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화학 요법

Search Result 1,052,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Docetaxel-cisplatin-fluorouracil Induction Chemotherapy Followed by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Versus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for Locally Advanced Head and Neck Cancer : A Meta-analysis (국소진행성 두경부암에서 Docetaxel, Cisplatin, Fluorouracil 선행항암요법의 효과 및 부작용에 대한 메타분석)

  • Hwang, Ilseon;Park, Keon Uk
    • Korean Journal of Head & Neck Oncology
    • /
    • v.31 no.2
    • /
    • pp.21-28
    • /
    • 2015
  • 서론: 국소 진행성 두경부암 환자에서 선행 항암요법 후 동시 항암화학방사선요법은 원격 전이를 줄이고, 국소병변을 줄여 방사선 치료의 효과를 높이거나, 기관의 기능을 보존할 목적으로 시도된다. 선행 항암요법의 약제로 는 docetaxel, cisplatin, fluorouracil (DPF) 삼제요법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선행 항암요법 후 동시 항암화학방사선요법과 표준치료인 동시화학방사선요법을 비교한 3상 연구들이 모두 선행 항암요법이 더 낫다는 결과를 보여 주지 못하였지만, 이 연구들은 충분한 환자를 모집하지 못하고 조기 종료된 불완전한 연구라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저자들은 DPF 선행 항암요법 후 동시 화학방사선요법과 표준치료인 동시 화학방사선요법을 비교하는 메타분석을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국소진행성 두경부암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된 DPF 선행 항암요법 후 동시화학방사선요법과 현재 표준치료인 동시화학방사선요법을 비교한 5개의 3상 연구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환자는 862 명이었고, 분석 결과 DPF 선행 항암요법 후 동시화학방사선요법은 표준치료와 비교하였을 때 반응률, 2년 및 3년 생존율, 2년 및 3년 무진행 생존율, 점막염 및 빈혈 발생 빈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완전관해율과 3~4도의 백혈구감소증 및 혈소판 감소증의 빈도는 선행 항암요법 시행군에서 더 높았다. 결론: 국소진행성 두경부암의 치료에서 DPF 선행 항암요법 후 동시 항암화학방사선요법을 시행하는 것은 표준치료인 항암화학방사선요법에 비해 생존율 개선을 보이지 못하였다. 선행항암치료를 추가하는 것이 특정 환자군에서 효과가 있을지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PDF

