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확대관 각도

Search Result 49, Processing Time 0.03 seconds

The Affecting Factor to Magnification Ratio from Alveolar Crest To Inferior Mandibular Canal in Diagnosis of Implant Site of Mandibular Molar Region with Panoramic Radiography (파노라마방사선사진에서 하악 구치부의 임플란트 매식부위 평가시 치조정-하악관간 거리의 확대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관한 연구)

  • Jung, Jae-Jin;Choi, Sang-Mook;Lee, Yong-Moo;Ku, Young;Chung, Chong-Pyoung;Han, Soo-Boo;Rhyu, In-Chul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1 no.4
    • /
    • pp.811-822
    • /
    • 2001
  • 최근 임플란트를 원하고, 필요로 하는 환자가 증가하면서 술전의 정확한 진단이 보다 중요해졌고 다양한 진단방법이 소개되고 이용되어져 왔다. 그 중 보편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어지는 방법이 방사선 촬영법이고 그 중에서도 파노라마방사선사진이다. 하지만 파노라마방사선사진의 용이함과 간편성에도 불구하고 그 방법 자체가 가지고 있는 한계점 때문에 CT/MPR(Computer Tomography/Multiplanar Reformatting)이 일부 환자에서는 반드시 필요하다는 주장이 대다수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하악 구치부에 임플란트 시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파노라마방사선사진의 확대율을 알아보고 파노라마방사선사진과 CT/MPR에서 치조정-하악관간 거리가 실제 어느 정도 차이를 보이는지, 그리고 CT/MPR에 대한 파노라마방사선사진의 확대율에 환자의 하악골의 경사도와 하악관의 해부학적 위치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서울대학 치과병원 치주과를 내원하여 하악구치부에 Dental Implant 시술을 받은 15명의 환자, 32개 부위를 대상으로,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술전 파노라마방사선사진과 CT/MPR, 술후의 파노라마방사선사진, CT/MPR상을 자료로, 임플란트가 식립될 위치에서 치조정에서 하악관의 길이, 하악골의 협설폭경, 하악골의 설측면에서 하악관의 수평길이, 임플란트 매식체의 설측에서 하악관까지의 수평거리를 계측하였고 이 해부학적 계측치들이 CT/MPR에 대한 파노라마방사선사진의 확대율과 어떤 상관관계에 있는지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est를 이용해 살펴보았다. 1. CT/MPR에 대한 파노라마방사선사진의 확대율은 CT/MPR상에서 하악골 단면의 협설폭경(Pearson test에서의 상관관계 분석시, 상관계수 r=-0.604), 임플란트 매식체의 설측에서 하악관까지의 수평거리(r=-0.515), 하악골의 설측면에서 하악관까지의 수평거리(r=-0.640)와 뚜렷한 음적 선형관계가 있었다. 2. CT/MPR에 대한 파노라마방사선사진의 확대율은 CT/MPR상에서 하악골의 장축의 각도와는 뚜렷한 양적 선형관계(Pearson test에서의 상관관계 분석시, 상관계수 r=-0.446)가 있었다. 3. 여러 요소중 CT/MPR에 대한 파노라마방사선사진의 확대율과 가장 유의성있는 연관성을 보이는 것은 CT/MPR상에서 하악골의 설측면에서 하악관까지의 수평거리였다(r=-0.640) 4. CT/MPR에 대한 파노라마방사선사진의 확대율은 일반적으로 생각되어지는 파노라마방사선사진의 확대율 125%보다 큰, 약 135%로 나왔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하악골의 설측면에서 하악관까지의 수평거리가 CT/MPR에 대한 파노라마방사선사진의 확대율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추정되며 확대율은 125%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흡입구를 포함한 액체 램제트 엔진의 3차원 유동 해석

  • 임상규;오대환;손창현;이충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9.10a
    • /
    • pp.14-14
    • /
    • 1999
  • 액체 램제트 엔진의 특성은 흡입구를 통해 들어오는 유입공기의 상태에 따라 많이 달라진다. 흡입구에 들어오는 공기의 유입각이 일정각도를 넘어서면 유입공기의 왜곡이 심하여 정상적인 연소가 불가능 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비행조건에 따른 램제트 엔진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외부 유입영역, 흡입구, 연소기, 노즐 및 출구 대기 영역을 함께 계산하여 유동 특성과 연소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흡입구는 마하 2.0을 기준으로 설계하고, 4각 덕트에서 완만하게 원형 덕트로 변화되는 확대관의 형상으로 비행체에 붙어 있는 것으로 격자를 구성하였다. 흡입구에서의 유동 조건은 비행체을 지난 유속이 마하 2.0과 2.2의 경우에 대하여 수치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비반응 유동 해석과 연소가 있는 반응 유동해석 결과를 흡입구를 포함하지 않았던 선행 연구 결과들과 비교하였다. 유입각이 영 일 때의 흡입구를 포함한 계산 결과는 흡입구에서 생성되는 충격파에 의한 손실로 총압력이 흡입구를 포함하지 않았던 선행 연구 결과와 차이가 있었으나 유동 특성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유입각이 증가함에 따라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의 량이 감소하고 그에 따른 유동의 왜곡이 심하여 연소특성에 변화를 보여 주었다.

