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환경문제 참여도

Search Result 733,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nalysis of the Content and Components of Consumer Competency Presented in Home Economics and Other Subjects of Middle School (중학교 가정교과와 타 교과에 제시된 소비자역량의 내용과 구성요소 분석)

  • Yoon, Sohee;Sohn, Sang-Hee;Lee, Soo-Hee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32 no.3
    • /
    • pp.81-96
    • /
    • 2020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implications for the role of home economics in consumer education in middle schools focusing on building consumer competency. To this end, the content in middle school textbooks of home economics and other subjects, written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ere analyzed. This study examined consumer education content based on the consumer competency measurement index developed by the Korean Consumer Agency, and reviewed different foci presented by subjects.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how the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which are components of consumer competency, are present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nsumer competency content, presented in textbooks of home economics and other subjects, were comprised of citizenship competency(65.3%), transactional competency(27%), and financial competency(7.7%). Second, in terms of content on the consumer's citizenship competency, little attention was paid to consumer rights, revealing an imbalance between responsibilities and rights. Third, despite its importance, the "utiliza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in transaction competency, and "consumer participation" in citizenship competency are insufficiently covered in the home economics. Fourth, social studies was the subject that most extensively covered the content of consumer competency. In terms of scope, home economics dealt with most of the sub-fields. Fifth, even when the same content of consumer competency was covered, it was presented differently by subject. Sixth, there was a lack of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of consumer competency-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with a disproportionately high emphasis on knowledge. In conclusion, this study concluded that consumer education content of middle school subjects is insufficient to enhance consumer competency.

Study the impact on job satisfaction in the care facility of the empowerment of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요양시설의 조직구성원의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Kim, Chang-Tae;Gwak, Gyeong-Ja
    • Management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31 no.4
    • /
    • pp.57-82
    • /
    • 2012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uggest the measure for the improvement of job satisfaction and level of empowerment of sanatoriums' social workers by analyzing factors of empowerments'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and investigating level of empowerment and job satisfaction of social workers of sanatoriums for the elderly and the handicapped. The result of investigation and analysis on subjects of 420 social workers of sanatoriums for the elderly and the handicapped in Youngnam area for this is as follows: First, job characteristic that is empowerments' influence factor of sanatoriums' social workers is appeared in order of feedback, and function variety, and in organization characteristic is appeared in order of leadership, reward, and employee development. Second, level of empowerment that is recognized by sanatoriums' social workers is appeared a little higher than normal level and significance is appeared highest, and next are capability, self-determination ability, and influence. Third, features tha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with significance in general characteristic of sanatoriums' social workers were 'sex', 'marital status', and 'religion', and features tha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with capability were sex, age, marital status, academic background, and employment history. And features tha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with self-determination ability were sex, age, marital status, and employment history, and features tha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with influence were sex, age, employment history and types of facilities. Fourth, the whole average of job satisfaction of sanatoriums' social workers was 3.82 out of 5, which is generally high, features tha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were age, marital status, academic background, employment history, and types of facilities. Thus, job satisfaction was appeared as high as 'more than age of thirty' in age, 'married' in marital status, 'under graduates of colleges' in academic background, and 'less than three years' in employment history. Fifth, as for factors that had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the indirect effect with empowerment was appeared that had significant effect in organization characteristic, and had few effect in organization features. On these results, practical measures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of sanatoriums' social workers are as follows: First, political approach is required to standardize duty system(by various types of facilities and clients' characteristic) of social workers of sanatoriums for elderly and the handicapped, and help to do the role as professionals with giving better treatment and building self-respect by enough reward. Second, to suggest chances to perform the responsibility for the duty of the scenes by the regular supervision, establish regular supervision system of social workers of sanatoriums for the elderly and the handicapped, and the extension of duty to increase the functional varieties. Third, it is required to motivate to have self confidence for the work and to use potential ability with transforming leadership, and to have more chances of education for the self-development.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of sanatoriums' social workers who give direct services in sanatoriums for the elderly and the handicapped, more active and positive empowerment's level improvement is in need by improvement of empowerment for them.

