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화학합성

검색결과 4,105건 처리시간 0.026초

해양 미세조류 Dunaliella tertiolecta에서 철 공급을 포함한 다중스트레스 인자가 세포성장 및 지질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ultiple Stress Factors Including Iron Supply on Cell Growth and Lipid Accumulation in Marine Microalga Dunaliella tertiolecta)

  • 리즈완 무하마드;무지타바 굴람;이기세
    • 공업화학
    • /
    • 제28권3호
    • /
    • pp.306-312
    • /
    • 2017
  • 해양 미세조류 Dunaliella tertiolecta에서 바이오디젤 원료인 지질생산을 위하여 철 함량 변화 및 빛 공급과 $CO_2$ 공급에 의한 다중스트레스 인자의 조합이 세포성장 및 지질함량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차 스트레스 인자로 정상보다 높거나 부족한 철 함량 조건이 지질 합성을 유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2차 스트레스 인자로 빛 또는$CO_2$ 공급이 제한될 때 지질함량이 증가하였지만 오랜 시간 배양할 때 세포성장이 감소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스트레스 조건에서 세포의 성장과 지질생산이 서로 다른 경향을 보이면 단일 배양기에서 지질생산성을 높이기 어려우므로, 세포성장과 지질생산을 분리한 2단계 배양 전략을 적용하였다. 1단계 배양에서는 성장 위주의 조건으로 고농도배양을 얻은 후, 2단계에서 지질생산을 유도하는 스트레스 조건을 부여하는 것이다. 암소 조건이 다른 조건에 비해 세포농도 감소폭이 작고 지질함량이 높아졌기 때문에, 세포 2 g/L의 고농도로 접종한 2단계에서 5X 철 농도(3.25 mg/L as Fe) 및 암소 조건을 사용하여 12 h의 짧은 배양을 통하여 1.44 g/L/d의 높은 지질생산성을 얻을 수 있었다.

Zeolite X의 양이온에 따른 암모니아 흡착 성능 연구 (Ammonia Adsorption Capacity of Zeolite X with Different Cations)

  • 박준우;서영주;류승형;김신동
    • 공업화학
    • /
    • 제28권3호
    • /
    • pp.355-359
    • /
    • 2017
  • Si/Al 몰비율이 1.08~1.20를 가진 제올라이트 X를 수열합성반응을 이용하여 제조한 후, $Mg^{2+}$ 또는 $Cu^{2+}$을 지닌 금속질산염용액으로 이온교환을 하여 이온 교환된 제올라이트 X를 준비하였다. 모든 준비된 제올라이트 X 시료들에 대해 XRD, SEM, EDS를 이용하여 제올라이트의 결정 구조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암모니아 승온 탈착법($NH_3$-TPD)을 통해 시료의 암모니아 흡착능력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XRD 결과, 준비된 제올라이트 X는 양이온성분에 상관없이 Faujasite (FAU) 결정상을 유지하였지만, $Mg^{2+}$$Cu^{2+}$로 이온교환된 제올라이트 X에 대한 결정화도는 감소되었다. EDS분석결과, 이온 교환된 제올라이트 X시료들 안에 각각의 양이온이 분포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NH_3$-TPD 분석결과 $Mg^{2+}$-와 $Cu^{2+}$-제올라이트 X의 암모니아 흡착능은 각각 1.76 mmol/g과 2.35 mmol/g이었으나, $Na^+$-제올라이트 X의 암모니아 흡착능은 3.52 mmol/g ($NH_3/catalyst$)으로 확인되었다. 향후 암모니아를 제거하기 위한 흡착제로서 $Na^+$-제올라이트 X가 활용될 가능성이 높다고 사료된다.

초음파에너지를 이용한 칡으로부터 이소플라보노이드의 추출공정 최적화 (Optimization of Iso-flavonoids Extraction Process from Kudge Using Ultrasonic Irradiation Energy)

  • 이승범;김수인;홍인권
    • 공업화학
    • /
    • 제29권5호
    • /
    • pp.503-509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칡으로부터 항산화 물질을 추출하는 방법으로 초음파 추출공정을 이용하였으며, 칡에 포함된 iso-flavonoids인 puerarin, daidzein, daidzin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칡으로부터 iso-flavonoids 추출수율의 최대화를 위한 공정조건의 최적화를 위해 통계학적 분석방법인 반응표면분석법을 적용하였다. 이는 최소한의 실험횟수로 원하는 반응치에 부합하는 공정조건을 효과적으로 도출하고 각 공정조건이 반응치에 미치는 효과도를 분석하는 방법이다. 반응표면분석법 중 중심합성계획모델을 적용하여 최적조건을 분석하였으며, 3개의 독립변수는 초음파 조사시간, 주정/초순수 부피비, 초음파 조사세기로 설정하였다.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하여 두 개의 반응치인 추출수율과 iso-flavonoids 함량의 최대값을 갖는 최적조건을 평가한 결과 초음파 조사시간(24.75 min), 주정/초순수 부피비(39.75 vol%), 초음파 조사세기(592.36 W)로 나타났다. 종합 만족도 D는 0.8938로 높게 나타났으며 5% 이내의 유의성 수준에 인정된다. 또한 최적화 과정을 분석한 결과 초음파 조사시간이 반응치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인자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ropinone 유도체의 항경련성 효과 평가 (Evaluation of the anticonvulsant effect of tropinone derivatives)

