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환경관련질환

Search Result 263,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계절건강 지킴이 - 아픈 환경이 낳은 위험, 환경성 질환 극복하기

  • Lee, Eun-Jeong
    • 건강소식
    • /
    • v.37 no.10
    • /
    • pp.34-35
    • /
    • 2013
  • 산업화, 도시화는 우리 생활을 편리하게 만든 반면 그에 따른 폐해도 안겼다.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환경성 질환이다. 환경성 질환은 화학물질, 중금속, 석면, 대기오염, 수질, 토양, 기후 변화, 먹을거리 등 우리 주변의 모든 것들과 관련이 있다. 특히 발병 증가세가 가파르고 1년 내내 고통을 호소하는 환자가 점점 늘고 있다는 점도 문제다. 아직까지 뚜렷한 원인조차 밝혀지지 않은 다양한 환경성 질환,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까.

  • PDF

Effect of Air Pollution on Circulatory Disease Hospital Admissions in Seoul, Korea, 1997-1999 (순환기질환 입원환자에 대한 서울시 대기오염물질의 급성영향에 관한 연구)

  • Lee, Jong-Tae;Cho, Yong-Sung;Kim, Ho;Hyun, Yeon-Ju;Kim, Yoon-Sin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1.11a
    • /
    • pp.269-270
    • /
    • 2001
  • 대기오염과 건강과의 관련성에 있어서 최근의 관심사는 대부분 호흡기 질환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나, 대기오염은 호흡기 질환 뿐만 아니라 심혈관계 질환과도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최근에 보고되고 있다(Schwartz, 1999).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내 의료기관에 입원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1997년부터 1999년까지의 3년간 대기오염농도 변화와 순환기계질환으로 인한 병원입원률과의 상관성을 시계열적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평가하고자 하였다. (중략)

  • PDF

Influence of Yellow Sand Dust on the Distribution of $PM_{2.5}$ Concentrations in Seoul (서울시 일부지역에서의 $PM_{2.5}$ 농도에 대한 황사의 영향)

  • 백효경;김현욱;성재혁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11a
    • /
    • pp.199-201
    • /
    • 2002
  • 입자상 물질은 폐렴으로 인한 사망률을 증가시키며, 호흡기 및 심혈관계 질환과 관련된 외래환자 수를 증가시키고, 천식 증상을 악화시키며, 폐 기능 저하 둥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다(U.S.EPA, 2001). 황사는 발원지의 기상 및 토양상태에 따라 다르지만 한반도와 일본에서 관측된 황사의 크기는 1-10$\mu\textrm{m}$ 정도이며 중금속 성분 등 오염물질이 포함되어 있어, 시정악화, 농작물 및 활엽수의 생육장애, 인체 호흡기관으로 깊숙이 침투하여 폐 질환 유발 및 안 질환 등을 유발시켜 대기환경을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인체에도 매우 유해하다. (중략)

  • PDF

Basic Principles for Establishing Legal Regime of Environmental Health in Korea (환경보건 관련 법제도 수립의 기본원칙에 관한 고찰)

  • Shim, Young-Gyoo;Park, Jeong-Im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 /
    • v.5 no.4
    • /
    • pp.127-154
    • /
    • 2006
  • It has been widely accepted that the environment is an important determining factor of human health. Appreci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vironment and human health, Korean government has begun to deal with issues of environmental health. The government proclaimed the year of 2006 to be the first year of Environmental Health and established "The Environmental Health Plan for the next 10 Year". In order to achieve the goals in the plan, there are necessary considerations such as support systems for environment health related research, investigation, law, institution, administration, and so forth. This study suggests basic principles required to establish a legal regime of environmental health which is to implement the environmental health policies in Korea. Several cases of foreign legislation and policy relevant to environmental health are reviewed. Also, existing related legal system in Korea are analysed considering legal and institutional elements for establishing an effective environmental health policy. The main purpose of amending legal system related environmental health is to protect both public health and the soundness of ecosystem. To reach the goals effectively, the concept of 'environmental health' should be clearly established and presented. In addition, an advanced prevention system, including investigation and prevention of the cause of environmental diseases and risk assessment based on the precautionary principle, are substantial in the environmental health legislation. Also the environmental health law should guarantee public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as well as the first consideration of susceptible or vulnerable population.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expected legislation related to environmental health should be a nonnative instrument not only for integrating each environmental protection scheme but also for establishing and implementing the policy.