  • PDF

Developmen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Novice Secondary Science Teachers through Collaborative Reflection (초임 중등 과학교사들의 협력적 성찰을 통한 수업 전문성 발달)

  • Shin, Minkyoung;Kim, Heui-Bai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42 no.1
    • /
    • pp.77-96
    • /
    • 2022
  • This study investigated how collaborative reflection between novice secondary science teachers promoted the development of teaching professionalism. We intentionally selected research participants who shared sufficient rapport. Data were collected by videotaping the classes taught by participants, pre-talk, post-interviews and nine collaborative reflection processes. All data were transcribed and analyzed. Results indicated that all three teachers showed changes in teaching practice. Minyoung's practice involved a teacher-led lecture, but through collaborative reflection, she could create a learning environment to enhance students' power and ownership in her class. Emphasizing academic rigor, Soyoung used to teach content outside the scope of the curriculum, but through collaborative reflection, she became more considerate of students' understanding. Finally, in Jiyeon's classes inquiry activities and theoretical explanations were separated from each other. However, she repeated her efforts to improve her class after collaborative reflection, allowing students to construct explanations through activities. In this study, three factors that promoted the development of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rough collaborative reflection were identified. First, the different teaching orientations of the thre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promoted sharing of opinions through collaborative reflection. Second, reflection based on teaching practice enabled practical feedback on the class, which enhanced the development of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ird, the equal status and formation of rapport between the three teachers created an environment for productive refle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future teacher education programs should target communities that can promote collaborative reflection based on teachers' teaching practice.

A Study on the Digital Restoration Policy Implementation Process of Donuimun Gate (돈의문의 디지털 복원 정책집행 과정에 관한 연구)

  • CHOE Yoosun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56 no.2
    • /
    • pp.246-262
    • /
    • 2023
  • This study analyzed policy implementation factors focusing on how Donuimun, a demolished cultural heritage, was digitally restored and the policy implementation process of Donuimun Gate restoration. Through th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the digital Donuimun Gate restoration policy promoted by public-private multilateral collaboration were examined and implications were sought for how institutions with different interests solved problems and collaborated in the implementation process. The research method was focused on policy implementation factors including policy executive factors, policy content factors, policy resource factors, and policy environment factors, and the process was analyzed for each detailed component. Along with literature analysi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participants in policy implement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in the policy executive factor that the quick decision-making leadership of the policy manager and the flexible attitude of the person in charge of the government agency had a positive effect on preventing conflicts between different interest groups. Second, in terms of policy content, establishing a common goal that everyone can accept and moving forward consistently gave trust and created synergy. Third, in the policy implementation resource factor, the importance of the budget was emphasized. Finally, as an environmental factor for policy implementation, the opening of 5G mobile communication for the first time along with the emergenc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t the time of policy implementation acted as a timely factor. The digital Donuimun Gate was the first case of restoring a lost cultural heritage with AR and VR, and received attention and support from the mass media and the public. This also shows that digital restoration can be a model case that can be a solution without conflicts with local residents where cultural heritages are located or conflicts between stakeholders in the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of real objects.

Numerical Study on Thermochemical Conversion of Non-Condensable Pyrolysis Gas of PP and PE Using 0D Reaction Model (0D 반응 모델을 활용한 PP와 PE의 비응축성 열분해 기체의 열화학적 전환에 대한 수치해석 연구)

  • Eunji Lee;Won Yang;Uendo Lee;Youngjae Lee
    • Clean Technology
    • /
    • v.30 no.1
    • /
    • pp.37-46
    • /
    • 2024
  • Environmental problems caused by plastic waste have been continuously growing around the world, and plastic waste is increasing even faster after COVID-19. In particular, PP and PE account for more than half of all plastic production, and the amount of waste from these two materials is at a serious level. As a result, researchers are searching for an alternative method to plastic recycling, and plastic pyrolysis is one such alternative. In this paper, a numerical study was conducted on the pyrolysis behavior of non-condensable gas to predict the chemical reaction behavior of the pyrolysis gas. Based on gas products estimated from preceding literature, the behavior of non-condensable gas was analyzed according to temperature and residence time. Numerical analysis showed that as the temperature and residence time increased, the production of H2 and heavy hydrocarbons increased through the conversion of the non-condensable gas, and at the same time, the CH4 and C6H6 species decreased by participating in the reaction. In addition, analysis of the production rate showed that the decomposition reaction of C2H4 was the dominant reaction for H2 generation. Also, it was found that more H2 was produced by PE with higher C2H4 contents. As a future work, an experiment is needed to confirm how to increase the conversion rate of H2 and carbon in plastics through the various operating conditions derived from this study's numerical analysis results.

