부터 도입된다. 정부는 그 동안 시행령을 마련하였고, 앞으로 기본계획과 할당계획을 확정할 예정이다. 기본계획과 할당계획은 구체적인 최종 세부 운영규칙과 관련된 사항이다. 각 운영요소의 대안별 선택 및 대안간 평가에 관한 실증적 검토, 운영요소 간 상호 연계 효과 등에 관한 최종적 점검이 필요하다.

  • PDF

Development direction of environment water in the reconstructed agricultural reservoirs (농업용 저수지에 창출된 환경용수의 전개방향)

  • Kim, Jin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105-105
    • /
    • 2015
  • 환경용수는 수질보전, 친수환경 제공, 생물다양성 보전 등을 위하여 하천이나 농업 용수로를 흐르는 물을 말한다. 둑높이기 저수지 사업에 의하여 109개의 농업용 저수지에 증가된 저수용량만큼 2.4억 $m^3$의 환경용수가 창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환경용수의 개념을 정립하고 둑높이기 저수지에 창출된 환경용수의 전개방향을 제시한다. 환경용수는 크게 농업적 환경용수와 비농업적 환경용수로 분류할 수 있다. 농업적 환경용수는 농업용수에 내재된 환경용수를 말하며 이를 지역용수라고도 한다. 일본에서는 여러 지역에서 비관 개기의 농업용수 수리권이 인정되어 농업용수가 마을의 생활용수, 환경용수로서 활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충북 청주 무심천을 흐르는 농업용수가 여기에 해당되며, 관개기 동안 $5.0m^3/s$의 유량이 무심천 상류에서 방류되어 시내를 관통한 후 하류에서 취수되고 있다. 농업용수가 청주시내를 관통하면서 수심을 상승시켜 친수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비농업적 환경용수는 수질보전이나 생태계보전을 위한 하천유지용수나 친수환경 개선을 위한 환경개선용수가 여기에 해당된다. 일본에서는 2005년 처음으로 센다이시(仙台市)가 신규 수리권을 취득하여 비관개기에 하천수를 농업용수로를 통하여 수질개선 및 친수환경 제공의 목적으로 공급한 이후, 다수의 환경수리권 취득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둑높이기 저수지의 농업용수는 관개기에는 관개라는 주목적 외에 내재된 환경용수의 기능을 부수하고 있다. 한편, 새로 확보된 환경용수는 갈수기나 비관개기에 하천 및 농업용수로를 통하여 공급되어야 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하천으로 방류되면 하천유지용수나 환경개선용수가 되어 하천 환경의 개선에 기여할 것이고, 용수로로 방류되면 지역용수가 되어 농촌마을의 친수 및 어메니티 향상을 위한 용수로서 활용되어 농업의 다원적(공익적) 기능 향상에 기여할 것이다. 농업의 다원적 기능은 OECD(경제협력개발기구)에서 인정된 농업에 존재하는 경제 외부효과로서 홍수조절, 지하수함양, 경관형성, 친수기능, 생태계보전 등을 말한다. 향후의 과제로서 둑높이기 저수지에 확보된 환경용수를 하천과 농업 용수로로 적절히 배분하는 기준의 설정 및 각각의 환경용수량 결정이 대두된다.

  • PDF

The Effectiveness of a Child-Care Centers' Based Parent Education Program on Environmental Preservation (유아교육기관의 환경보전 부모교육프로그램 효과연구)

  • Choi, Kyung Sun;Cha, Mi Young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 /
    • v.25 no.4
    • /
    • pp.177-190
    • /
    • 2004
  • Training for mothers and children first included information on water, ground, and air pollution, saving energy, and reducing trash. In the second phase, the family followed steps outlined in an environmental preservation guidebook. The experiment was of 16 weeks duration, conducted with 120 subjects, comprised of sixty 4-year-old children and their mothers. Measures included environmental preservation knowledge and the actual practice of environmental preservation on the part of the subjects. Mothers performed self-evaluations while teachers measured the children. SPSS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program increased perceptions on environmental preservation and the actual practice of the experimental group. The program application also resulted in meaningful co-relationships between perceptions and practice and between mothers and their children.