  • PDF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Symptoms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Psychosocial Stress For Electronical Product Assembly Workers (전자제품제조업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와 근골격계 질환 자각증상에 대한 연구)

  • Moon, Jung-Il;Park, Dong-Hyun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09.04a
    • /
    • pp.93-104
    • /
    • 2009
  • 본 연구는 직무 스트레스와 근골격계질환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단순작업과 반복 작업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전자제품 제조업에 대하여 고용 규모 30인 미만과 300인 이상의 사업장을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 311명은 근골격계질환 관련 자각증상과 한국인 직무 스트레스(KOSS)에 대해 설문 조사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한국인 직무스트레스(KOSS)영역에서 30인 이하의 사업장이 물리적환경, 직무요구, 직무자율성결여, 직무불안정, 조직체계, 보상부적절, 직장문화의 영역에서 불만족도가 300인 이상사업장에 비하여 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다. 근골격계질환 관련 신체 부위별 증상자를 살펴보면 신체부위 목, 허리에 대한 증상 호소자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근로자들이 근무중 회사와의 갈등으로 격는 한국인 직무스트레스(KOSS)에서는 물리적환경, 직무요구, 직무자율성결여, 직무불안정, 조직체계, 보상부적절, 직장문화에 대하여 30인 미만 사업장 소속 근로자들의 스트 레스 노출정도가 높았다. 다만 KOSS부분에서 근로자들의 개인적인 성향을 나타내는 관계갈등부분은 약간의 차이로 300인 이상 고용사업장의 근로자에 대한 스트레스 노 출정도가 높았다. 이에 30인 미만 사업장과 같은 영세업종 근로자들에게 정신사회적 스트레스의 해소를 위한 예방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최근의 직업성 질환 105 - 직업성 근골격계질환 - 관절변형 및 퇴행성관절염

  • Kim, Gyu-Sang
    • 월간산업보건
    • /
    • s.249
    • /
    • pp.19-32
    • /
    • 2009
  • 이 역학조사는 J피혁 토글 공정 근로자 중 일부에서 손가락 관절이 휘는 등 근골격계 질환 의심자가 발견되어 위 증상과 작업내용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노동부가 산업안전보건연구원에 역학조사를 의뢰하여 조사를 시행하였다. 본 조사의 목적은 첫째로 역학조사 의뢰내용인 근골격계 질환 의심자의 작업과의 관련성 규명이며, 둘째로 근골격계 증상 조사와 진찰을 통해 근골격계 질환의 진단과 작업환경 개선안을 도출하며, 넷째로 대상 사업장의 근골격계 질환 예방관리 프로그램을 구축하는데 있다.

  • PDF

맨홀작업의 근골격계 질환 실태에 관한 연구

  • 김유창;이태현;정현욱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01.05a
    • /
    • pp.7-10
    • /
    • 2001
  • 작업과 관련된 근골격계 질환은 선진국에서는 1970년대부터 문제가 제기되어 왔다. 특히 좋지 않은 작업자세, 손가락의 반복사용에 의한 목, 어깨, 손목 등의 누적된 근골격계 질환이 문제가 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작업과 관련된 근골격계 질환에 연구가 최근에 많이 진행되고 있으나 주로 외국의 연구이론을 적용하고 있으며 국내의 기초 데이터는 매우 부족한 형편이다. 본 연구는 근골격계 질환을 유발시키는 작업유형 가운데 유발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국내 H 회사의 맨홀작업의 근골격계 질환의 실태를 알아내고 이를 유발시키는 여러 인자를 찾아내었다. 또한 신체의 아픈 부위와 정도에 따른 작업내용과 작업환경 조건과의 관계도 규명하였다. 이러한 연구 자료는 효과적인 예방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PDF

Factors Influencing Social Participation in People with Musculoskeletal Conditions - Applying ICF relevant categories - (ICF 관련 범주에 따른 근골격계질환 장애인의 사회참여 관련요인)

  • Shin, Eun Kyoung;Lee, Han Na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65 no.1
    • /
    • pp.5-31
    • /
    • 2013
  • The principl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factors affecting social participation for physically disabled people with musculoskeletal conditions (spinal cord injury, muscular dystrophy, osteogenesis imperfecta, rheumatoid arthritis) in South Korea using ICF relevant categories of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index by WHO. The subjects of this study 352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ICF component(body functions, body structures, activities and participation and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 relevant categories deprived from ICF core sets. The collected data were evaluated with descriptive analysis,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 The mental function, Neuromusculoskeletal and movement-related functions, Genitourinary and reproductive functions, Skin and related structures, Learning and applying knowledge, General tasks and demands, and Mobility positively influenced social participation in people with musculoskeletal conditions. However individual factors and environmental factors didn't statistically significant affect on social participation.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is to examine by ICF components of universal approach on disability study and utilized the relevant ICF categories as measurement tools.