Roles and Preparation for the Future Nurse-Educators (미래 간호교육자의 역할과 이를 위한 준비)

  • Kim Susie
    • The Korean Nurse
    • /
    • v.20 no.4 s.112
    • /
    • pp.39-49
    • /
    • 1981
  • 기존 간호 영역 내 간호는 질적으로, 양적으로 급격히 팽창 확대되어 가고 있다. 많은 나라에서 건강관리체계가 부적절하게 분배되어 있으며 따라서 많은 사람들이 적절한 건강관리를 제공받지 못하고 있어 수준 높은 양질의 건강관리를 전체적으로 확대시키는 것이 시급하다. 혹 건강관리의 혜택을 받는다고 해도 이들 역시 보다 더 양질의 인간적인 간호를 요하고 있는 실정이다. 간호는 또한 간호영역 자체 내에서도 급격히 확대되어가고 있다. 예를들면, 미국같은 선진국가의 건강간호사(Nurse practitioner)는 간호전문직의 새로운 직종으로 건강관리체계에서 독자적인 실무자로 그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의사의 심한 부족난으로 고심하는 발전도상에 있는 나라들에서는 간호원들에게 전통적인 간호기능 뿐 아니라 건강관리체계에서 보다 많은 역할을 수행하도록 기대하며 일선지방의 건강센터(Health center) 직종에 많은 간호원을 투입하고 있다. 가령 우리 한국정부에서 최근에 시도한 무의촌지역에서 졸업간호원들이 건강관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법적 조치는 이러한 구체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기존 간호영역내외의 이런 급격한 변화는 Melvin Toffler가 말한 대로 ''미래의 충격''을 초래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역동적인 변화는 간호전문직에 대하여 몇가지 질문을 던져준다. 첫째, 미래사회에서 간호영역의 특성은 무엇인가? 둘째, 이러한 새로운 영역에서 요구되는 간호원을 길러내기 위해 간호교육자는 어떤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가? 셋째 내일의 간호원을 양성하는 간호교육자를 준비시키기 위한 실질적이면서도 현실적인 전략은 무엇인가 등이다. 1. 미래사회에서 간호영역의 특성은 무엇인가? 미래의 간호원은 다음에 열거하는 여러가지 요인으로 인하여 지금까지의 것과는 판이한 환경에서 일하게 될 것이다. 1) 건강관리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컴퓨터화되고 자동화된 기계 및 기구 등 새로운 기술을 많이 사용할 것이다. 2) 1차건강관리가 대부분 간호원에 의해 제공될 것이다. 3) 내일의 건강관리는 소비자 주축의 것이 될 것이다. 4) 간호영역내에 많은 새로운 전문분야들이 생길 것이다. 5) 미래의 건강관리체계는 사회적인 변화와 이의 요구에 더 민감한 반응을 하게 될 것이다. 6) 건강관리체계의 강조점이 의료진료에서 건강관리로 바뀔 것이다. 7) 건강관리체계에서의 간호원의 역할은 의료적인 진단과 치료계획의 기능에서 크게 탈피하여 병원내외에서 보다 더 독특한 실무형태로 발전될 것이다. 이러한 변화와 더불어 미래 간호영역에서 보다 효과적인 간호를 수행하기 위해 미래 간호원들은 지금까지의 간호원보다 더 광범위하고 깊은 교육과 훈련을 받아야 한다. 보다 발전된 기술환경에서 전인적인 접근을 하기위해 신체과학이나 의학뿐 아니라 행동과학 $\cdot$ 경영과학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훈련을 받아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행동양상면에서 전문직인 답게 보다 진취적이고 표현적이며 자동적이고 응용과학적인 역할을 수행하도록 훈련을 받아야 한다. 그리하여 간호원은 효과적인 의사결정자$\cdot$문제해결자$\cdot$능숙한 실무자일 뿐 아니라 소비자의 건강요구를 예리하게 관찰하고 이 요구에 효과적인 존재를 발전시켜 나가는 연구자가 되어야 한다. 2. 미래의 간호교육자는 어떤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가? 간호교육은 전문직으로서의 실무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석이다. 