  • PDF

A Survey on Facilities, Educational Program and Exhibition in Science Museum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과학관의 장애학생을 위한 시설과 프로그램 및 전시물 조사)

  • Im, Sung-Min;Kim, So-J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29 no.6
    • /
    • pp.680-692
    • /
    • 2009
  • In this study, the facilities, educational program, and exhibi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science museums were investigated. To do this, 19 science museums in Korea were surveyed by reviewing information and visiting investigation including interview. Facilities for access in consideration of the disabled were measured and found to averaged at 84.3 points well within the legal standard of 100 points. There were 11 moving science classes in which students with difficulties in accessing the museum can participate, but educational programs for the disabled were executed in 2 science museums. Exhibition in most science museum focused on basic science and dynamic operation, however there were little consideration for the disabled except for guides in braille and voice. In general, the facilities and educational program in science museum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insufficient, but there are some possibilities to supplement by modifying the guide for the disabled or enlarging the educational program to include the disabled.

Observation of Family as a System within a Chosen Married ]Korean Couple and Their Extended Families (System으로서의 한국인 핵가족 및 확대가족의 관찰)

  • Kim, . Soon Yong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
    • v.8 no.1
    • /
    • pp.43-84
    • /
    • 1978
  • 미국에 이민 온 한 한국가정을(정씨 가족) 대상으로 세 번의 면담 (interview) 및 art session을 통해서 이 핵가족 및 확대가족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분석하여 가족의 유형(family Pattern)과 관계된 이론적 모델(Theocratical model)을 理이해하고 변화되고 있는 Health Program에 있어 간호원이 "변화인자(change agent)"로써의 역활을 재발견하고자한다. 이러한 방법은 가족 및 간호과학에 새로운 접근법이며 간호의 영역이 얼마만큼 확대될 수 있는가를 나타내고 있다. (1) Toman의 Family Cnstellation 이론과 일치되는 점 및 일치되지 않는 점 (2) 한국인 핵가족에서 관찰된 비언어적 의사소통(non-verbal communication)및 이것과 Scheflen의 이론과의 관계 (3) family Theory Bowen의 "differentiation of self"와 "family projection Process"이론에 의한 분석 (4) 핵가족에서 관찰된 상호작용 유형(interactional pattern)을 분석 (5) Art Session을 통해서 관찰된 사항 및 Critique 결과적으로 이 핵가족은 사회적 가치관이 변화된데서 오는 갈등에 직면하고 있다. 우리 나라의 확대가족에서 강조된 경치관은 가족을 하나의 전체로써 보는 "우리 (we-ness)"였는데 이것은 일상사용하고 있는 언어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어 즉, "내 동생 (my sister)"이라고 하는 대신 "우리 동생 (our sister)"이라고 하는데 여기에서 언어가 뜻하는 의미와는 거리가 먼 것을 알 수 있다. 정씨 부부는 미국적 정치관을 인식해서 그들의 상호작용 유형을 긍정적이고 개방적인 토의방법으로(positive open-discuses) 접근해야 한다. 이 핵가족의 부부는 둘 다 유교사상이 강조된 가정에서 자라나, 이 부부가 결혼한지 오 년이나 되었으나 언어적 의사소통이 (verbal communication)굉장히 제한된 것을 쓸 수 있다. 인간의 경험들은 인간이 접하고 있는 사회와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결정된다. 사회가 배화함에 따라서 가족도 변화할 것이다. "변화는 언제나 사회에서 부터 가족으로 온다. 이 변화는 절대 작은 단위에서 큰 단위로 오는 것이 아니다.…그러나 가족구조는(family structure)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서 적응해야 한다."라고 Minuchin이 지적한 것 같이 정씨 부부가 직면하고 있는 여러 가지 갈등은 이 핵가족이 그들의 가치관 및 상호 작용유형을 변형(repattering) 시키므로써, 복잡하고 다양한 미국사회에서 성장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만들어 주고 있다. 세 번의 면담시간은 각 30분이었으나 Volume 생략한 것을 부기하여 둔다.

