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확산반사

Search Result 163, Processing Time 0.04 seconds

Topology Optimization of an Acoustic Diffuser Considering Reflected Sound Field (반사 음장을 고려한 음향 확산 구조의 위상 최적 설계)

  • Yang, Jieun;Lee, Joong Seok;Kim, Yoon Young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 /
    • v.23 no.11
    • /
    • pp.973-981
    • /
    • 2013
  • The main role of an acoustic diffuser is to diffuse reflected sound field spatially. Since the pioneering work of Schroeder, there have been investigations to improve its performance by using shape/sizing optimization methods. In this paper, a gradient-based topology optimization algorithm is newly presented to find the optimal distribution of reflecting materials for maximizing diffuser performance. Time-harmonic acoustic analysis in a two-dimensional acoustic domain is carried out where the domain is discretized by finite elements. Perfectly matched layers are placed to surround the domain to simulate non-reflecting boundary conditions. Design variables are assigned to each element of which material properties are interpolated between those of air and those of a rigid body. An approach to extract the reflected field from the total acoustic field is employed. To valid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design problems are solved at different frequencies. The performance of the optimized diffusers obtained by the proposed method is compared against that of the conventional Schroeder diffusers.

Development of Dental Treatment Using LED Lighting (LED를 이용한 치과 치료용 등기구 개발)

  • Choi, Keum-Yeon;Eo, Ik-So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1718-1719
    • /
    • 2011
  • 본 논문은 LED를 이용한 치과 치료용 장비의 모듈 제작 시뮬레이션 실험 논문이다. Auto CAD를 사용하여 모델링하며, Photo-Pia 소프트웨어로 실험을 진행 한다. LED 모듈은 직선으로 배열하며, 빛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반사판의 모양은 타원의 형태로 제작한다. LED의 광원의 Spec. 및 반사판의 Tilt Angle 변화를 통해 기존의 치과 치료용 장비와 비교 분석을 하며, COMSOL Multiphysics를 통해 열 해석을 한다. 그 결과, 시뮬레이션을 통해 실제 제작 하지 않고 유사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 PDF

Correlation between Skin Translucency and Scattering Reflection using Miniaturized New Optical Device (피부 투명감 측정 기기의 소형화 및 피부의 확산 반사광과 투명감 사이의 연구)

  • Lee, Myeong-Ryeol;Jeong, Choon-Bok;Junng, Yu-Chul;Kim, Han-Kon;Nam, Gae-Won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 /
    • v.37 no.2
    • /
    • pp.121-127
    • /
    • 2011
  • Skin darkness is the source of trouble to many women. Skin darkness is the state that while skin redness and brightness are reduced, skin yellowness is increased. Skin translucency which is measured by skin color, especially brightness is an another expression of skin darkness. Skin brightness is usually expressed by L value of $L^{*} \;a^{*}\; b^{*}$ (CIELAB color space system). However, it is hard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L value and perceptive efficacy such as translucency because the L value is just a factor of evaluation of skin darkness. The skin with high translucency has high scattering reflective light value than low value. In this study, we measured the skin translucency of 20 ~ 30 ages men and women face by both our designed previous device which use polarized light to detect surface and scatter reflective light independently and $Lumiscan^{TM}$ which is improved designed to confirm our new device working ability by calculation of relationship between trnaslucency and scattering reflective light value.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re is a high correlation (R = 0.732, p < 0.01) between translucency and scattering reflective light value, and suggest that $Lumiscan^{TM}$ is portable and easy measuring device more that previous device.

Optical Simulation Study on the Performances of Collimating Films for LCD Backlight Applications (액정표시장치 백라이트용 집광필름의 광학특성 분석을 위한 시뮬레이션 기법 연구)

  • Park, Ji-Hee;Lee, Jung-Ho;Jeong, Jin-Ha;Nahm, Kie-Bong;Ko, Jae-Hyeon;Kim, Joong-Hyun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18 no.6
    • /
    • pp.432-440
    • /
    • 2007
  • Optical simulation methods such as a ray tracing technique have been widely used to predict the optical performances of collimating films for LCD backlight applications. It is necessary to optimize simulation conditions which have substantial effect on the simulation result in order to predict accurate performances of collimating films. We have set up a very simple backlight model consisting of a reflection film, a virtual flat light-source, and a prism film, which is a representative collimating film for backlight, in order to analyze the simulation conditions which are strongly correlated with the on-axis luminance gain and the viewing-angle characteristics of prism films. It was found that the dependence of the relative change in the on-axis luminance on the structure and material properties of collimating films can be derived from the above-mentioned simple BLU model and from simulation using it. However, the exact reflection property of the reflection film and the distribution of the incident light onto the optical film were found to be very important for revealing exact viewing-angle characteristics of collimating films.