이는 간호교육자야말로 미래사회에서 국민의 건강요구를 충족시키기는 능력있는 간호원을 공급하는 일에 전무해야 함을 시사해준다. 그러면 이러한 일을 달성하기 위해 간호교육자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우선 간호교육자는 두가지 측면에서 이 일을 수정해야 된다고 본다. 그 하나는 간호교육기관에서의 측면이고 다른 하나는 간호교육자 개인적인 측면엣서이다. 우선 간호교육기관에서 간호교육자는 1) 미래사회에서 요구되는 간호원을 교육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 2) 효과적인 교과과정의 발전과 수정보완을 계속적으로 진행시켜야 한다. 3) 잘된 교과과정에 따라 적절한 훈련을 철저히 시켜야 한다. 4) 간호교육자 자신이 미래의 예측된 현상을 오늘의 교육과정에 포함시킬 수 있는 자신감과 창의력을 가지고 모델이 되어야 한다. 5) 연구 및 학생들의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의사결정에 학생들을 참여시키도록 해야한다. 간호교육자 개인적인 측면에서는 교육자 자신들이 능력있고 신빙성있으며 간호의 이론$\cdot$실무$\cdot$연구면에 걸친 권위와 자동성$\cdot$독창성, 그리고 인간을 진정으로 이해하려는 자질을 갖추도록 계속 노력해야 한다. 3. 미래의 간호원을 양성하는 능력있는 간호교육자를 준비시키기 위한 실질적이면서도 현실적인 전략은 무엇인가? 내일의 도전을 충족시킬 수 있는 능력있는 간호교육자를 준비시키기 위한 실질적이고 현실적인 전략을 논함에 있어 우리나라의 실정을 참조하겠다. 전문직 간호교육자를 준비하는데 세가지 방법을 통해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첫째는 간호원 훈련수준을 전문직 실무를 수행할 수 있는 단계로 면허를 높이는 것이고, 둘째는 훈련수준을 더 향상시키기 위하여 학사 및 석사간호교육과정을 발전시키고 확대하는 것이며, 셋째는 현존하는 간호교육 프로그램의 질을 높이는 것이다. 첫째와 둘째방법은 정부의 관할이 직접 개입되는 방법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생략하고 현존하는 교과과정을 발전시키고 그 질을 향상시키는 것에 대해서만 언급하고자 한다. 미래의 여러가지 도전에 부응할 수 있는 교육자를 준비시키는 교육과정의 발전을 두가지 면에서 추진시킬 수 있다고 본다. 첫째는 국제간의 교류를 통하여 idea 및 경험을 나눔으로서 교육과정의 질을 높일 수 있다. 서로 다른 나라의 간호교육자들이 정기적으로 모여 생각과 경험을 교환하고 연구하므로서 보다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발전체인(chain)이 형성되는 것이다. ICN같은 국제적인 조직에 의해 이러한 모임을 시도하는 것인 가치있는 기회라고 생각한다. 국가간 또는 국제적인 간호교육자 훈련을 위한 교육과정의 교환은 한 나라안에서 그 idea를 확산시키는데 효과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충분한 간호교육전문가를 갖춘 간호교육기관이 새로운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그렇지 못한 기관과의 연차적인 conference를 가지므로 확산시킬 수도 있으며 이런 방법은 경제적인 면에서도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그 나라 그 문화상황에 적합한 교과과정 개발에도 효과적일 수 있다. 간호교육자를 준비시키는 둘째전략은 현존간호교육자들이 간호이론과 실무$\cdot$연구를 통합하고 발전시키는데 있어서 당면하는 여러가지 요인-전인적인 간호에 적절한 과목을 이수하지 못하고 임상실무경험의 부족등-을 보충하는 방법이다. 이런 실제적인 문제를 잠정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1) 몇몇 대학에서 방학중에 계속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현직 간호교육자들에게 필요하고 적절한 과목을 이수하도록 한다. 따라서 임상실무교육도 이때 실시할 수 있다. 2) 대학원과정 간호교육프로그램의 입학자의 자격에 2$\~$3년의 실무경험을 포함시키도록 한다. 결론적으로 교수와 학생간의 진정한 동반자관계는 자격을 구비한 능력있는 교수의 실천적인 모델을 통하여서 가능하게 이루어 질수 있다고 믿는 바이다.