  • 김익수;서덕준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505-514
    • /
    • 2002
  • 생쥐에서 최근 합성된 4가지 종류의 tropinone유도체들의 항경련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pentylenetetrazole (PTZ) 및 Maximal Electroshock (MES)로 유발된 경련에 tropinone 유도체들이 경련상태에 미치는 효과를 관찰하였다. Troponine 유도체로는 화학구조가 다른 4가지 종류를 사용하였다(T-1:2,4-dipywolylmethenylnortropinone, T-2:2,L di phenylme thenylnortropinone, T-3 : 2,Ldifurfurylmetheny- Inortropinone, 74 : 2,4-dimetho xyphenylmethenylnortro- pinone). nZ 25 mg/kg을 복강 내로 투여 후 전신성 경련을 유발하였으며 tropinone 유도체를 전처치한 후 PTZ에 의한 경련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대조군에 비하여 T-1과 T-2는 경련정도에 변화가 없었으나 T-3과 T-4는 유의하게 경련정도를 약화시켰다. PTZ에 의한 경련의 시작 시간은 T-4에서 유의하게 지연되어 T-4가 PTZ에 의한 경련에 항경련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MES로 경련을 유발한 경우에 있어서는 T-1이 경련정도를 유의하게 약화시켰으며 경련 후 회복시간도 T-1에서 가장 빨리 회복되는 특성을 보였다. 따라서 T-1이 MES에 의한 경련유발에 항경련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Troponine 유도체에 의한 경련 억제 효과와 경련과 동반되어 증가한다고 알려진 neuronal nitric oxide synthase (nNOS) 발현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조직 단백질에서 Western blot을 하였다. 대조군에 비하여 PTZ 및 MES에 의해 경련을 유발한 생쥐에서 모두 해마부 및 전뇌피질부에서 nNOS가 증가하였다. Tropinone 유도체를 투여하지 않고 경련을 유발시킨 대조군에 비하여 tropinone 유도체를 투여한 군에서도 모두 nNOS의 발현이 해마부 및 전뇌피질부에서 증가되었다. MES로 경련을 유발한 생쥐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T-1 및 T-4는 피질부에서 nNOS가 감소했으나 나머지군에서는 감소가 없었다. 이 상의 결과를 토대로 tropinone 유도체들은 경련유발의 자극 조건에 따라 항경련 효과가 다르게 나타났으며, PTZ유 발경련에서 2,4-dimethoxyphenylmethenylnortropinone의 항경련 효과가 가장 크고, MES 유발경련에서는 2,4-dipyrrolylmethenylnortropinone의 항경련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화학적 변이에 대한 Cinnamaldehyde의 항돌연변이 (The Mechanism of Antimutagenic Effect of Cinnamaldehyde on Chemical Mutagenesis)

  • 송근섭;한상배;최동성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407-413
    • /
    • 1997
  • Cinnamaldehyde의 항돌연변이 작용기구를 밝히기 위하여 E. coli B/r 및 K-12 계열의 다양한 DNA 수복 결손주를 이용하여 4-NQO 및 MNNG에 대한 돌연변이 억제 효과 및 생존율 변화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SOS response가 항상 발현되는 균주인 GW1107의 $\beta$-Gal 활성과 41$^{\circ}C$에서 $\beta$-Gal을 합성하는 균주인 GW1060 및 GW1103의 $\beta$-Gal 활성에도 cinnamaldehyde는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cinnamaldeyde가 LexA와 같은 repressor로서 작용하지 못함은 물론 SOS response를 positive하게 조절하는 RecA 기능에 대하여 아무런 변화를 주지 못한다는 사실을 제시한다. 또한 Trp+ 복귀돌연변이주의생육 및 세포생장 속도에도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4-NQO 처리된 균주(WP2s, ZA159 및 TK603)에서 cinnamaldehyde의 첨가로 돌연변이율이 감소되었음\ulcorner 불구하고 생존율은 크게 향상되었다. 그러나 절제 수복기능이 결여되지 않은 WP2 및 lexA 유전자 결손주(CM561 및 CM611)에서는 그와 같은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상보적 DNA의 gap을 연결시켜주는 polymerase I이 결여된 균주인 WP67에서도 생존율이 증가되지 않았다. 위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cinnamaldehyde는 오류 없는 재조합 수복계를 향상시킴으로써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급여가 돈육의 조직적.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Conjugated Linoleic Acid on Texture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Pork)