전자처리 스페클 패턴 간섭법에 의한 2차원 면내변위 측정에 관한 연구

  • 김경석;김형수;양승필;최형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2.10a
    • /
    • pp.172-176
    • /
    • 1992
  • 금속의 조면, 불투명 유리 또는 종이 등의 확산 반사면에 레이저광을 조사하면 확산광 가운데 또는 그 상 가운데 보통의 광에서는 볼 수 없는 반점 모양의 형태가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레이저의 단색성, 가간섭성, 집속성등의 우수한 성질과 응용 면에 있어서의 풍부한 가능성으로 레이저 응용계측이 연구되어 왔다. 따라서 레이저 개발에 따른 새로운 계측 법이 급속히 진전되는 가운데 그 중에서 구조 및 재료강도의 계측분야의 일환으로 레이저를 이용하여 물체표면의 정보를 갖는 스페클 패턴(speckle pattern)이 변화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어떠한 물체를 상온 하에서 인장력에 의한 면내변위를 2차원적으로 측정하고자 한다.

레이져 스페클간섭법에 있어서 스페클 크기와 측정한계에 관한 연구

  • 김경석;양승필;정현철;김정호;이도윤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4.10a
    • /
    • pp.521-528
    • /
    • 1994
  • 레이저광의 우수한 가간섭성으로 인해서 거친표면으로 부터 확산된 광에서도 간섭현상을 볼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레이져광의 독특한 특성으로 인해 나타나는 스페클은 광학적인 간섭계를 사용하여 광을 확산적으로 반사시키는 물체의 변형과 변위, 진동 등을 비접촉적으로 측정 할수 있게 되었다.이와같은 측정법으로써 Holography 간섭법, Speckle 간섭법, Speckle 사집법등이 있으며 비록 이러한 측정법들이 독립적으로 발전되었다 할지라도 기본적인 광학적인 배치와 함수들에 있어서는 유사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로 면내변형을 측정하기위한 스페클간섭법에 있어서의 스페클 사이즈와 그에 따른 측정 한계를 확인할 것이다.

  • PDF

Acoustic Facies in the Western South Sea, Korea (한국남서해역의 음향학적 퇴적상)

  • BAHNG, HYO KY;OH, JAE KYUNG
    • 한국해양학회지
    • /
    • v.28 no.4
    • /
    • pp.313-322
    • /
    • 1993
  • The Western south Sea of Korea can be divided into 4 acoustic facies (AF I-AF IV) according to the variations of acoustic characters. Typical acoustic characters revealed in high-resolution seismic profiles (3.5kHz) are prolonged, internal reflected, non-penetrated, and transparent types. These acoustic types probably controlled by bottom condition and sediment properties such as composition and compaction of sediments. Acoustic facies I is characterized by prolonged type which is produced by absorbing of acoustic signals on the coarse sediments including gravels and shell fragments and irregular bedforms. Acoustic facies II is characterized by internal reflected type which is probably produced by differential sediments compaction. Acoustic facies III is characterized by non-penetrated type caused by scattering of acoustic signals on the well sorted fine ad very fine sand sediments. Acoustic facies IV is characterized by transparent type with non-internal reflector in limited thickness. Acoustic types in high-resolution profiles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not only about the stratigraphy of sub bottom but also abut the sedimentary processes in shallow sea.