  • PDF

Impact of symptoms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o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firefighter under the IT environment (IT 환경에서 소방공무원의 근골격계 증상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Oh, Gyung-Jae;Lee, Jeong-Mi;Yang, Chung-Yong;Park, Hyung-Ju;Park, Yun-Hee;Yoo, Chan-Uk;Kang, Eun-Yeong;Chong, Bok-Hee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9 no.3
    • /
    • pp.311-322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impact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WMSDs) o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QoL) in the firefighter under the recent IT environment. The data were collected by face to face interview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in the 366 respondents. WMSDs symptoms were measured by a self-assessed questionnaire on symptom table of NIOSH and health-related QoL was measured by SF-36. The prevalence of WMSDs was 38.0% in upper limbs, 35.5% in the low back, 21.6% in lower limbs, and 59.3% in two or more parts of the body. Subjects with symptoms of WMSDs had significantly lower scores in 7 dimensions of QoL except 'emotional role limitation' than those without symptoms of WMSDs at the area of upper extremities (neck, shoulder, arm/wrist, and hand/wrist/fingers). On the other hand, subjects with symptoms of WMSDs had significantly lower scores on all QoL dimensions than those without symptoms of WMSDs at the area of lower back or lower extremit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WMSDs had a negative effect on QoL. Therefore, prevention of WMSDs should be considered intervention strategies for improvement of QoL, especially in firefighters.

An Analysis on Korean Mortality Structure (한국인의 사망력 구조분석)

  • 이상식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13 no.1
    • /
    • pp.51-80
    • /
    • 1990
  • 한국의 사망력은 높은 수준의 성별 사망력 차이와 중년 남성의 급격한 사망력 상승을 그 구조적 특성으로 하고 있는데, 이러한 한국인 사망력 구조의 특이성은 직접적으로는 사망원인의 성별, 년령별 차별적 역활에 기인하며 간접적으로는 이들 원인의 차별성을 초래하는것으로 추정되는 경제개발기간동안의 사회, 경제 및 공공정책상의 변화 및 생활습관의 차이에서 기인된다고 보아진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차이를 결과짓는 여러 요인들을 중심으로 한국인의 사망력 구조상에서 나타난 년령별 및 성별특성을 분석하는데 그 주요점을 두었다. 1985년 경제기획원 조사통계과에 의해 집계된 사망원인통계자료는를 활용하여 한국인의 사망력 구조의 특성을 사망원인과 관련시켜 연구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종합될수 있다. 첫째, 40대 이후 남성의 높은 사망력에 의거한 요인들은 뇌혈관질환, 고혈압성질환, 암질환 및 기지 심질환 및 간의 악성신생물 순으로 중요하게 나타났다. 둘째, 0세에서의 남녀간의 기득개념의 차이는 차이는 초년 또는 청년층에서의 남녀간의 사망력 차이에서 보다는 40대 이상의 중장년층에서의 남녀간의 사망력 차이에서 비롯되었으며, 뇌혈관 질환, 악성간질환 및 고혈압성 질환, 간의 악성 신생물,및 기타 심질환 및 간의 악성 신생물 질환들이 중장년층에서의 남녀간의 사망력 차이를 결정하는데 주역활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째, 위의 년령간의 및 남녀간의 사망력 수준의 차이를 결정짓는 주요한 사회적 간접요인들로는 첫째, 사회.경제개발과 함께 이어 병행되어온 보건정책들이 즈로 어린이 또는 여성에 편향된 결과 였으며, 둘째,환경적 요소로서 중년 남성들의 Social stress, 운동부족과 관련된 질병들과 공해, 먼지, 유해화학물 가스 등 산업재회와 관련된 질병들에 의한 사망률이 높으며, 세째, 행위적 요소로서 음주와 흡연과 관련된 질병들에 의한 중년 남성의 사망률이 높은것들로 요약될수 있다. 중년 남성의 높은 사망률은 기술적,사회적 경험이 축적된 노동력의 상실로서 국가적 손실이 크며, 고 년령층 인구의 구조적 측면에서도 성의 불균등을 초래하여 미혼 여성의 증가등 사회적인 기반문제의 주요한 요인이 되므로서 그 중요성은 지대하다고 할수 있겠다. 그러므로 이 문제는 국가적 사회적 차원에서 해결이 시급하며 그 해결책으로는 지금 까지 도외시 되어 왔던 중년 남성의 건강을 위한 프로젝트의 실지와 함께 이들에게 노출되어 왔던 운동 부족, 사회적 스트레스 및 산업재회의 해소 내지 제거에 대한 방안들이 연구 되어야 하겠다. 한편 음주 및 흡연등의 개인행위적 습관의 개선을 위한 사회 계몽활동의 추진 및 건전한 스트레스 해결책의 개발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