  • 이정일;최진성;박준철;문홍길;김영화;박종대;주선태;박구부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49-357
    • /
    • 2001
  • 실험동물에서 항암성, 항산화성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conjugated linoleic acid(CLA)를 비육돈 후기사료에 2주간 급여하여 비육돈 내에 CLA를 축적시키고 품질특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CLA는 alkaline isomerization 방법으로 식용유를 이용하여 화학적으로 합성하였다. 대조구는 출하체중이 105~110kg으로 되도록 비육말기 사료를 사료회사로부터 구입하여 급여하였으며, 처리구 1은 출하 2주전부터 사료회사로부터 구입한 사료의 지질원에 대하여 CLA를 4% 첨가하였으며, 처리구 1은 출하 2주전부터 사료회사로부터 구입한 사료의 지질원에 대하여 CLA를 4% 첨가하였으며, 처리구 2는 8%, 처리구 3은 12% 첨가하여 급여한 후 일괄적으로 도살하였다. 저장기간에 따른 대조구와 CLA 급여구간의 품질평가를 하기 위해 돈육의 육색, 조직감 및 관능적 특성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돈육의 등심과 삼겹부위를 함기포장하여 냉장온도(4$^{\circ}C$)에서 13일간 저장하면서 각 실험항목을 조사하였다. 육색(L*, a*, b*), 조직감 및 관능적 특성분석 결과 대조구와 CLA 급여구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저장기간이 경과하여도 대조구와 CLA 급여구 모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이는 CLA를 사료에 첨가 급여하여 생산된 돈육이 소비자 구매 지표인 육색과 조직감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아 상품적 가치를 저하시키지 않은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관능적 특성 변화에 CLA가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는데 이는 육색의 변화와 조직감 변화 결과가 뒷받침해 주며, CLA 급여로 인한 이취나, 불쾌취가 발생되지 않아 상품적 가치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사료된다.

  • PDF

표면처리반응에 의한 용해속도조절용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의 제조 (Preparation of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with Controlled Solubility Rate by Surface Treatment Reaction)

  • 이무진;신영조
    • 공업화학
    • /
    • 제10권4호
    • /
    • pp.581-585
    • /
    • 1999
  • 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류의 일종인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루로오스(HPMC)에 40 wt % glyoxal 용액과 $KH_2PO_4$를 혼합, 용해시키고, HPMC의 표면에 분사, 반응시켜 알카리용액에서도 녹는 시간(용해속도)을 조절할 수 있는 표면처리된 HPMC를 제조하였고, 두 물질의 첨가비율을 달리하였을 때 나타나는 용해특성을 규명하였다. 순수한 HPMC류의 표면을 가교제인 glyoxal로 처리하면 중성의 용액에서는 분산을 일으키고, 용액을 알카리화 함으로써 즉시 용해되어 점성을 나타내나, 소량의 안산염을 동시에 첨가 반응시킨 미세분말상태의 HPMC는 용액의 액성에 관계없이 분산이 되고 일정시간 경과한 후에 급속히 용해되어 점성을 나타내게 되는 성질을 알 수 있었다. Glyoxal과 $KH_2PO_4$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용해지연시간이 길게 되었고, 반응은 $75{\sim}85^{\circ}C$에서 60분의 반응조건이 적당하였다. 특시 glyoxal과 $KH_2PO_4$처리에서 유기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수용액 상태로 반응시킴으로써 반응후 유기용매의 제거공정이 필요 없게 되었고, 또한 HPMC의 반응 치환도를 변화함으로써 수용액뿐 아니라 유기용제에서도 용해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HPMC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키토산과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타크릴레이트의 그라프트중합과 약물(Vitamin B12)방출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Graft Polymerization of Polyethyleneglycol Monomethacrylate onto Chitosan and Drug(Vitamin B12) Permeation Behavior)