중서의결합치료소아백혈병사로(中西醫結合治療小兒白血病思路) -중서의 결합으로 소아백혈병 치료에 대한 접근-

  • Seok Hyo-Pyeong
    • The Journal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 /
    • v.15 no.1
    • /
    • pp.71-75
    • /
    • 2001
  • 백혈병은 조혈계통의 악성 증식성 질환으로서 현재까지 주로 화학약물요법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화학약물요법은 백혈병 세포를 소멸시킬 수 있지만 또한 인체에 여러 가지 독성 반응 및 부작용을 일으키기도 한다. 따라서 중서의결합으로 백혈병 치료에 접근하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중의학에서 소아 백혈병을 치료하는 경우 청열해독법(淸熱解毒法), 부정보허법(扶正補虛法), 활혈화어법(活血化瘀法)을 주로 사용한다. 청열해독법은 백혈병의 조기치료에 주로 활용되는데, 인체의 저항력을 증강시켜 화학약물요법을 실시하는 동안 흔히 나타날 수 있는 감염증상을 예방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부정보허법(扶正補虛法)은 주로 화학약물요법의 유도 완화기 및 치료효과의 유지를 위하여 활용되는데, 이는 인체의 면역력을 향상시켜 화학약물요법이 인체에 미치는 손상을 경감시킬 수 있다. 활혈화어법(活血化瘀法)은 미세순환을 개선시키는 작용을 하며 골수의 조혈기능을 촉진하고 면역기능을 조절하며 또한 일부 활혈화어제(活血化瘀劑)는 백혈병 세포에 직접적인 억제효과를 보인다. 소아백혈병에 대하여 화학약물요법을 진행하는 동안 중약을 같이 병행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나누어 실시할 수 있다. 1. 유도완화치료(화학요법)단계: 이와 같은 치료과정은 대개 화학약물요법으로 인한 극심한 독성반응이나 주작용을 나타내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중약치료를 병행하면 신속하게 증상을 개선시킬 수 있다. 만약 구토나 설사와 같은 소화계 부작용이 나타나면 화위강역법(和胃降逆法)을 활용하고, 감염 증상이 나타나면 부정(扶正)과 거사법(祛邪法)을 병행할 수 있다. 화학약물요법을 진행한 후 신체가 극도로 허약해지고 골수의 기능이 심하게 억제되는 경우는 주로 부정(扶正)시키는 중약을 사용하면서 익기양혈제(益氣養血劑)를 곁들이고 보조적으로 단삼(丹蔘), 당귀(當歸), 천궁(川芎), 계혈등(鷄血藤) 등과 같은 활혈화어제(活血化瘀劑)를 사용하여 골수의 조혈기능을 회복시킨다. 2. 치료효과의 유지단계: 본 과정에서는 중약치료에 있어서 부정(扶正)과 거사법(祛邪法)을 병행한다. 화학약물요법을 실시하는 동시에 거사제(祛邪劑)를 중용(重用)함으로써 화학약물요법의 효과를 강화시킨다. 화학약물요법이 끝난 뒤 부정(扶正)시키는 약물을 중용(重用)하여 인체의 면역기능을 증강시키고 백혈병세포를 억제시킨다. 3. 치료효과의 유지 및 강화단계: 치료효과의 유지단계에서는 변증논치(辨證論治)의 원칙에 입각하여 항암효과가 있는 중약을 활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백화사설초(白花蛇舌草), 산자고(山慈?), 청대(靑黛), 용규(龍葵)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육신환(六神丸)을 장기적으로 복용하여도 된다. 소아백혈병 치료에 있어서 중서의결합의 치료법을 활용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내용에 주안점을 둘 수 있다. 화학약물요법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중약을 병행하여 투여하는 경우 사진합삼(四診合參)을 근간으로 종합적인 분석을 통하여 병인(病因)을 살피어 치료에 임하도록 한다. 약물의 선택과 처방의 구성은 반드시 변증논치(辨證論治)의 원칙하에 이루어져야 한다. 화학약물요법과 중약치료를 병행하는 과정에서 변증(辨證)과 변병(辨病)이 서로 결합되고 부정(扶正)과 거사법(祛邪法)을 병행하여 활용한다. 정체관(整體觀)에서 출발하여 환자를 관찰하는 동시에 특징적인 증후(證候)에 대한 변증논치(辨證論治)도 중요하며, 또한 백혈병 환자의 유형(類型)이나 임상 혈액검사 소견, 골수의 양상, 화학요법의 진행단계 및 환자의 연령과 체질 등을 충분히 가만하여 종합적인 분석을 토대로 치료법을 선택하여야 중약요법과 화학약물요법의 협동적인 효과를 증폭시키고 백혈병치료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Comparision of Radiotherapy Alone with Induction Chemotherapy-Radiotherapy in Inoperable Head and Neck Cancer (수술 불가능한 두경부 종양에서 방사선 단독요법과 유도 화학요법 및 방사선 병용요법의 비교)

  • Park, In-Kyu;Yun, Sang-Ho;Kim, Sang-Bo;Ryu, Sam-Uel;Park, Jun-Sik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v.9 no.2
    • /
    • pp.205-213
    • /
    • 1991
  • In order to determine the value of induction chemotherapy (CT) for inoperable head and neck cancer, the authors conducted a retrospective study. Fifty-five patients were treated with CT and radiotherapy (R-T)(CT+RT group). This group was compared with a group of 54 patients treated RT alone (RT alone group). The CT regimen used were CF (cis-platine+5-FU), CVB (cyclophos-phamide+vincristine+bleomycin), CAP (cyclophosphamide+adriamycin+prednisolone) or PVBM(cis-platine+vincristine+bleomycin+methotrexate). Toxicity from induction chemo-therapy was minimal, and toxicity was limited primarily to nausea and vomiting, mucositis and myelosuppression. The complete response (CR) rate to CT was $14.5\%$ and the partial response (PR) rate was $47.3\%$ for an overall major response rate of $61.8\%$. The major response rate at the completion of loco-regional therapy was $87.3\%$(48/55) with 32 CR ($58.2\%$) and 16 PR ($29.1\%$) for CT-RT group and $81.5\%$(44/55) with 27 CR ($50.0\%$) and 17 PR ($31.5\%$) for RT alone group (p=0.57). Median follow-up of CT-RT group was 17 months and 11 months for RT alone group. Median survival was 30 months for CT-RT group and 24 months for RT alone group (p=0.3). The overall survival rate at 2 years, 3 years and 5 years, respectively was $60.9\%,\;48.6\%\;and\;42.5\%$, for CT-RT group, and $54.9\%,\;49.9\%\;and\;49.9\%$ for RT alone group (p=0.33). Comparision between patients in both groups, stratified by overall stage, T and N stage, site, and pathology, all failed to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survival rates. We conclude that this retrospective study failed to demonstrate an advantage for induction chemotherapy in inoperable head and neck cancer.

