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확률표본

Search Result 469,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Probability Theory-based Flood Vulnerability for Agricultural Reservoirs under Climate Change (기후변화 대응 농업용 저수지의 확률론 기반 홍수 취약성 산정)

  • Park, Jihoon;Kang, Moon Seong;Song, Jung-Hun;Jun, Sang 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46-346
    • /
    • 2017
  • 기후변화에 따른 기상이변의 동시다발적인 발현은 농촌 지역의 홍수 발생 빈도를 증가시키고 있다. 현재의 기후시스템은 과거의 강우빈도를 기준으로 산정한 설계기준을 벗어나는 강우 사상을 빈번하게 발생시키므로 설계변수의 불확실성을 보다 합리적인 방법으로 정량화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확률론을 이용한 농업용 저수지의 홍수 취약성을 산정하는 데 있다. 먼저 홍수 취약성 해석에 필요한 과거와 미래 수문 자료를 수집하고 전처리 과정을 통해 해석에 적합한 자료로 구축하였다. 설계변수의 불확실성을 분석하기 위해 지속시간별 최대강우량, 유입 설계홍수량에 대해 부트스트랩 (bootstrap) 기법을 적용하여 자료를 재추출하였다. 부트스트 랩은 표본집단의 확률분포에 대해 가정을 하지 않고 표본집단의 통계적 특성을 이용하여 모집단의 통계적 추론을 할 수 있는 비모수적인 리샘플링 기법이다. 부트스트랩 추론은 표본집단의 추정치, 편의, 표준오차를 산정하고 신뢰구간을 추정한다. 부트스트랩 추론을 통해 산정하는 신뢰수준을 이용하여 농업용 저수지의 홍수 취약성을 산정하였다. 본 연구는 설계변수에 내재하는 불확실성을 부트스트랩 기법을 이용하여 정량화하고 확률적인 값을 가지는 홍수 취약성으로 산정하여 제시할 수 있다.

  • PDF

AGV Dispatching with Stochastic Simulation (확률적 시뮬레이션 기반 AGV 배차)

  • Choe, Ri;Park, Tae-Jin;Ryu, Kwang-Ryel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2 no.10
    • /
    • pp.837-844
    • /
    • 2008
  • In an automated container terminal, various factors affect the operation of container handling equipment such as quay cranes and AGVs, and thus calculating the exact operation time is nearly infeasible. This uncertainty makes it difficult to dispatch AGVs well. In this paper, we propose a simulation-based AGV dispatching algorithm When dispatching an AGV to an operation, the proposed algorithm conducts multiple stochastic simulation for the succeeding AGV operations for the predetermined period to collect stochastic samples of the result of the dispatching. In the stochastic simulation, the uncertainty of crane operations is represented as a simple probability distribution and the operation time of a cran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is. A dispatching option is evaluated by the total delay time of quay cranes which is estimated by averaging the quay crane delay of each simulation In order to collect a sufficient number of samples that guarantee the credibility of the evaluation, we devised a high-speed simulator that simulates AGV operation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algorithm is validated by simulation experiments.

Sample Design for Materials and Components Industry Trend Survey (부품.소재산업 동향 조사의 표본설계)

  • NamKung, Pyong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v.15 no.6
    • /
    • pp.883-897
    • /
    • 2008
  • This paper provides correct informations inflecting the present situation using the sample design in population that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puts in operation of the mining and manufacturing industry statistical survey in 2006. This paper proposes new sampling design which is able to grasp business fluctuations and provide basic data for the rearing policy and management of the material industry and components industry. These sample design are the modified cut-off method and multivariate Neyman allocation using principal components and sampling method is the probability proportional systematic sampling.

다차원 층화에서 선형계획법을 이용한 표본배정 방법

  • Choe, Jae-Hyeok;NamGung, P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91-96
    • /
    • 2005
  • 다차원층화에서 선형계획법을 이용한 표본배정 방법은 Winkler(1990, 2001), Sitter와 Skinner(1994, 2002)가 제안하였다. 이 방법들은 표본크기가 층 개수보다 크지 않는 경우에 공통적으로 선형계획법을 이용하여 표본배정을 실시하였다. 반복 비율 적합방법(IPF), 일반화 반복 비율 적합(GIFP), SS 방법을 통해 셀 값을 결정하고 선형계획법을 이용하여 표본의 배정확률을 통해 표본배정을 실시한다. 이 3가지 방법들로 표본을 배정하고 평균 및 분산추정량을 비교한다.