  • PDF

An Numerical Study on the Flow Uniformity and Pressure Drop in Dual Monolith Catalytic Converter during the Rapid Acceleration/Deceleration Driving (급가감속 운전에 따른 듀얼 모노리스형 촉매변환기 내의 유동 균일도와 압력 강하에 관한 수치적 연구)

  • Kim, Young-Deuk;Jeong, Soo-Jin;Kim, Woo-Seung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15 no.5
    • /
    • pp.63-71
    • /
    • 2007
  • The conversion efficiency, durability and pressure drop of the automotive exhaust catalysts are dependent on the flow distribution within the substrate. Conventional porous medium approaches assuming monolith resistance based on the one-dimensional laminar flow for simulating the flow through the automotive exhaust catalysts over-predict the flow uniformity in the monolith. In this study, additional pressure loss is also considered by accounting for entrance effects due to the oblique flow incident on the front face of monolith as a consequence of flow separation and recirculation within the diffuser. The incorporation of an additional pressure loss improves the predictions for the maximum flow velocity within the substrate. An numerical study has also been conducted for the three-dimensional unsteady incompressible non-reacting flow inside various dual-monolith catalytic converters for the rapid acceleration/deceleration driving.

과학기술인 드디어 명예의 전당에 오르다

  • Heo, Ju-Hui
    • The Science & Technology
    • /
    • no.2 s.405
    • /
    • pp.16-17
    • /
    • 2003
  • 효선제가 국가 공신의 상을 그려서 걸었다는 중국은 기린각. 로큰롤의 성립 발전에 기여한 인물을 기리기 위한 미국의 로큰롤 명예의 전당. 이제 과학인들도 명예의 전당에 오를 수있게 되었다. 과학기술의 발전 및 과학기술인의 자긍심을 높이자는 취지로 시작된 명예의 전당은 고려 말에서 현재에 이르기까지 뛰어난 과학자를 선정하여 논문 등 연구성과를 보존, 전시하는 사업이다. 우선 과학기술부와 한국과학문화재단은 이달 중으로 서울과학관 내에 200평의 공간을 마련하기로 하고, 2006년 경기도 과천에 국립과학관이 완공되며 1층 전시공간을 1000평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번에 선정된 14인은 인물선정위원회가 과학기술 단체 기관 등이 추천한 과학기술인을 대상으로 국가발전 기여도와 세계적 영향력 등을 평가하여 결정한 인물들이다. 또한 매년 4명 정도를 추가로 선정해 2006년까지 30명 선으로 늘릴 예정이다.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은 과학기술 존중의 분위기를 조성할 것으로 기대된다. 1차로 선정된 14인 가운데 현존하고 있는 안동혁, 최형섭, 이호왕 박사를 만나보았다.

  • PDF

Reduction of Radiation Dose according to Geometric Parameters from Digital Coronary Angiography (디지털 심혈관조영장치의 기하학적 특성에 따른 선량 감소)

  • Kang, Yeonghan;Cho, PyongK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 /
    • v.7 no.4
    • /
    • pp.277-284
    • /
    • 2013
  • This study aims to find out geometric parameters which practitioner adjustable to reduce dose in coronary angiography. We take fluoroscopy and cine exposure by use of phantom, and got dose use the dose-area product(DAP) meter of angiography device, than convert DAP to effective dose. As results, Cine exposure shows higher dose measurement about 6-7 times than fluoroscopy. Dose in frame per second(FPS) mode could be decrease down to 70%, as lower FPS. In view of X-ray tube angle, LAO $45^{\circ}$+Caudal $30^{\circ}$ shows highest dose measurement. More use of Collimator, lower dose measurement. Source-image intensifier distance(SID) get longer to 10cm, dose of each fluoroscopy and cine exposure increase up to 25-30%. Image magnification of field of view(FOV) could increase dose up to 1.21-2 times. Also table-image intensifier distance get longer to 10cm, dose increased 1.11-1.25 times. Practitioner can adjust several geometric parameters, as FPS mode, tube angle, Collimation, SID, table-image intensifier distance, FOV. And each factors can reduce radiation dose in coronary angiography.