  • PDF

Role of Locoregional Treatment after Good Response to Systemic Chemotherapy in Metastatic Nasopharyngeal Cancer : A Case Report (원격 전이가 동반된 비인두암에서 항암화학요법 후 치료 반응을 보인 환자에 대한 국소치료의 역할 : 증례보고)

  • Lee, Joo Ho;Wu, Hong-Gyun;Heo, Dae Seog
    • Korean Journal of Head & Neck Oncology
    • /
    • v.29 no.2
    • /
    • pp.93-96
    • /
    • 2013
  • 원격 전이된 비인두암 환자에서 주요한 치료 방법은 고식적 항암화학치료에 국한되어왔다. 그러나 적극적인 항암화학치료로 비인두암 환자 중 많은 환자에서 치료 반응을 보이며, 치료 반응을 보인 환자군에서는 국소 제어가 중요한 문제가 된다. 본 저자들은 원격 전이 된 환자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환자는 큰 크기의 다발성 전이가 있었으나 항암화학요법으로 관해 상태를 보였다. 이후 공고화 항암화학방사선요법을 추가하였고 현재 30개월 간 무병상태이다. 원격전이된 비인두암에서 공고화 항암화학방사선 요법의 역할에 대하여 문헌 고찰을 통해 논의하고자 한다.

Comparing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to Chemotherapy Alone for Locally Advanced Unresectable Pancreatic Cancer (절제 불가능한 췌장암의 동시 항암화학 방사선 요법과 항암화학 단독 요법의 비교)

  • Park, Jeong-Hoon;Kim, Woo-Chul;Kim, Hun-Jung;Gwak, Hee-Keun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v.27 no.2
    • /
    • pp.64-70
    • /
    • 2009
  • Purpose: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CCRT) is the standard treatment for locally advanced unresectable pancreatic cancer. However, the introduction of gemcitabine and the recognition of a benefit in patients with advanced disease stimulated the design of trials that compare chemotherapy alone to concurrent chemoradiation. Therefore, we evaluated role of CCRT for locally advanced unresectable pancreatic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We carried out a retrospective analysis of treatment results for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unresectable pancreatic cancer between January 2000 and January 2008. The radiation was delivered to the primary tumor and regional lymph nodes with a 1~2 cm margin at a total dose of 36.0~59.4 Gy (median: 54 Gy). The chemotherapeutic agent delivered with the radiation was 5-FU (500 mg/$m^2$). The patients who underwent chemotherapy alone received gemcitabine (1,000 mg/$m^2$) alone or gemcitabine with 5-FU. The follow-up period ranged from 2 to 38 months. The survival and prognostic factors were analyzed using Kaplan-Meier method and log-rank test, respectively. Results: Thirty-four patients received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whereas 21 patients received chemotherapy alone. The median survival time was 12 months for CCRT patients, compared to 11 months for chemotherapy alone patients (p=0.453). The median progression-free survival was 8 months for CCRT patients, compared to 5 months for chemotherapy alone patients (p=0.242). The overall response included 9 partial responses for CCRT and 1 partial response for chemotherapy alone. In total, 26% of patients from the CCRT group experienced grade 3~4 bowel toxicity. In contract, no grade 3~4 bowel toxicity was observed in the chemotherapy alone group. Th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of overall survival were lymph node status, high CA19-9, and tumor location. Conclusion: The response rate and progression-free survival were more favorable in the CCRT group, when compared with the chemotherapy alone group. Therefore, radiation therapy seems to be an effective tool for local tumor control.

Preoperative Chemotherapy in Advanced Stomach Cancer (Pros) (위암에서의 수술 전 선행항암화학요법(in the View of Pros))

  • Park, Sook Ryun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v.8 no.2
    • /
    • pp.57-64
    • /
    • 2008
  • In gastric cancer, the only potentially curative treatment is surgery that attempts to achieve curative (R0) resection. However, despite the use of curative resection, a recurrence develops in a high percentage of patients, especially in cases of serosa and/or lymph node involvement. As a strategy to improve the survival of the patients with resectable advanced gastric cancer, neoadjuvant chemotherapy has been evaluated in several phase II trials and a few phase III trials. The results of these trials have confirmed the feasibility and safety of this approach with no apparent increase in surgical complications. Recently, the findings of a large phase III randomized trial (MAGIC trial) have indicated that compared to the use of surgery alone, perioperative chemotherapy, using both a neoadjuvant and adjuvant strategy, decreased the number of T and N stage cancers and improved survival. The results of another recent phase III trial (FNLCC 94012/FFCD 9703) also showed that compared to the use of surgery alone, perioperative chemotherapy improved the R0 resection rate and survival. In both trials, the improved outcomes may be attributed to the use of neoadjuvant chemotherapy because of poor compliance with adjuvant chemotherapy. These results cannot be directly translated to clinical practice in Korea due to differences in surgical techniques and outcomes. However, the findings of a few small phase II and III trials performed in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gastric cancer in Korea have also suggested that neoadjuvant chemotherapy would result in the improvement of the R0 resection rate and down-staging of the disease. More effective chemotherapy regimens are needed in future large randomized trials to determine the subset of patients that will benefit from neoadjuvant chemotherapy and to determine the extent of benefi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