  • PDF

Relationship between Broca Index of Late School-Aged Children and Their Mothers' Eating, Cooking, and Exercise Habit (어머니의 식습관, 요리습관 및 운동습관과 학령기 후기 아동의 Broca 체질량지수와의 상관관계 연구)

  • Lee, Hyerim;Lee, Kyoung-Eun;Ko, Kwang Suk;Hong, Eunah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45 no.10
    • /
    • pp.1488-1496
    • /
    • 2016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mothers' eating, cooking, and exercise habits based on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ose habits and their late school-aged children's Broca index. A total of 393 questionnaires were mailed to the mothers of late school-aged children who registered at four elementary schools in the Seoul area, of which 159 participants (40.0%) completed questionnaires. Statistical data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SPSS/Win 21.0 for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Pearson's regression coefficien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others' cooking habit (F=3.920, P=0.022) and exercise habit (F=3.211, P=0.043) according to their educational level. Interestingly, 82.4% of mothers had a Broca index of less than 90% of normal body mass level.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of Broca index between mothers and their late school-aged children (r=0.345, P<0.001) indicated that children whose mothers had a low body mass level also tended to have a low body mass level. In this study, late school-aged children's Broca index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with mother's eating (r=-0.072, P=0.367) or exercise habits (r=-0.010, P=0.897) but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ir mother's cooking habits (r=-0.157, P=0.048). Considering there are few studies examining the impacts of mother's cooking habits on their children's appropriate body mass, the results suggest that developing an effective educational program to cultivate mothers' healthy cooking habits to improve school-aged children's health status is very importa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important data that could be used when developing health education programs tailored to the multi-dimensional impacts of mothers' life habits on their last school-aged children's developmental health status.

The Study of Establishing the Multi-pass Eurasian Railroads (유라시아 철도의 다중경로 구축에 관한 연구)

  • Hahm, Beom-Hee;Huh, Nam-Kyun;Hurr, Hee-Young
    • Korean Business Review
    • /
    • v.21 no.2
    • /
    • pp.137-170
    • /
    • 2008
  • This study is presenting the logistics strategy in the international logistics markets which makes competition and corporation among north-east Asian countries to establishing the multi-pass Eurasian railroads. The countries located in north-east area of Eurasia like China, Japan, Russia and Korea are paying higher costs and disutility to the transportations and communications due to repeated conflicts and confrontations causes from the politic problems. They are being used surface transportation for most of all logistics between Europe and Asia except special merchandises because of characteristic of cargo to be air, the Silk Road remains vestige only which was main logistic passage to this area since BC. So far the Trans-Siberian Railway is being used by Russia mostly as north of Eurasian transport because of difficulties of service. The Trans-China Railway built in 1992 is not accomplishing as a international logistic passages. It is expected to take a long lead time because of characteristic of resource development and poor logistic infrastructure to the countries like Uzbekistan, double landlocked country, Mongolia and Azerbaijan, the countries do not be adjacent to the sea, even they have great economic jump-up plans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ir own resources. The Shanghai Cooperation Organization(SCO) start to sail officially in 2001 is constructed with China, Russia, Tadzhikistan, Kyrgyzstan, Kazakhstan and Uzbekistan as regular members of 6 countries and Mongolia, India, Pakistan, Afghanistan and Iran as observers 5 countries. It is started as a military alliance to protect terror, but now, it is expended to cooperate with the traffic, transportation, trade and share of energies. The Russia is doing their best to activate TSR as a government target to developnorth area equivalently, and economic develop of far-east Siberia. And also it is agreed provisionally to improve and repair of rail road between Nahjin and Hassan to connect TSR and TKR( Trans-Korea Railroad) by Russia, North Korea and South Korea with Russian's aggressive efforts. The development plan of this area is over lapped with GTI(Greater Tumen Initiative) promoted by UNDP, and is a cooperated project by 5 countries of South Korea, Mongolia, China, Russia and North Korea, subject to review the appropriation of energy, tour, environment, rail road connection between Mongolia and China and establishing a ferry route to north-east Asia. It is Japanese situation to pay attention to Russia and China even they have been supplying large-scope of infrastructure in Mongol area without any charges, target to get East Asia Main Rail Road to connect Mongolia and Zalubino of Russia. In case of the program for the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is not creeping, it will be accelerated to connect the TKR and TSR, TKR and TCR by somehow attending United States, including developing program promoted by UN ESCAP. As the result, Korean peninsular will continue the central role of competition and cooperation as in the past, now and future of north-east Asia, as of geographical-economics and geographical-politics whether it is requested or not wanted by neighbor countries.