  • 정주은;정병옥;장병권;최규석
    • 공업화학
    • /
    • 제5권3호
    • /
    • pp.524-536
    • /
    • 1994
  • 생체적합성이 좋은 천연고분자인 chitosan에 수용성의 비닐계 단량체인 polyethyleneglycol monomethacrylate series를 그라프트중합시켜 그 반응조건과 물성을 검토하였다. 그라프트중합은 ethylene oxide 부가몰수에 따라 PE-90, PE-200, PE-350의 세 가지 단량체에 ceric ammonium nitrate(CAN)를 개시제로 사용하였으며, 중합에서 개시제의 농도, 단량체의 농도, 반응온도, 반응시간이 총전환율, 그라프트율, 그라프트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최적조건을 규명하였다. 반응은 개시제농도 $4{\sim}5{\times}10^{-3}M$, 단량체농도 0.5~0.6M, 반응시간 2~3시간, 반응온도 $40^{\circ}C$에서 최고의 그라프트율과 총전환율을 나타냈다. 합성한 공중합체의 열적 성질, 용해성 및 점성도를 검토한 결과 고농도의 개시제를 사용하면 그라프트 중합체는 chitosan의 특성을 급격히 감소시켰다. 고유점성도의 경우, chitosan-g-PE-90이 2.81dl/g, chitosan-g-PE-200이 3.01dl/g, chitosan-g-PE-350이 4.93d1/g으로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공중합체를 막으로 성형하여 그라프트율과 polyethyleneglycol monomethacrylates의 ethylene oxide 부가몰수에 따른 공중합체의 기계적 물성과 함수율을 측정하였다. 가교화 공중합체막은 150분 이내에 함수율이 평형에 이르렀다. 공중합체의 물성은 그라프트율과 ethylene oxide 부가몰수의 영향을 받았으며 chitosan의 기계적 물성과 함수율이 공중합체에서 증가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 그라프트율이 증가함에 따라 vitamin $B_{12}$의 투과량도 증가하였다.

  • PDF

파라자일렌 분리용 Binderless BaX 성형체의 합성 및 반응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Characteristics and Preparation of Binderless BaX Granules for Separation of p-Xylene)

  • 진정현;서정권;홍지숙;김범식;이창하
    • 공업화학
    • /
    • 제20권1호
    • /
    • pp.80-86
    • /
    • 2009
  • 파라자일렌 분리용 흡착제로서 효과적인 결합제가 없는 제올라이트 BaX 성형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제올라이트 NaX 타입의 결정분말을 무기결합제인 colloidal silica sol (C.S.) 용액과 기공형성제인 microcrystalline cellulose 분말을 이용하여 구형화 한 후 소성, binderless 처리, 바륨 이온교환, 활성화 등의 단계를 거치면서 넓은 비표 면적과 우수한 강도 및 파라자일렌에 대한 선택도를 갖는 파라자일렌 분리용 흡착제를 제조하였다. 각 시료의 무기결합제$SiO_2$함량을 14.0 wt%, 18.0 wt%, 22.3 wt%로 조절하여, 무기결합제의 함량 증가에 따른 시료 강도의 변화에 대해 검토하였다. 구형화 시료의 무기결합제 함량이 증가 될수록 binderless 처리 후의 강도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렇게 제조된 시료에 무게비 1 : 1 : 1로 혼합된 혼합자일렌 용액으로 $90^{\circ}C$에서 회분식 흡착실험을 수행해본 결과, 본 연구에서 제조된 binderless zeolite BaX는 파라자일렌에 선택적인 흡착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흡착제는 충분한 강도(0.450 kgf)와 결정화도(98.53%), BET 비표면적$(647.57m^2/g)$을 가지면서, 파라자일렌을 선택적으로 흡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글리시딜아자이드계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의 열적특성에 대한 열처리 조건의 영향 (Effects of Annealing Temperature on Thermal Properties of Glycidyl Azide Polyol-based Energetic Thermoplastic Polyurethane)

  • 김정수;김두기;권정옥;이재명;노시태;김선영
    • 공업화학
    • /
    • 제24권3호
    • /
    • pp.305-313
    • /
    • 2013
  • 본 연구는 glycidyl azide polymer (GAP)계 에너지 함유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탄성체(energetic thermoplastic polyurethane elastomers, ETPE)를 합성한 후 탄성체의 필름 제조 공정의 열처리 조건이 물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GAP계 ETPE는 ATR-FTIR, DSC, 그리고 DM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GAP계 ETPE의 물성에 대한 열처리 조건의 영향은 $80{\sim}130^{\circ}C$의 온도 범위에서 1 h과 24 h의 열처리 시간을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1 h의 열처리 조건에서는 $130^{\circ}C$의 열처리 온도에서 그리고 24 h의 열처리 과정에서는 $105^{\circ}C$ 이상의 온도조건에서 아자이드기의 흡수대인 $2090cm^{-1}$ 피크의 감소가 관찰되었으며, methylene chloride와 dimethylformamide 용매에 대한 필름의 용해도 또한 감소하였다. 이것은 $100^{\circ}C$ 이상 열처리 온도조건이 아자이드기의 가교 부반응을 유도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열처리 온도가 $80^{\circ}C$에서 $110^{\circ}C$로 증가함에 따라 온도변화에 따른 저장 탄성률 곡선의 고온 고무평탄 영역이 더 높은 온도까지 확장되었으며, 이 또한 가교반응의 결과이다.