  • PDF

Analysis of Ecological Network According to Invalidation of Decision on Urban Parks: Focused on Busan (도시공원 일몰제에 따른 생태네트워크 변화 분석: 부산광역시를 대상으로)

  • Kang, Jung-Eun;Choi, Hee-Sun;Hwang, Hee-Soo;Lee, Sanghyeok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7 no.6
    • /
    • pp.618-634
    • /
    • 2018
  • This study examined ecological network change affected by the 2020 invalidation of decisions on urban parks with a focus on Busan. The analyses were conducted to five scenarios using FRAGSTATS. The green space in scenario 1 assuming all development for unexecuted urban park would decrease by 7,339.75 ha compared to scenario 5, which assumes the entire conservation of unexecuted urban parks, and the fragmentation of the ecological space in scenario 1 increased. In scenario 1, 8.06% of the total area of core habitats and 28.23% of connectivity would decrease. However, scenario 3, which assumes the conservation of environmentally sensitive areas of unexecuted urban parks, can achieve 94% of green space and 95.6% of the connectivity of the scenario 5. Scenario 3 has effects similar to scenario 5 in terms of defragmentation. Thus, conservation of environmentally sensitive areas in parks is critical and effective in maintaining ecological networks.

The Impact of TPM Activities on the Business Performance of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TPM활동이 중소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Lee, Jae-Sik
    • Management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30 no.4
    • /
    • pp.415-440
    • /
    • 2011
  • Purposes of this paper are to find out the implementation strategy of TPM activities for SMEs through the analysis which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key activity factors and business performance. TPM activity has been playing a important role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 power of the enterprises through the optimization of equipment management and maintenance.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using the data collected from 124 SMEs propelling TPM activity. By analyses of the questionnaires, empirical results shows that TPM activities has positive effect on business performance.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provides a conceptual framework and empirical evidence of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key activity factors and business performance.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for selection of the performance measurement indicators for target achievement in TPM activity. And it will contribute for objectivity of activity performance in case of displaying measurement indicator showing the performance of TPM activity.

  • PDF

Study on the Institutional Limitations and Improvements for Effective Management of Coastal Wetlands (국내 연안습지 보전 정책의 법제도적 한계와 개선방향 고찰)

  • Yook, Keunhyung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5 no.4
    • /
    • pp.477-484
    • /
    • 2013
  • In 1999, Wetlands Conservation Act was enacted for the domestic implementation of the Ramsar Convention in Korea. According to the Act, wetlands have been manag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MOF). In the field of coastal wetland of which MOF is in charge, starting with the designation of Muan coastal wetlands as protected area in 2001, there are 12 wetland conservation areas up to $218.96km^2$. Even though there has been rapid growth of protected areas, it is time to give attention to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wetland conservation polici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institutional and operational problems related to wetland management and give some recommend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wetland conservation policy and legal framework.

A Study on the Proposal of the Customized Package through the Priority Analysis of Agricul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Practices (농업환경보전 실천기술 우선순위 분석을 통한 맞춤형 실천기술 패키지 제안 연구)

  • Son, Min-Hui;Lee, Seul-Bi;Lee, Kyun-Sik;Kim, Tae-Young
    •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 /
    • v.53 no.5
    • /
    • pp.153-165
    • /
    • 2019
  • This paper analyzes the priorities of introducing agricultural environmental conservation practices for the successful introduction of agricultural environmental conservation programs and promotes customized agricul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practices packages suitable for the local environment. Agricultural environmental conservation practice consists of three fields: soil, water, and air, nine sub-fields, and 30 practice skills. Using the advantages of AHP and BWS appropriately for priority analysis, three areas and nine sub-fields are measured using AHP techniques, and the practical activities of each fields are measured by priorities using BWS techniques to enhance the differentiation and completeness of research. In addition, the criteria for evaluating priorities of practical activities used 'Environmental effectiveness' and 'Technical feasibility'. As a result of the priority evaluation, the 'Soil testing and reduction of fertilizer and livestock manure application' activities were evaluated as having the highest prior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iorities for these practical activities, examples of customized practical activity packages by farming type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were pres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