  • PDF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Career Support, Career Self-Regulation, and Career Identity - with Student Dep. of Radiologic Technology - (부모진로지지와 진로자기조절, 진로정체감의 관계 - 방사선과 학생 대상 -)

  • Kim, In-Sook;Lee, In-Ja
    •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38 no.3
    • /
    • pp.295-304
    • /
    • 2015
  •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the correlation of career self-regulation (plan and check-up, positive thinking, career feedback, environment formation for career) and career identity (career decision, indecisiveness, career indecision) caused by parental career support (informative, emotional, financial, and empirical) among freshmen, sophomores, and juniors in the radiotechnology department. For assessment, a survey was conducted and according to the results, there existed correlation as follows. Regarding parental career support, emotional support is plan and check-up (r=.25, p<.001), Career feedback (r=.54, p<.001), and positive thinking (r=.46, p<.001) showed high positive correlation while informative support showed correlation in all factors showing high correlation with environment formation for career (r=.22, p<.001), plan and check-up (r=.20, p<.001), career feedback (r=.24, p<.001), and positive thinking (r=.26, p<.001). Financial support career feedback (r=.33, p<.001) and positive thinking (r=.34, p<.001) showed somewhat higher correlation. All factors of environment formation for career (r=.18, p<.001), plan and check-up (r=.25, p<.001), career feedback (r=.37, p<.001), and positive thinking (r=.30, p<.001) showed high correlation. Informative support showed high correlation only with career decision (r=.27, p<.001) and financial support also showed high correlation only with career decision (r=.18, p<.001). Also, empirical support was somewhat highly correlated only with career decision (r=.23, p<.001). Regarding school-year difference depending on parental career suppor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motional support (F=8.52, p<.001), financial support (F=8.97, p<.001), and empirical support (F=5.36, p<.05) while informative support was dismissed. Regarding school-year difference depending on career self-regulation,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areer feedback (F=8.48, p<.001) and positive thinking (F=16.29, p<.001) while environment formation for career and plan and check-up were dismissed. Regarding school-year difference depending on career identit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areer indecision (F=4.01, p<.05) and career decision (F=11.72, p<.001) while indecisiveness was dismisse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parents' active support to their child like respecting and listening to their opinion on career, provision of career related experience or information, and provision of necessary financial aid for their study or academic preparation made the students plan and exploring their career, examine accomplishment progress, have positive idea to realize their objectives. In addition, the students were able to establish the objective of their career by forming the environment that helped them realize their objectives by seeking advices and encouragement from surroundings. Meanwhile, the parents' attitude to respect and listen to their child's career related opinion affected their career decision and indecision. Although informative support helped the students' career decision, financial and empirical support caused effect only to career decision.

Preparation of Students for Future Challenge (미래의 요구에 부응하는 미래를 위한 간호교육)

