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환경보건 스크리닝 툴

Search Result 2, Processing Time 0.014 seconds

Cumulative Impact Assessment Using Environmental Health Screening Tool in Seoul (환경보건 스크리닝 툴을 이용한 서울시 누적영향 평가)

  • Lim, Yu-ra;Bae, Hyun-jo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20 no.4
    • /
    • pp.444-453
    • /
    • 2014
  • Inequality of environmental impact is forecast to deepen due to the damage of environmental risk by the interaction between environmental and social inequalities causing more harms to environmentally vulnerable population. This study assessed the integrated cumulative impact of Seoul using Environmental Health Screening Tool developed by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of California. In order to screen vulnerable area to environmental health, 10 indexes have been selected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burden of exposure to environment and public health effects, population characteristics of sensitive populations and socio-economic factors. As a result of assessment conducted on cumulative impact of Seoul for years 2009~2011 through Environmental Health Screening Tool, risk factor for districts of Gangseo and Gangnam of Seoul showed high - Gangseo area indicated high risk factor both in environmental burden and population characteristics, while Gangnam area appeared high in environmental burden. The result of survey will be able to suggest scientific basis to push through fair and effective environmental policy in consideration of environment vulnerable population.

  • PDF

한국에서의 건강영향평가 도입방안

  • Han, Sang-Uk;Kim, Im-Sun;Han, Yeong-Han
    • Environmental engineer
    • /
    • v.24 s.256
    • /
    • pp.23-25
    • /
    • 2007
  • 건강영향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증가함에 따라, 본 연구는 건강영향평가의 최적 도입방안을 연구하는데 목적을 둔다. 한국의 지난 30년 동안 환경영향평가(EIA)를 수행하고 있다. EIA내의 스크리닝, 스코핑, 분석, 영향평가, 협의, 보고서 검토, 의사결정 및 모니터링 과정들은 HIA의 필수적인 부분이 될 것이다. 스크리닝 및 스코핑 과정은 아직 EIA내에 포함되어 있지는 않지만, 기존 EIA 과정내로 HIA를 통합하는 것은 한국에서 매우 효율적인 방안이 될 수 있다. 나아가, EIA내의 기존 공중-위생 항목을 보건 영향을 고려하기 위해 충분한 결정인지를 지닌 환경-보건항목으로 교체 및 확장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국의 경우, HIA의 초기 시행을 고려할 때 사회과학 및 심리학에 기초한 전향적 및 정량적 접근법이 보다 적합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체크리스트와 툴키트가 개발되었으며, HLA의 적용 및 보급에 있어 매우 유효한 지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