Between local welfare center and urban regeneration support center Collaborative Governance Example and Improvement strategies (지역복지관과 도시재생지원센터 간 협력적 거버넌스 사례 및 개선전략)

  • Lee, Woon Hee;Go, Eun Ah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4 no.3
    • /
    • pp.63-74
    • /
    • 2018
  • This study suggested cooperative governance cases and improvement strategies between local welfare centers and urban regeneration support centers, centered on urban revitalization areas around Seoul Station, by applying FGI.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ontents of FGI participating in the cooperative governance process, it was proved that the common role and identity between the local welfare center and the urban regeneration support center were regional based activities. And the advantage of constructing collaborative governance was analyzed by four ways. In addition, this study presented improvement strategies from a microscopic and macro perspectiv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change in the curriculum of social workers' education and the expansion of the scope of the practitioner in the Urban Regeneration Business Act propose.

Application of Improved Invert in Combining Manhole (합류맨홀에서 개선형 인버트의 적용)

  • Jo, Jun Beom;Lee, Min Sung;Rim, Chang Soo;Yoon, Sei Eu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287-287
    • /
    • 2018
  • 우수관거 시설에서 맨홀은 관거의 접합을 위해 반드시 설치되어야 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이러한 맨홀 접합부에서는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유량의 급격한 확대와 유출관으로 배수되는 유량의 급격한 축소 등 흐름의 복잡한 변화가 발생한다. 맨홀에서의 복잡한 흐름은 설계강우를 초과하지 않는 강우량에서 과부하 조건을 형성하며 도심지 침수의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여러 관이 접합되어 있는 합류맨홀의 경우 유출관거로의 원활한 배수가 유도되지 않을 뿐 아니라 다양한 방향의 흐름이 서로 상충하며 급격한 에너지 손실을 유발한다. 도심지 중 하류부에서 주로 발생하는 침수피해는 복잡한 우수관거 시설의 구성에 따른 합류맨홀의 증가로 인해 그 규모가 늘어나는 추세이다. 바닥이 평평한 기본형태의 맨홀에서 발생되는 과부하 흐름과 여러 유량 조건에서의 에너지 손실에 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왔다. 최근 맨홀 내부에 흐름을 유도시켜주는 인버트를 설치하여 에너지 손실을 저감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를 실제 도시지역에 적용하여 침수해석이나 관거 배수능력 평가를 수행하기 위한 필요한 기초자료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버트가 설치된 개선형 4방향 합류맨홀의 유량 조건을 다양하게 변화시키며 유입유량 조건에 따른 개선형 맨홀의 손실계수를 분석하였다. 유량 조건은 세 개의 유입관에서 각각 설계유량 $1{\ell}/s$의 유량이 유입되는 총 유입유량 $3{\ell}/s$를 기준으로 각 유입관의 유입유량을 10%씩 변화시킨 40case의 유량 조건을 선정하였다. 이렇게 선정된 유량 조건은 경우에 따라 중간 맨홀, 3방향 합류맨홀 또는 4방향 합류맨홀의 흐름을 다양하게 나타내었으며, 40case의 손실계수를 분석하여 모든 맨홀 접합 조건에서의 손실계수를 파악할 수 있었다. 합류맨홀에서의 개선형 인버트 적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인버트가 설치된 개선형 맨홀에서 산정된 손실계수를 기초로 모든 유입유량 조건에서 적용이 가능한 손실계수 범위도를 작도하였다. 손실계수 범위도는 통계분석에 활용되어 개선형 맨홀의 유입유량 조건에 따른 손실계수 산정식을 도출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되었다. 이와 같이 도출된 산정식을 적용하면 실제 도심지에 개선형 맨홀을 적용하였을 경우에도 정확한 침수 해석이나 관거 배수능력 평가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해양사고 방지를 위한 관제사 간 관제정보 교환방법에 관한 연구 -해양경찰 연안VTS 중심으로-

  • Lee, Jin-Haeng;Kim, Jin-Su;Yun, Hui-Ung;Jeon, Byeo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10a
    • /
    • pp.185-187
    • /
    • 2013
  • "93년 국내 해상교통관제시스템이 도입, '06년 진도연안VTS개국 및 '12년 여수연안VTS 개국 이후 사고 위험성이 높은 연안해역에서 선박충돌 좌초 사고 발생율은 현격하게 줄어들었다. 그러나 관제를 위한 시스템은 나날이 발전하고 있으나 인적 요인 중 관제사의 관제이력정보 등 관제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은 현 VTS 시스템에서는 개발 및 도입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따라 해양경찰에서는 '23년 11개소 연안VTS 센터 확대 구축되기 전에 각 VTS 센터 간 관제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을 연구하여 효과적인 관제사의 현장업무수행 능력 향상 방안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