  • Kim Euisook
    • The Korean Nurse
    • /
    • v.20 no.4 s.112
    • /
    • pp.50-59
    • /
    • 1981
  • 간호학생들이 당연하고 있는 문제점 미래의 간호학생들이 교육문제를 논하기 위하여는 간호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또 이해하는 것이 우선순위가 될 것이다. 간호학생들이 문제점에 대한 연구는 한국에서 뿐아니라 미국에서도 꽤 많이 시행되어져 왔으며 특히 간호학과정에서 중간 탈락되는 중퇴자들에 대한 연구들 중에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서 언급한 것이 많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곧 대학과정에 진학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 보고될 Munro의 자료에 의하면 전문대학과정에서 27$\%$, 대학과정에서는 41$\%$의 간호학생들이 간호학과정에서 중간 탈락하고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이들이 중간탈락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으나 그 중 ''간호학에 흥미를 잃어서''가 가장 큰 이유로 보고되고 있다. 이곳 한국사회에서도 역시 비슷한 현상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대학입시경쟁과 대학내에서의 전과가 거의 허용되지 않는 특수여건이기 때문에 학교를 중간 탈락하는 율은 미국이 보고만큼 높지는 않으나 역시 ''간호학에 흥미를 잃는다''는 것이 간호학생들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최근 한국에서 시행된 간호학생들에 관한 연구(표 1 참조)에 의하면 간호학생들의 학문에 대한 만족도는 조사자의 35$\~$50$\%$정도에 불과하였고 더우기 이 비율은 고학년에 올라갈수록 더욱 감소되고 있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한국에서 시행된 어느 연구보고에 의하면 간호학에 실망했다고 생각하는 학생이 전체의 67$\%$였으며, 다른 학교로 전과를 희망한 경험이 있다는 학생이 71$\%$나 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왜 흥미를 잃게 되는지 그 이유에 대하여 설명해 주는 연구는 많지 않았다. 미국의 한 저자는 간호학생들이 간호학에 흥미를 잃게 되는 원인을 간호원의 역할에 대한 이해가 정확하지 못한 것과 졸업 후 진로기회에 대한 인식부족 때문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간호학에 흥미를 잃게 되는 이유는 크게 다음의 세 가지로 분류 요약될 수 있다. 첫째, 간호학을 전공으로 택한 동기이다. 간호학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학생들이 간호학을 전공으로 택한 동기도 다른 전공분야보다는 훨씬 다른 여러 종류를 보이고 있다. 즉, 종교적 이유, 다른 사람들에게 봉사할 수 있는 직업이기 때문에, 쉽게 취업을 할 수 있어서, 결혼 후에도 직업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외국으로 쉽게 취업할 수 있어서 등이 간호학을 선택한 이유로 보고되고 있다. 흥미나 적성에 맞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간호학을 택한 학생의 수는 다른 과에 비하여 훨씬 적다. 이러한 흥미나 적성 때문이 아닌 여러 가지 다른 이유들로 인하여 간호학을 택한 경우에 특히 간호학에 쉽게 흥미를 잃어버리는 것을 볼 수 있다. 간호학에 현실적인 개념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일수록 추상적이고 현실적인 개념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보다 더 간호학에 지속적인 흥미를 가지며 중간에 탈락하는 율이 훨씬 적다는 것이 많은 연구에서 보고되었다. 또한 흥미나 적성 때문에 간호학을 택하였다는 학생들이 다른 과로 전과를 희망하는 율이 낮다는 것도 보고되었다. 둘째, 교과내용자체나 실습에 대한 불만족이다. 간호학에 대한 체계적인 교과내용의 결여, 과중한 과제물, 임상실습에서의 욕구불만, 실습으로 인한 부담, 지식과 실습의 차이점에 대한 갈등 등이 주요 이유로 보고되고 있다. 대부분의 연구들이 이 교과목이나 실습에 대한 불만족, 특히 실습경험에서의 갈등을 학생들이 흥미를 잃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어느 한 연구에서는 응답자의 90$\%$가 임상실습에 만족하지 못한다고 응답하였으며 그들 중의 88$\%$가 실습감독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보고하였다. 셋째, 교수들에 대한 불만족이다. 대부분의 연구들이 학년이 올라가면 갈수록 교수에 대한 신뢰도가 낮아지며 또한 그에 비례하여 간호학에 대한 만족도가 낮아진다고 보고하고 있다. 교육내용에 대한 전문지식의 결여, 학생들과의 인간적인 관계의 결여, 교수법에 대한 불만족 등이 교수에 대한 불만의 주요내용으로 보고되었다. 미래의 간호에 부응할 학생교육 계속적인 사회적 변동과 더불어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는 일반인들의 건강에 대한 요구도와 앞에서 기술한 문제점 등을 감안할 때 학생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간호학에 확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준비시키므로써 간호환경에서 실망하기보다는 오히려 그것을 받아들여 변화하는 사회요구에 책임감을 느낄 수 있도록 교육시키는 것이 미래의 간호학생을 준비시키는데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교육을 위하여 다음의 두가지 안을 제시한다. 1. 