  • PDF

휴대형 당도판정센서를 이용한 배의 당도 판정

  • 이강진;최규홍;강석원;최완규;손재룡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ostharvest Science and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Conference
    • /
    • 2003.04a
    • /
    • pp.120-121
    • /
    • 2003
  • 과수원에서 재배되는 배는 과수원 내의 위치, 시비, 토양 등의 요인에 따라 다양한 품질을 나타내며, 당도와 숙도의 편차가 크기 때문에 과수농가에서는 경험에 의존하여 적정 숙기로 판단되는 배를 수확하고 있다. 그러나 과학적이지 못한 사실에 기초한 수확 관행은 시장유통되는 배에 대하여 소비자들의 신뢰성 저하를 초래하게 되고 소비 감소와 더불어 농가 소득 감소로 이어지게 된다. 최근, 전국의 청과물 산지유통센터에는 근적외선을 이용하여 과일 내부의 당도, 산도, 결함 등을 실시간으로 판정할 수 있는 비파괴 선별기가 보급되고 있으나 이는 수확이후의 선별.규격화 유통을 위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는 달리, 수확 이전, 즉 재배 단계에서 배의 당도와 숙도를 판정하여 수확적기를 판단할 수 있도록 나무에 매달린 배에 대하여 가시광선과 근적외선 반사스펙트럼을 측정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당도와 숙도가 판정가능한 휴대형 센서를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시작기를 이용하여 당도판정의 가능성을 시험하였다. 휴대형 당도판정센서는 광원과 광섬유프로브, 광검출부, 당도판정부, 전원공급부로 구성된다. 광원은 할로겐램프(6V)를 이용하였고, 광섬유프로브는 동심원 형태로서 외부의 광섬유를 통하여 광원에서 시료로 빛이 조사되게 하고, 내부의 광섬유를 통하여 광검출기로 확산반사되는 광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였다. 전원공급부는 휴대와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12V, 2AH)와 이 배터리에서 정전류가 광원으로 보내어 질 수 있도록 제작된 회로로 구성하였다. 당도 판정을 위하여 518nm에서 1046nm의 파장대역에서의 반사스펙트럼을 이용하였고, 레퍼런스로써 백색 테플론 구를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수원 농산물 도매시장에서 판매중인 2002년산 신고 배를 구매하고, 시작기를 이용하여 총 113개의 배에 대한 반사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다음으로 굴절당도계로 당도값을 측정하고 반사스펙트림을 이용하여 당도값을 예측하기 위한 부분최소제곱회귀(PLSR)모델을 개발하였다. 여기서 모델의 정밀도는 교차검정법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시료 표면과 광섬유프로브와의 접촉상태 불균일, 광원의 시간에 따른 경시 변화, 과일 형상의 차이 등에 의하여 측정된 반사스펙트럼은 상당한 변이를 나타내었으므로 이를 보정하기 위하여 반사 스펙트럼은 다분산보정처리하여 이용하였다. 당도 예측용 PLSR모델 개발의 결과, 모델의 결정계수($R^2$)는 0.67, SEC는 $\pm$0.4brix.로 나타났으며, 교차검정에 의한 미지 시료의 예측에서 총 113개의 미지 시료에 대한 결정계수는 0.57, SEP는 $\pm$ 0.46brix.로 나타났으며, 이는 현장에서 충분히 활용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금후, 전체 시스템의 부피와 중량을 줄이고 각 부분품들의 전력소모의 최소화할 수 있도록 개선할 계획이다.

  • PDF

A Study on Diffusion Approximations to Neutron Transport Boundary Conditions (중성자 수송경계조건의 확산근사에 대한 연구)

  • Noh, Taewan
    •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JNFCWT)
    • /
    • v.16 no.2
    • /
    • pp.203-209
    • /
    • 2018
  • To correctly predict the neutron behavior based on diffusion calculations, it is necessary to adopt well-specified boundary conditions using suitable diffusion approximations to transport boundary conditions. Boundary conditions such as the zero net-current, the Marshak, the Mark, the zero scalar flux, and the Albedo condition have been used extensively in diffusion theory to approximate the reflective and vacuum conditions in transport theory. In this paper, we derive and analyze these conditions to prove their mathematical validity and to understand their physical implications, as well as their relationships with one another. To show the validity of these diffusion boundary conditions, we solve a sample problem. The results show that solutions of the diffusion equation with these well-formulated boundary conditions are very close to the solution of the transport equation with transport boundary conditions.

Research of Optical Design Method for High Brightness LED (고휘도 LED에 대한 광학설계법에 관한 연구)

  • Lee, Chang-Mo;Kim, Gi-Hoon;Jung, Seung-Gyun;Han, Jong-Sung;Kim, 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4.11a
    • /
    • pp.141-144
    • /
    • 2004
  • 기존 광원은 그 배광이 광원을 중심으로 볼 때 사방으로 퍼져 나가며, 이를 이용해 적절한 형태로 바꾸는 것은 주로 반사판의 역할이다. 그러나 LED는 기본적으로 배광이 좁으며, 이를 적절하게 변경시키는 것은 반사판이 아니라 굴절과 확산이 된다. 또한 LED는 그 자체만으로 크기가 작아 점광원으로 볼 수 있지만, LED에서 발광하는 빛은 chip에서 epoxy dome으로 직접 굴절되어 나가는 refracted ray와 reflector cup에 의해 반사되어 다시 epoxy dome에서 굴절되어 나가는 reflected-refracted ray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정확히 말하면, 빛은 한 점에서 발광한다고 간주 할 수는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LED에 대한 최적의 refractor 설계를 위해 점광원으로 간주 할 수 있는 최적의 근사 발광점을 선택하여 refractor를 설계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