  • PDF

A Sampling Stochastic Linear Programming Model for Coordinated Multi-Reservoir Operation (저수지군 연계운영을 위한 표본 추계학적 선형 계획 모형)

  • Lee, Yong-Dae;Kim, Sheung-Kown;Kim, Jae-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685-688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저수지군 연계운영을 위한 표본 추계학적 선형 계획(SSLP, Sampling Stochastic Linear Programming) 모형을 제안한다. 일반적 추계학적 모형은 과거 자료로부터 확률변수의 확률분포를 추정하고 이를 몇 개 구간으로 나누어 이산 확률 값을 산정하여 기댓값이 최대가 되는 운영방안을 도출하지만 저수지 유입량 예측시 고려되어야할 지속성 효과(Persistemcy Effect)와 유역간 또는 시점별 공분산 효과(The joint spatial and temporal correlations)를 반영하는데 많은 한계가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과거자료 자체를 유입량 시나리오로 적용하여 시${\cdot}$공간적 상관관계를 유지하는 표본 추계학적(Sampling Stochastic)기법을 바탕으로 Simple Recourse Model로 구성한 추계학적 선형 계획 모형을 제시한다. 이 모형은 미국 기상청(NWS)에서 발생 가능한 유입량의 시나리오를 예측하는 방법인 앙상블 유량 예측(ESP, Ensemble Streamflow Prediction)을 통한 시나리오를 적용함으로써 좀더 신뢰성 있는 저수지군 연계운영 계획을 도출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Using the Sample IQR for Calculating Sample Size (표본크기 결정을 위한 IQR의 활용방법)

  • 홍종선;김현태;윤상호;정민정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16 no.1
    • /
    • pp.181-193
    • /
    • 2003
  • Without a sample standard deviation for an estimator of the population standard deviation u in a sample size computations, we often use some functions of a sample range (R) or interquartile range (IQR) by an estimator of $\sigma$. In order to avoid under-powered studies, these estimates must have a high probability of being greater than or equal to $\sigma$. In this paper, these probabilities of being greater than or equal to $\sigma$ are estimated for IQR for various parents distributions, and are compared with the probabilities for R/4 (Browne 2001). Alternative divisors (K) are explored and discussed for which the probabilities of R/K and IQR/K being greater than or equal to $\sigma$ is at least 95%.

계통표집법의 특성에 관한 연구

  • 박진우;김영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urvey Research Conference
    • /
    • 2000.11a
    • /
    • pp.157-168
    • /
    • 2000
  • In this paper we point out another advantage of systematic sampling over simple random sampling, which have not yet been spelled out in the literature. After a single sample is drawn by a sampling scheme, it is important to check whether the achived sample represents the population well or not. Therefore, a sampling scheme which avoids the possibility of selecting non-preferred samples is desirable. The simulation results are given to illustrate that, in the ordered population, the possibility of selecting non-preferred sample by systematic sampling is lower than that by simple random sampling.

  • PDF

Development of Random fracture network for discontinuity plane (불연속면의 확률절리망 알고리즘의 개발)

  • Ko, Wang-Kyung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11 no.2
    • /
    • pp.189-199
    • /
    • 2000
  • A major deficiency of laboratory testing of rock structure is that the structures are limited in size and therefore present a very small and highly selective sample of the rock mass from which were removed. In a typical engineering project, the samples tested in the laboratory represent only a very small fraction of one percent of the volume of the rock mass. In this paper, we calculate the representative orientation of the resultant vector, the measure of the degree of clustering, the volume of rock mass, the trace length of discontinuity spacing under underlying distributions. And we generate the random fracture networks using real data. We propose the calculating the trace length.

  • PDF

Regional Frequency Analysis using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Method - the Han River Basin (인공신경망 군집분석을 이용한 지역빈도해석에 관한 연구 - 한강유역을 중심으로)

  • Ahn, Hyunjun;Kim, Sunghun;Shin, Hongjoon;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300-300
    • /
    • 2016
  • 지점빈도해석은 해당 지점에서 기록된 수문자료를 바탕으로 확률론적 방법을 이용하여 해당 지역의 수문학적 현상을 해석하는 방법이다. 최근 이상 기후현상을 통해 극치 사상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극치 사상은 지점빈도해석을 이용하여 확률수문량을 추정하는데 많은 영향을 미친다. 특히 해당 지점의 표본 크기가 작을수록 이러한 영향은 좀 더 크게 반영 될 수 있다. 반면 지역빈도해석은 지점의 표본 수가 적거나 수문자료의 수집이 불가능한 미계측지점인 경우, 해당 지점과 수문학적으로 동질하다고 여겨지는 주변 지점들의 자료를 확보하여 확률수문량을 추정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지점빈도해석 보다 roubst한 추정값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최근 확률수문량 산정 기법으로 지역빈도해석 방법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지역구분은 지역빈도해석이 지점빈도해석과 구분 될 수 있는 큰 특징이고 지역구분 결과 따라 지역의 표본 크기가 결정되기 때문에 수문학적으로 동질한 지역을 나누는 방법은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강유역을 대상으로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군집분석을 수행하고 구분된 지역을 이용하여 지역빈도 해석을 수행하였다.

  • PDF

환경 및 생태 모니터링 표본설계

  • 김선웅;류제복
    • Proceedings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45-50
    • /
    • 2000
  • Hedayat et al.(1988)와 Stufken(1993) 등은 환경 또는 생태의 특성을 고려하여 인접단위들을 추출확률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표본설계방법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Hedayat et al.(1998)은 실제 조사에 있어 이들 방법보다 유용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들 표본설계방법의 문제점들을 밝히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방법과 추가적인 연구 방향 등을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