교수와 학생간의 관계-서로의 좋은 동반자 : 교수들이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특히 학생들의 성취도에 대한 영향에 대하여는 이미 많은 연구가 시행되었다. Tetreault(1976)가 간호학생들의 전문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연구한 바에 의하면 다른 어느 것보다도 교수의 전문의식여부가 학생들의 전문의식 조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교수에게 신뢰감을 가지고 있을때, 교수들이 전문가로서의 행동을 하는 것을 보았을때 비로서 배움이 증가된다고 하였다. Banduras는 엄격하고 무서운 교수보다는 따뜻하고 인간적인 교수에게 학생들이 더 Role Model로서 모방하려는 경향을 나타낸다고 보고 하였다. 그러면 어떻게 학생에게 신뢰받는 교수가 될 수 있겠는가? apos;학생들의 요구에 부응할 때apos;라고 한마디로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Lussier(1972)가 언급한 것처럼 학생들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는 교육은 Piaget이 언급한 교육의 기본 목표, 즉 개인에게 선배들이 한 것을 그대로 반복하여 시행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것을 시도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게 하는 목표에는 도달할 수 없으며 이러한 목표는 간호학에도 가장 기본이 되어야 할 기본목표이기 때문이다. 학생들이 현재 어떤 요구를 가지고 있으며 또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 계속 파악하고 있는 것이 학생요구에 부응하는 교육을 할 수 있는 기본조건이 될 것이다. 의외로 많은 교수들이 학생들을 이해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으나 잘못 이해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표 2는 현 간호학생들이 생각하고 있는 가치관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또 교수가 그 가치관과 문제점을 어느 정도 파악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일개 4년제 대학 200여명의 학생과 그 대학에 근무하는 18명의 교수진을 대상으로 질문한 결과를 간략하게 보고한 것이다. 또한 여기에서 학생이 보고하는 가치관, 문제점, 교수에게 바라는 점이 교수가 이해하고 있는 것과 차이가 있다는 것도 보여주고 있다. 우리가 학생들의 요구를 파악할 수 있도록 귀를 기울이고 이해하며, 그 요구에 부응하려고 노력할때 진정한 교수와 학생간의 관계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며 이때 비로서 우리는 apos;partnershipapos;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이때 간호학에 대한 실망은 줄어들 수 있을 것이며 우리도 학생들에게 전문가적인 태도를 함양시켜줄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될때 앞으로 기다리고 있는 미지의 의무에 효과적으로 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자질을 형성한 학생들을 준비해 낼 수 있을 것이다. 2. 간호모델에 의한 교과과정의 확립과 임상실습에의 적용 : 교과과정이 학생들의 모양을 만들어주는 하나의 기본틀이라고 말할 수 있다면 미래의 요구에 부응하는 학생들을 준비시키기 위하여 지금까지와는 다른 새로운 방향의 교과과정이 필요하다는 것은 재론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이미 진취적인 간호대학에서는 guided design systems approach 또는 integrated curriculum 등의 새로운 교과과정을 시도하고 있음은 알려진 사실이다. 물론 간호모델에 준한 교과과정을 발전시키는데 대한 장점과 이에 수반되는 여러가지 새로운 문제점에 대하여 많은 논란이 있으나 모든 교과과정이 처음 시도될 때부터 완전한 것이 있을 수 없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성숙되는 것임을 감안해 볼 때 이러한 새로운 교과과정에의 시도는 미래의 새로운 간호방향에 필수적인 사업이라고 하겠다. 이러한 교과과정을 개발하는데 몇가지 게안점을 첨부하려 한다. (1) 새로운 교과과정의 개발은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교수진의 협력과 참여로 이루어져야 한다. (2) 비록 처음에는 어렵고 혼란이 있더라도 교과과정은 의학모델이 아닌 간호모델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3) 간호모델에서 다루어지는 개념들은 모두 직접 간호업무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선택되어야 한다. (4) 교과과정의 결과로 배출되는 학생들의 준비정도는 그 지역사회에 적합하여야 한다. (5) 그 지역사회의 고유한 문화적 요소가 포함되어야 한다. 아직 우리는 간호분야 내부의 갈등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시기에 있다. 우리 내부의 문제점을 잘 해결할 수 있을때 외부와의 갈등에 잘 대처할 수 있을 것이다. 내부의 갈등을 잘 해결하기 위한 힘을 모으기 위하여는 동반자, 즉 교수와 학생, 간호교육자와 임상간호원 등이 서로 진정한 의미의 동반자 될때 가장 중요한 해결의 실마리가 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